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금속의 광학조직 관찰법
1. Experimental Objective (실험의 목적)
2. Specimen Preparation (실험의 준비 및 과정)
(1) 시편준비
(2) 실험과정
3. Result and Discussion (실험의 진행 및 결론)
(1) 시편 : 구상흑연주철
(2) 현미경 관찰사진
4. Consideration (고찰)
1. Experimental Objective (실험의 목적)
2. Specimen Preparation (실험의 준비 및 과정)
(1) 시편준비
(2) 실험과정
3. Result and Discussion (실험의 진행 및 결론)
(1) 시편 : 구상흑연주철
(2) 현미경 관찰사진
4. Consideration (고찰)
본문내용
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양을 첨가해야 한다.
단순히 시편의 깨진 단면을 볼 때는 Polishing을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미세조직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Polishing을 해야 한다. 광학현미경이나 전자현미경이나 시편의 단면이 평평하지 않으면 반사가 일어나서 조직을 제대로 볼 수가 없다. 그래서 시편을 거울처럼 반짝거리게 Polishing을 해야 한다.
Polishing시 열에 의해 조직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냉각수를 살포하면서 해야 하는데, 시편이 물과 반응하는 재료인 경우에는 열이 나더라도 건식연마를 하거나, 에탄올이나 메틸알콜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본 실험에서는 에탄올을 폴리싱액으로 사용하였다.)
또, 시편의 조흔들을 없애기 위해서는 횡단면과 종단면을 번갈아가며 Polishing을 해야하는데 횡단면으로 50%, 종단면으로 50% 정도로 Polishing을 해서 100%가 되게 balance를 맞춰줘야 한다.
금속 시편의 균열, 기포는 연마만 끝나면 잘 관찰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연마 상태에서는 너무 반짝거려 미세조직이 관찰되지 않아서 상이 잘 보일 수 있도록 시편에 부식처리, 즉, Etching을 하는 것인데, Etching은 결정입계가 결정입내보다 불안정하고 결함이 많아서 먼저 부식되어 결정입계가 선으로 파이게 되는 것이다.
Etching을 할 때 iron과 steel은 대부분 Nital을 사용한다. 본 실험에서는 Nital 4% 용액을 썼는데 이것은 Nitric acid 2ml와 alcohol 48ml를 섞은 것으로 만약 질산의 양이 더 많다면 Etching 시간을 줄여야한다.
단순히 시편의 깨진 단면을 볼 때는 Polishing을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미세조직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Polishing을 해야 한다. 광학현미경이나 전자현미경이나 시편의 단면이 평평하지 않으면 반사가 일어나서 조직을 제대로 볼 수가 없다. 그래서 시편을 거울처럼 반짝거리게 Polishing을 해야 한다.
Polishing시 열에 의해 조직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냉각수를 살포하면서 해야 하는데, 시편이 물과 반응하는 재료인 경우에는 열이 나더라도 건식연마를 하거나, 에탄올이나 메틸알콜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본 실험에서는 에탄올을 폴리싱액으로 사용하였다.)
또, 시편의 조흔들을 없애기 위해서는 횡단면과 종단면을 번갈아가며 Polishing을 해야하는데 횡단면으로 50%, 종단면으로 50% 정도로 Polishing을 해서 100%가 되게 balance를 맞춰줘야 한다.
금속 시편의 균열, 기포는 연마만 끝나면 잘 관찰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연마 상태에서는 너무 반짝거려 미세조직이 관찰되지 않아서 상이 잘 보일 수 있도록 시편에 부식처리, 즉, Etching을 하는 것인데, Etching은 결정입계가 결정입내보다 불안정하고 결함이 많아서 먼저 부식되어 결정입계가 선으로 파이게 되는 것이다.
Etching을 할 때 iron과 steel은 대부분 Nital을 사용한다. 본 실험에서는 Nital 4% 용액을 썼는데 이것은 Nitric acid 2ml와 alcohol 48ml를 섞은 것으로 만약 질산의 양이 더 많다면 Etching 시간을 줄여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