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성호르몬(sex hormone)이란 ?
▣ 여성의 성호르몬과 남성의 성호르몬
1. 여성의 성호르몬
(1) 여성의 성호르몬 정의
① 여성에서의 호르몬 작용
(2)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여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②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3) 난소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여포호르몬
② 황체호르몬
③ 에스트로겐
➃ 프로게스테론
2. 남성의 성호르몬
(1) 남성의 성호르몬 정의
① 안드로겐 (androgen)
② 남성에서의 호르몬 작용
FSH는 남성에게서 일생동안
(2) 고환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3)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아드레노스테론 (adrenosterone)
[참고문헌]
▣ 여성의 성호르몬과 남성의 성호르몬
1. 여성의 성호르몬
(1) 여성의 성호르몬 정의
① 여성에서의 호르몬 작용
(2)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여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②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3) 난소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여포호르몬
② 황체호르몬
③ 에스트로겐
➃ 프로게스테론
2. 남성의 성호르몬
(1) 남성의 성호르몬 정의
① 안드로겐 (androgen)
② 남성에서의 호르몬 작용
FSH는 남성에게서 일생동안
(2) 고환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3)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아드레노스테론 (adrenosterone)
[참고문헌]
본문내용
rotestosterone 이다.
정소에서 남성호르몬을 합성, 분비하는 곳은 간질세포( leydig 세포 )이며 남성호르몬의 전구물질은 다른 지방호르몬들과 마찬가지로 콜레스테롤이다. 간질세포에서 남성호르몬을 합성, 분비하는 데에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황체형성 호르몬( LH )의 작용이 필요하다. 정소에서 정맥으로 분비된 testosterone 은 혈장에 있는 일종의 글로불린인 성호르몬 결합 단백( sex hormone-binding g lobulin ) 또는 알부민과 결합되어 혈액을 순환하면서 각 조직으로 공급되며 결합을 하지 않은 유리형의 testosterone은 혈액의 testosterone 의 5% 미만에 불과하다.
그러나 testosterone 이 표적세포에서 작용하자면 유리형으로 전환되어야 하므로 결합되어 있는 것들은 실제 작용을 일으킬 수가 없다. 혈중의 testosterone 이 표적세포에서 작용을 일으키는 데에는 몇 가지 대사 경로를 통해서 작용한다. 첫째로 피부나 생식관에 있는 세포에는 5α-reductase 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testosterone 이 이들 세포에 들어가면 이 효소에 의해서 5α-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된다. 전환된 이 호르몬은 testosterone 보다 활성이 2배 이상 높다.
이와 같이 testosterone 의 작용을 증폭하는 5α-reductase 는 특히 성인 남자에서 다량이 존재하고 있다. 둘째로 간에 도달 한 testosterone의 일부는 불활성형인 androsterone으로 환원되고 오줌으로 배설된다. 셋째로 뇌, 피부, 지방, 간 등에는 aromatase가 존재하고 있는데 aromatase의 작용을 받게 되는 testosterone 은 여성호르몬인 dstradiol 로 전환되고, androstenedione 은 estrone 으로 전환된다.
(2) 고환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콜레스테롤에서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을 거쳐 합성된다. 웅성 생식기를 발육시키고 그 기능을 유지시킨다. 또 웅성의 성징을 발현시킨다. 웅성 호르몬으로서 최초로 발견된 안드로스테론은 이 호르몬의 대사산물이다. 뇌하수체의 간세포자극 호르몬(LH)의 작용에 의하여 분비가 촉진된다.
테스토스테론은 \'자극하다, 일깨우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호르몬이다. 호르몬은 그 뜻 그대로 마음과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신체 곳곳에 정보를 전달하고 자극하는 화학물질이다. 그동안 밝혀진 호르몬만 해도 80여종이 되는데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는 성 호르몬이라 할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사춘기가 시작되면서부터 수염이 나고 변성이 되는 2차 성징은 물론 성욕과 생식 기능을 담당하는 호르몬이다. 여성이 갱년기에 이르러 호르몬이 부족해자면서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듯 남성도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해지면 갱년기가 찾아 올 수 있고 40대 이상의 40% 정도가 의학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정도로 갱년기 증상을 겪고 있다. 이 테스토스테론은 고환에서 생성되며 부족 시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대표적 증상으로는 발기부전, 골다공증, 우울증, 기억력 감퇴, 수면 장애 등을 들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의 정상치는 350ng/dl인데 여러 원인에 의해 감소되면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연령별로 남여의 호르몬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은 폐경기를 전후해 급격히 감소되는 반면 남성은 그 감소폭이 크지 않아 갱년기 증상의 자각이 쉽지 않다. 또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남성 호르몬은 여성에게도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여성에게 있어서도 성욕을 조절하는 것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담당하기 때문이다.
