[지능기계공학 실험] 외부유동과 내부유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元數)라고 한다. 가장 간단한 무차원수는 직사각형의 가로·세로 길이의 비(比)이다. 일반적으로 비는 무차원수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레이놀즈수(Reynolds數)이다. 레이놀즈수는 속도 (m/s)와 길이의 곱을 운동점성계수 (m²/s)로 나눈 것으로 분명 무차원수이다. 무차원수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만일 두 직사각형의 가로·세로 비가 같다면 그 두 직사각형은 닮음인 것과 마찬가지로, 레이놀즈수가 같다면 서로 닮음인 것이 증명된다. 레이놀즈수를 같게 하면 모형을 사용하여 실물 비행기의 성능을 조사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무차원수는 닮음의 개념과 결부되어 있으며, 2가지 계열의 것이 기하학적 또는 역학적으로 닮음이 되기 위한 조건을 부여하는 것이다.
무차원수의 종류에는 reynolds, froude, euler, cauchy, mach, strouhal, weber 수가 있는데 이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레이놀즈수에 대해 알아 보자.
★레이놀즈수 (-數 Reynolds number)
-물체를 지나는 유체의 흐름 또는 유로(流路) 속에서의 유체흐름의 관성력(관성저항)과 점성력의 크기의 비를 알아보는 데 있어서 지표가 되는 무차원수.
물체를 지나는 유체의 흐름 또는 유로(流路) 속에서의 유체흐름의 관성력(관성저항)과 점성력의 크기의비를 알아보는 데 있어서 지표가 되는 무차원수. O.
레이놀즈에 의하여 도입되었다. 흐름 속에 있는 물체의 대표적 길이를 (원통 속의 흐름의 경우에는 원통의 지름, 흐름 속에 球가 있는 경우에는 그 구의 반지름), 유속을 , 유체밀도를 , 점성률의 관계식으로 정의된다(여기서는 운동점성계수). 흐름 상태는 레이놀즈수에 의해 크게 달라지므로, 레이놀즈수는 흐름의 특징을 정해지게 하는 데 가장 중요한 조건이 된다. 레이놀즈수가 작은 동안은 정류(整流)상태이었던 흐름도, 레이놀즈수가 임계값[臨界値:臨界레이놀즈수라 한다]을 넘게 되면 불규칙적으로 변동하는 난류(亂流)로 변하게 된다.
★레이놀즈 공 식
Re = 관성력 / 점성력
= 밀도(kg/㎥) × 속도(m/sec) × 대표길이(m) / 점성계수(kg/m·sec)
= 속도(m/sec) × 대표길이(m) / 동점성계수(㎡/sec)
지능기계공학 실험
(Report)
10조
과 목 : 지능기계공학 실험
학 과 : 지능기계
학 번 : 200512063
성 명 : 심 성 재
담당 교수 : 이 연 원 교수님
제출 일자 : 09/11/20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6.30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59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