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법정전염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과학] 법정전염병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 1 군
2. 제 2 군
3. 제 3 군
4. 제 4 군

본문내용


- 병력, 임상 증상, 검사 소견, 병의 경과로 추정 진단이 가능하며, 렙토스피라증 등과의 감별이 중요하다.
- 항체역가 4배이상 증가
- 치료: 대중요법을 실시한다. 치료에 앞서 출혈이나 쇽(shock)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대안정이 필요하다.
(5) 환자 관리
필요 없음
(6) 예방
다발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며, 예방접종 백신이 있으나 효능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유행 지역의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할 것. 특히, 늦가을(10~11월)과 늦봄(5~6월) 건조기에는 절대 잔디위에 눕거나 잠을 자지 말것
- 들쥐의 배설물에 접촉을 피할 것
- 잔디위에 침구나 옷을 말리지 말 것
- 야외활동후 귀가시에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목욕을 함
- 가능한 한 피부의 노출을 적게 할 것
- 전염위험이 높은 사람(군인, 농부 등)은 적기에 예방접종을 받을 것
- 신증후군출혈열 의심시 조기에 치료를 받을 것
(7) 예방접종
- 예방접종대상 : 한탄바이러스에 오염된 환경에 자주 노출되거나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이 대상.
- 예방접종방법
① 기초접종: 백신 0.5 ㎖를 한달 간격으로 2회, 피하 또는 근육 주사하고 12개월 뒤에 1회접종
② 추가접종 : 아직 정해진 지침 없음
17) 인플루엔자
(1) 병원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A, B, C)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2) 전파양식
호흡기 비말 등을 통한 공기매개감염
(3) 증상 및 증후
37.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 증상과 인후통, 기침,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 을 보임
복통, 구토, 경련 등이 드물게 발생함
가장 흔한 합병증은 폐렴이며, 노년층이나 만성질환자 등에서 기저질환 악화와 합병증으로 사망도 가능함
(4) 진단 및 치료
진단- 일반적 검사상 특이 소견 없음
검사실 진단(다음 3가지 중 하나 이상)
* 검체(비인후 도말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항원 검출
* 회복기 혈청의 특이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치료- 안정, 대증요법(수액요법, 해열진통제, 진해거담제 등), 증상이 심하거나 합병증이 우려되는 위험군 등에서 항바이러스 제제사용(M2 inhibitor : amantadine, rimantadine
Neuraminidase inhibitor : zanamivir, oseltamivir)
(5) 환자 관리
환자관리- 격리는 진단 지연으로 불가능, 가족내 노약자 등 고위험군과 접촉을 회피하도록 함
접촉자관리- 필요한 경우(고위험군 등)에는 발병 초기에 항바이러스제제 투여함
(6) 예방
◈ 예방접종: 늦어도 인플루엔자 유행 2주전에 받아야 하며, 9~10월 사이에 접종을 시작하는 것이 적절함
18) 후천성면역결핍증 (AIDS)
(1) 병원체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에 의한 질환
(2) 전파양식
성접촉에 의한 감염이 가장 흔하며 수혈, 주사기 공동 사용, 수직감염 등으로 전파되며 우리나라는 성접촉에 의한 감염이 90%로 대부분을 차지함
(3) 증상 및 증후
◈ 임상증상
- 급성감염기 : 감염후 3주∼4주 이내에 발열, 인후통, 기침, 근육통, 뇌수막염 증상, 발진 등의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이 질환의 특징적인 증상은 아니며 감염자의 30∼50% 정도에서만 나타나고 대부분 1주∼6주 후에 저절로 호전됨
- 무증상기 : 급성 감염기 증상이 사라진 후 8년∼10년간 증상은 없으나 면역기능은 계속 떨어지며 바이러스는 체내에서 계속 증식함
- 후천성면역결핍증 관련 증후군 및 초기 증상기 : 무증상기가 지난 후 후천성면역결핍증으로 이행되기 전에 전구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및 설사, 체중감소, 불면증 등이 있고 아구창, 구강백반, 칸디다 질염, 골반내 감염, 피부질환 등이 동반됨
(4)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환자관리
- 격리 : 혈액 및 체액 격리
◈ 접촉자관리
- 예방적 화학요법
ㆍ의료인이 오염된 바늘에 찔렸을 경우 : 즉시 소독한 후 4주간 항 HIV 약제 투여
ㆍ 감염된 산모 : 항 HIV 약제 투여로 신생아 감염을 크게 줄임
(5) 예 방
◈ 일반적 예방 : 감염 경로 차단, 성접촉시 콘돔 사용
◈ 예방 접종 : 아직까지 유용한 백신은 없음
4. 제 4 군
1) 황열
(1) 병원체
Flaviviridae과
(2) 전파양식
도시형 황열- 매개 곤충이 집모기 일종인 열대 숲모기(Aedes aegypti)이고 사람-모기의 순환고리에 의해 전파
밀림형(jungle; sylvan type) 황열- 아프리카나 남미산 원숭이에 감염되는 질환으로 수목에 사는 모기(Haemagogus, Aedes)에 의하여 원숭이 간에 전파
(3) 증상 및 증후
두통, 구토, 황달, 출혈, 심한 알부민뇨증이 전형적인 증상이다. 초기증세는 뎅기열과 비슷하다. 피부에서 국소 임파절로 바이러스가 이동하여 다시 혈류 내로 들어가 전신장기에 침범하게 되는데 사망 원인은 간이나 신장에 침범하여 괴사를 일으킨다.
(4) 진단 및 치료
◈ 진단- 전형적인 임상증상과 혈청학적 방법, 바이러스 분리 혹은 항원검출 등으로 확진
◈ 치료-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다
(5) 환자 관리
예방접종의 효과는 매우 양호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발생한 적이 없다.
(6) 예방
- 예방접종 : 접종 10일 후에 나타나서 10년간 지속되므로 매 10년마다 재접종을 실시
2) 뎅기열
(1) 병원체
바이러스성 열성질환; Flaviviridae과, Favivirus속의 dengue-1, -2, -3, -4형. (P-2)
(2) 전파양식
모기에 의해 전파. 인간에서 인간으로 감염은 없다. 모기는 바이러스혈을 흡혈한 지 8~12일 후부터 평생 감염성을 가진다. 누구나 감염되며, 보통 소아가 성인보다 증상이 가볍다
(3) 증상 및 증후
발열은 3~5일간 계속되고, 심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과 안면통이나 식욕 부진이 생기며, 초기에 때로 전신에 홍반이 나타난다. 해열기에는 전신에 반점상구진이 나타나 1~5일간 계속된다. 출혈(점상출혈,비출혈 잇몸출혈). 뎅기 출혈열 혹은 뎅기

키워드

  • 가격13,86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2.09.24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72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