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학 우리나라의 역사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및 강철 테이프 등-들은 데오도라이트, 자동레벨, 전자파 측거장비 및 항공카메라 등으로 점차 대체되어 가고 있다. 지도제작 분야에서도 극히 작은 면적의 측량을 제외하고는 많은 종류의 측량사업에서 일반적으로 항공사진측량이 재래식 지상측량을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재래식 지상측량은 아직도 평면 및 표고기준점의 좌표측량, 토지경계확정, 공사측량 등에는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토지이용 및 자연자원 탐사를 위한 지도제작을 목적으로 하는 인공위성에 의한 새로운 원격탐사시스템은 지금까지는 물리적으로 거의 불가능했던 방대한 자료의 수집과 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 NGIS 2차 사업 추진중.
최근에는 GIS의 구축과 활용을 위해 GPS, NIS, 4S, TS, 인공위성과 같은 첨단장비를 이용한 측량이 수행
  • 가격3,36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9.24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6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