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목적(의의).......................1
- 참고 및 주의사항
실험 이론 및 배경.......................2
시험 과정 및 방법.......................3
- 시험 도구
결 과.......................4
- 관련 수식
고찰 및 토론.......................5
참고 문헌.......................5
- 참고 및 주의사항
실험 이론 및 배경.......................2
시험 과정 및 방법.......................3
- 시험 도구
결 과.......................4
- 관련 수식
고찰 및 토론.......................5
참고 문헌.......................5
본문내용
h4
11.6
464
6.63
0.02
11.62
106.62
0.06
(2) 실험 2 (H1 = 63.34cm)
유량Q
H = 63.34 - 44.95 = 18.39cm
Q = 19433.86 cm3/s
수심h
(cm)
유적A
(㎠)
유속V
(cm/sec)
속도수두
V2/2g
(cm)
전수두E
(cm)
√gh(cm/
sec)
Froude수=Fr
h1
20.1
804
24.17
0.30
20.4
140.35
0.17
h2
6.5
260
74.75
2.85
23.35
79.81
0.94
h3
2.7
108
179.94
16.52
19.22
51.44
3.50
h4
15.5
620
31.34
0.50
16
123.25
0.25
(3) 실험 3 (H3 = 60.78cm)
유량Q
H = 60.78 - 44.95 = 15.83cm
Q = 13360.02 cm3/s
수심h
(cm)
유적A
(㎠)
유속V
(cm/sec)
속도수두
V2/2g
(cm)
전수두E
(cm)
√gh(cm/
sec)
Froude수=Fr
h1
21.2
848
15.75
0.13
21.33
144.14
0.11
h2
7.1
284
47.04
1.13
22.23
83.41
0.56
h3
4.2
168
79.52
3.23
7.43
64.16
1.24
h4
13.4
536
24.93
0.32
13.72
135.74
0.18
(4) 실험 4 (H3 = 65.55cm)
유량Q
H = 65.55 - 44.95 = 20.6cm
Q = 25809.10 cm3/s
수심h
(cm)
유적A
(㎠)
유속V
(cm/sec)
속도수두
V2/2g
(cm)
전수두E
(cm)
√gh(cm/
sec)
Froude수=Fr
h1
22.1
884
29.20
0.44
22.54
147.17
0.20
h2
8.3
332
77.74
3.08
25.38
90.19
0.86
h3
4.5
180
143.38
10.49
14.99
66.41
2.16
h4
18.8
752
34.32
0.61
19.41
135.74
0.25
고찰
처음에는 유량과 지점별로 높이만 재면 무리 없이 할 수 있는 실험이라고 생각했지만, 측정해야할 값이 많고 조금은 번거로운 시험이었고 또 계산이 힘들었다. 최종적으로 Froue수를 구하여 이 값에 따른 사류 상류 한계류를 구분됨을 알 수 있었고, 이 Froude수는 속도에 비례하고 수심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결국 이 값이 1보다 작을 때를 상류, 1보다 클 때를 사류, 1이 될 때를 한계류라 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의 실험 값은 세군데에서 상류의 흐름임을 확인 하였다. 또 도수현상도 눈으로 확인하였다. 아쉬운점이 있다면, 조원들끼리 같이 단합하여 값을 측정했어야 했는데 서먹한 사이 때문인지 그러지 못하여 아무래도 데이터 값에 오차가 있었던 것 같다. 이번시험을 통해 에너지 및 도수와 Froude Number 와의 관계에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참고 문헌
수리학 강주복 저 수리학 (형설출판사)
수리실험 백창식 외 지음 (구미서관)
유체역학 Munson Yuong Okiishi (Wiley)
11.6
464
6.63
0.02
11.62
106.62
0.06
(2) 실험 2 (H1 = 63.34cm)
유량Q
H = 63.34 - 44.95 = 18.39cm
Q = 19433.86 cm3/s
수심h
(cm)
유적A
(㎠)
유속V
(cm/sec)
속도수두
V2/2g
(cm)
전수두E
(cm)
√gh(cm/
sec)
Froude수=Fr
h1
20.1
804
24.17
0.30
20.4
140.35
0.17
h2
6.5
260
74.75
2.85
23.35
79.81
0.94
h3
2.7
108
179.94
16.52
19.22
51.44
3.50
h4
15.5
620
31.34
0.50
16
123.25
0.25
(3) 실험 3 (H3 = 60.78cm)
유량Q
H = 60.78 - 44.95 = 15.83cm
Q = 13360.02 cm3/s
수심h
(cm)
유적A
(㎠)
유속V
(cm/sec)
속도수두
V2/2g
(cm)
전수두E
(cm)
√gh(cm/
sec)
Froude수=Fr
h1
21.2
848
15.75
0.13
21.33
144.14
0.11
h2
7.1
284
47.04
1.13
22.23
83.41
0.56
h3
4.2
168
79.52
3.23
7.43
64.16
1.24
h4
13.4
536
24.93
0.32
13.72
135.74
0.18
(4) 실험 4 (H3 = 65.55cm)
유량Q
H = 65.55 - 44.95 = 20.6cm
Q = 25809.10 cm3/s
수심h
(cm)
유적A
(㎠)
유속V
(cm/sec)
속도수두
V2/2g
(cm)
전수두E
(cm)
√gh(cm/
sec)
Froude수=Fr
h1
22.1
884
29.20
0.44
22.54
147.17
0.20
h2
8.3
332
77.74
3.08
25.38
90.19
0.86
h3
4.5
180
143.38
10.49
14.99
66.41
2.16
h4
18.8
752
34.32
0.61
19.41
135.74
0.25
고찰
처음에는 유량과 지점별로 높이만 재면 무리 없이 할 수 있는 실험이라고 생각했지만, 측정해야할 값이 많고 조금은 번거로운 시험이었고 또 계산이 힘들었다. 최종적으로 Froue수를 구하여 이 값에 따른 사류 상류 한계류를 구분됨을 알 수 있었고, 이 Froude수는 속도에 비례하고 수심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결국 이 값이 1보다 작을 때를 상류, 1보다 클 때를 사류, 1이 될 때를 한계류라 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의 실험 값은 세군데에서 상류의 흐름임을 확인 하였다. 또 도수현상도 눈으로 확인하였다. 아쉬운점이 있다면, 조원들끼리 같이 단합하여 값을 측정했어야 했는데 서먹한 사이 때문인지 그러지 못하여 아무래도 데이터 값에 오차가 있었던 것 같다. 이번시험을 통해 에너지 및 도수와 Froude Number 와의 관계에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참고 문헌
수리학 강주복 저 수리학 (형설출판사)
수리실험 백창식 외 지음 (구미서관)
유체역학 Munson Yuong Okiishi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