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리극의 개념
2. 심리극의 구성요소
3. 심리극의 진행과정
4. 심리극의 효과성
2. 심리극의 구성요소
3. 심리극의 진행과정
4. 심리극의 효과성
본문내용
ic deviate scale)점수가 낮아져서 공격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한상순(1990)은 만성정신분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심리극을 실시한 결과 총체적 자아긍정성, 자아수용, 사회적 자아와 같은 자아개념의 3영역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최근에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 행동의 적절성과 사회적 조망능력의 장애를 진단하기 위하여 완전한 심리극의 형태는 아니지만 역할연기를 이용하여 사회적 행동의 적절성이 부족하고 자신의 사회적 행동을 조망하는 능력이 정상인과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밝혔다(박상규, 1996).
다음으로 대학생 및 일반 정상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심리극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심리극은 건강한 사람의 정서적 갈등과 대인관계상의 인식에 도움을 주며(성금영, 1983), 대학생들의 자아강화에 효과적이었으며(이은순강순화, 1985), 대학생 집단에게 심리극을 실시한 후 TAT 및 Yalom(1970)의 집단치유 인자를 통해 심리극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김해열 . 김혜남 . 김유광, 1992).
김정택과 심혜숙(1991)의 연구에서는 대학의 집단상담 장면에서 실제로 실시한 경험적 자료를 통해서, 심리극이 대학 장면에서 보다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많은 대학생들 사이에서 보다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많은 대학생들 사이에서 심리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료, 교육적인 측면에서 집단상담의 방법으로 심리극이 실시되는 학교가 늘어가고 있다는(이은순 . 강순화, 1990) 현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심리극이 대학생들의 자아발달 및 성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대학생들에게 심리극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대인간 갈등해결 방식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동적인 갈등해결 방식보다 능동적 갈등해결 방식의 채택이 증가하였으며 갈등격하 방식보다 갈등완화 방식의 채택이 의의 있게 증가하였음을 보여주었다(이경희, 1992). 그리고 박정희(1996)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극을 실시하여 통찰수준과 감정표현의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통찰수준의 변화양상은 각 회기의 초기에서보다 후기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그 다음으로 비행청소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행동화 경향이 높은 청소년들의 행동갈망(Acting-hunger)을 충족시켜주며, 잉여 현실, 자발성, 창조성 및 역할 확장 등을 통해 그들을 도울 수 있다고 하였다(Sidersky, 1984). 그리고 청소년 집단에서는 심리극과 같은 행동에 기초한 기술들이 주로 언어적이고 해석적인 기술들보다 더욱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있다.
박상미(1991)는 공격적 성향을 지닌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비구조적 심리극을 통해 공격성의 감소와 자아개념 특히 자아행동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밝혔으며, 이미정(1986) 등도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심리극에서 충동조절 및 성격발달, 대인관계방식 등의 발달과 통찰력을 증진시키는데 심리극의 효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이경희(1992)는 자아개념의 긍정적 변화와 대인관계 갈등양식에서 능동적 갈등완화방식의 증가를 보고하였다.
김유광(1983)에 의하면 대인관계의 측면에서 심리극은 개인이 보다 자율성과 신뢰성, 선도성, 자기개방, 자기주장 등에 좀더 큰 역량을 갖게 되고 다른 사람의 약함, 공포, 욕구, 기질적 차의 증가된 인식을 배우게 되며 자신을 명백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대인관계의 대화에 있어서 덜 왜곡되게 듣고, 감정이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우게 된다고 하였다.
이선화(1992)는 구조화된 자아강화를 위한 심리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비행청소년들에게 실시한 결과 자아강화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김민정(1996)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능동적인 갈등해결방식에 대한 연구결과 갈등을 완화시키는 방식이 증대되고 갈등을 격하시키는 방식은 감소시켰다고 하였다. 양재혁(1995)은 심리극 집단상담이 충동성을 감소시키고 대인간 갈등해결방식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송종용(1994)도 여자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심리극을 실시하여 집단치료 과정 변인을 평가하고 주관적 경험을 분석하였는데 부모에 대한 이해, 자기행동에 대한 통찰, 감정정화와 부정적 감정의 감소, 긍정적 자기평가와 자신감 등이 보고되었다.
