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호르몬 농업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호르몬 농업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사과 대목의 삽목번식시 발근촉진제
2) 우량 묘목 양성시 곁가지 발생
3) 적과제
4) 사과나무의 생장억제제
5) 과실 품질 향상
6) 사과의 수확전 낙과방지 및 숙기 지연
7) 사과의 저장성 향상
3. 결론

본문내용

표 7의 결과에서도 홍월 품종의 낙과방지에도 효과가 우수하여 금년부터 등록이 되어 이용될 것이다. 그리고 리테인은 숙기지연의 효과가 우수함으로 수확전 낙과가 발생하지 않는 사과품종에도 숙기조절용으로 이용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7) 사과의 저장성 향상
원예작물의 저장이라 함은 수확 후 호흡, 에틸렌 발생, 숙성, 증산작용 등을 그 특성에 맞게 조절하여 최대한 저장기간을 연장하면서도 상품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과의 경우 저장성 향상을 위하여 기계적 장치로는 저온저장 및 CA 저장을 하고 있고, 저장 전 처리 즉, 왁스 및 칼슘처리 등을 통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에틸렌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하는 AVG(리테인)와 1-methylcyclopropene(MCP)가 개발되어 국내외에서 쓰가루, 갈라, 후지, 조나골드 데리셔스 등 사과의 저장성 향상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고, 또한 6-BA가 주성분인 Cylex도 사과의 저장성 향상에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리테인을 이용하여 저장력이 약한 쓰가루 사과에 대한 저장성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간단히 살펴보면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 60일 후에는 리테인을 처리한 과실의 경도가 무처리 과실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고, 산도 역시 레테인을 처리한 과실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4-
따라서 과실의 저장시 리테인을 처리하면 과실의 신선도와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물론 쓰가루 사과 뿐 아니라 타 과실에 적용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되어 과실의 저장성 향상에 리테인이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3. 결론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사과재배에 있어 생장조절제 이용은 노동력 절감, 고품질의 과실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또한 과실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생장조절제의 효과는 아주 민감하여 사용방법을 완전히 숙지하지 못할 경우 역효과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어 많은 부작용도 따르고 있기 때문에 몇가지를 제외하고는 안정성면에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과재배 농가에서 생장조절제를 이용할 경우 미리 전문기관에 문의하여 자문을 받은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앞으로 농민들이 저비용으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생장조절제의 개발과 연구에 더 많은 투자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7.04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6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