젊은 층에서는 성적 자극에 대해 별다른 변화가 없으나 고 연령대일수록 그 변화 폭이 심하다. 이는 고 연령대의 호르몬 분비가 정상적이지 못한 단면적 예이다. 그렇다면 남성 호르몬은 왜 감소하는 것일까? 남성 호르몬의 결핍은 젊은 나이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과도한 음주, 스트레스, 운동 부족, 비만 등의 잘못된 생활 습관이 주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환에서 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관장하는 라이디히 세포의 경우 알코올에 매우 약하다. 호르몬 리서치지의 보고에 따르면 알코올 중독의 경우 테스토스테론은 감소하고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은 증가한다고 발표했다. 술꾼들의 배가 나오는 증상도 여성 호르몬의 증가 때문이다. 또한 현대 사회의 공해로 인한 환경 호르몬의 영향도 테스토스테론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커 생식능력까지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그렇다면 남성 호르몬의 감소를 억제하고 갱년기를 늦추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올바른 생활 습관이 답이다. 주 3회 근력 운동, 금주, 금연, 아연, 비타민 B6 복용
방법으로 권장되고 있으며 호르몬 요법도 최근 많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호르몬 요법은 부작용이 따를 수 있어 수면 중 무호흡증 환자나, 전립선 비대증 환자 등에게는 금하고 있다.
(3)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아드레노스테론 (adrenosterone)
부신피질에서 추출된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화학식은 C19H24O3이다. 웅성 호르몬으로서는 안드로스테론의 1/5 이하의 활성밖에 나타내지 않으며, 발정 호르몬 ·황체 호르몬으로서의 작용도 매우 약하다. 뇌하수체의 황체형성 호르몬의 지배를 받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생리작용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화학식 C19H24O3. 웅성 호르몬으로서는 안드로스테론의 1/5 이하의 활성밖에 나타내지 않으며, 발정 호르몬 ·황체 호르몬으로서의 작용도 매우 약하다. 뇌하수체의 황체형성 호르몬의 지배를 받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생리작용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
[참고문헌]
생물학개론(아카데미서적), 인체생물학(정문각), 존슨 생물학(탐구당),
비교해부학(월드사이언스),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 in
정소에서 남성호르몬을 합성, 분비하는 곳은 간질세포( leydig 세포 )이며 남성호르몬의 전구물질은 다른 지방호르몬들과 마찬가지로 콜레스테롤이다. 간질세포에서 남성호르몬을 합성, 분비하는 데에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황체형성 호르몬( LH )의 작용이 필요하다. 정소에서 정맥으로 분비된 testosterone 은 혈장에 있는 일종의 글로불린인 성호르몬 결합 단백( sex hormone-binding g lobulin ) 또는 알부민과 결합되어 혈액을 순환하면서 각 조직으로 공급되며 결합을 하지 않은 유리형의 testosterone은 혈액의 testosterone 의 5% 미만에 불과하다.
그러나 testosterone 이 표적세포에서 작용하자면 유리형으로 전환되어야 하므로 결합되어 있는 것들은 실제 작용을 일으킬 수가 없다. 혈중의 testosterone 이 표적세포에서 작용을 일으키는 데에는 몇 가지 대사 경로를 통해서 작용한다. 첫째로 피부나 생식관에 있는 세포에는 5α-reductase 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testosterone 이 이들 세포에 들어가면 이 효소에 의해서 5α-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된다. 전환된 이 호르몬은 testosterone 보다 활성이 2배 이상 높다.
이와 같이 testosterone 의 작용을 증폭하는 5α-reductase 는 특히 성인 남자에서 다량이 존재하고 있다. 둘째로 간에 도달 한 testosterone의 일부는 불활성형인 androsterone으로 환원되고 오줌으로 배설된다. 셋째로 뇌, 피부, 지방, 간 등에는 aromatase가 존재하고 있는데 aromatase의 작용을 받게 되는 testosterone 은 여성호르몬인 dstradiol 로 전환되고, androstenedione 은 estrone 으로 전환된다.
(2) 고환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콜레스테롤에서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을 거쳐 합성된다. 웅성 생식기를 발육시키고 그 기능을 유지시킨다. 또 웅성의 성징을 발현시킨다. 웅성 호르몬으로서 최초로 발견된 안드로스테론은 이 호르몬의 대사산물이다. 뇌하수체의 간세포자극 호르몬(LH)의 작용에 의하여 분비가 촉진된다.
테스토스테론은 \'자극하다, 일깨우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호르몬이다. 호르몬은 그 뜻 그대로 마음과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신체 곳곳에 정보를 전달하고 자극하는 화학물질이다. 그동안 밝혀진 호르몬만 해도 80여종이 되는데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는 성 호르몬이라 할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사춘기가 시작되면서부터 수염이 나고 변성이 되는 2차 성징은 물론 성욕과 생식 기능을 담당하는 호르몬이다. 여성이 갱년기에 이르러 호르몬이 부족해자면서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듯 남성도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해지면 갱년기가 찾아 올 수 있고 40대 이상의 40% 정도가 의학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정도로 갱년기 증상을 겪고 있다. 이 테스토스테론은 고환에서 생성되며 부족 시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대표적 증상으로는 발기부전, 골다공증, 우울증, 기억력 감퇴, 수면 장애 등을 들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의 정상치는 350ng/dl인데 여러 원인에 의해 감소되면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연령별로 남여의 호르몬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은 폐경기를 전후해 급격히 감소되는 반면 남성은 그 감소폭이 크지 않아 갱년기 증상의 자각이 쉽지 않다. 또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남성 호르몬은 여성에게도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여성에게 있어서도 성욕을 조절하는 것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담당하기 때문이다.
젊은 층에서는 성적 자극에 대해 별다른 변화가 없으나 고 연령대일수록 그 변화 폭이 심하다. 이는 고 연령대의 호르몬 분비가 정상적이지 못한 단면적 예이다. 그렇다면 남성 호르몬은 왜 감소하는 것일까? 남성 호르몬의 결핍은 젊은 나이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과도한 음주, 스트레스, 운동 부족, 비만 등의 잘못된 생활 습관이 주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환에서 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관장하는 라이디히 세포의 경우 알코올에 매우 약하다. 호르몬 리서치지의 보고에 따르면 알코올 중독의 경우 테스토스테론은 감소하고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은 증가한다고 발표했다. 술꾼들의 배가 나오는 증상도 여성 호르몬의 증가 때문이다. 또한 현대 사회의 공해로 인한 환경 호르몬의 영향도 테스토스테론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커 생식능력까지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그렇다면 남성 호르몬의 감소를 억제하고 갱년기를 늦추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올바른 생활 습관이 답이다. 주 3회 근력 운동, 금주, 금연, 아연, 비타민 B6 복용
방법으로 권장되고 있으며 호르몬 요법도 최근 많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호르몬 요법은 부작용이 따를 수 있어 수면 중 무호흡증 환자나, 전립선 비대증 환자 등에게는 금하고 있다.
(3)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① 아드레노스테론 (adrenosterone)
부신피질에서 추출된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화학식은 C19H24O3이다. 웅성 호르몬으로서는 안드로스테론의 1/5 이하의 활성밖에 나타내지 않으며, 발정 호르몬 ·황체 호르몬으로서의 작용도 매우 약하다. 뇌하수체의 황체형성 호르몬의 지배를 받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생리작용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화학식 C19H24O3. 웅성 호르몬으로서는 안드로스테론의 1/5 이하의 활성밖에 나타내지 않으며, 발정 호르몬 ·황체 호르몬으로서의 작용도 매우 약하다. 뇌하수체의 황체형성 호르몬의 지배를 받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생리작용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
[참고문헌]
생물학개론(아카데미서적), 인체생물학(정문각), 존슨 생물학(탐구당),
비교해부학(월드사이언스),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