Lasserner(1950)는 최소 구류 유형의 소년들을 위한 소년원에 적용된 심리극이 그들의 삶의 가치를 정립하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했다.
Haskell(1960a)도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보도(After - Care)프로그램을 실시하였는데, 이 프로그램은 학교,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그들의 교정을 돕는 것으로 교정과정 안에서 그들의 실제 문제들을 드러내어 해결을 돕고, 역할훈련으로 그들에게 해결장면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역할훈련(role training)을 포함한 보도 프로그램이 역할 훈련을 포함하지 않은 보도 프로그램 보다 훨씬 더 역할 훈련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
Deeths(1970)역시 심리극을 통하여 약물중독 비행청소년들이 진실한 행동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고했다.
따라서 심리극은 자신의 문제해결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에 영향을 끼치며, 궁극적으로 가정 및 학교생활에서의 문제해결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조성희, 1999), 대인관계 및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중요변인인 자기개방과 자기수용의 집단역동성을 강조하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갈등을 표출하고, 자신의 입장 뿐 아니라 타인의 입장이 되어봄으로써 그들을 이해하고 자신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하고 올바른 애착과 그와 연결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다(Moreno, 1985).
이와같이 비행청소년에 대한 심리극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자아 및 자기개념강화, 충동성 및 공격성 감소, 역할훈련, 대인관계기술 증진, 자신과 타인의 행동과 문제에 대한 통찰, 자유로운 감정표현 및 감정정화, 정서적 갈등 해소, 능동적 갈등해결방식, 자발적이고 긍정적인 태도, 가치관 확립 등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다음으로 대학생 및 일반 정상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심리극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심리극은 건강한 사람의 정서적 갈등과 대인관계상의 인식에 도움을 주며(성금영, 1983), 대학생들의 자아강화에 효과적이었으며(이은순강순화, 1985), 대학생 집단에게 심리극을 실시한 후 TAT 및 Yalom(1970)의 집단치유 인자를 통해 심리극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김해열 . 김혜남 . 김유광, 1992).
김정택과 심혜숙(1991)의 연구에서는 대학의 집단상담 장면에서 실제로 실시한 경험적 자료를 통해서, 심리극이 대학 장면에서 보다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많은 대학생들 사이에서 보다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많은 대학생들 사이에서 심리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료, 교육적인 측면에서 집단상담의 방법으로 심리극이 실시되는 학교가 늘어가고 있다는(이은순 . 강순화, 1990) 현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심리극이 대학생들의 자아발달 및 성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대학생들에게 심리극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대인간 갈등해결 방식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동적인 갈등해결 방식보다 능동적 갈등해결 방식의 채택이 증가하였으며 갈등격하 방식보다 갈등완화 방식의 채택이 의의 있게 증가하였음을 보여주었다(이경희, 1992). 그리고 박정희(1996)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극을 실시하여 통찰수준과 감정표현의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통찰수준의 변화양상은 각 회기의 초기에서보다 후기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그 다음으로 비행청소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행동화 경향이 높은 청소년들의 행동갈망(Acting-hunger)을 충족시켜주며, 잉여 현실, 자발성, 창조성 및 역할 확장 등을 통해 그들을 도울 수 있다고 하였다(Sidersky, 1984). 그리고 청소년 집단에서는 심리극과 같은 행동에 기초한 기술들이 주로 언어적이고 해석적인 기술들보다 더욱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있다.
박상미(1991)는 공격적 성향을 지닌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비구조적 심리극을 통해 공격성의 감소와 자아개념 특히 자아행동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밝혔으며, 이미정(1986) 등도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심리극에서 충동조절 및 성격발달, 대인관계방식 등의 발달과 통찰력을 증진시키는데 심리극의 효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이경희(1992)는 자아개념의 긍정적 변화와 대인관계 갈등양식에서 능동적 갈등완화방식의 증가를 보고하였다.
김유광(1983)에 의하면 대인관계의 측면에서 심리극은 개인이 보다 자율성과 신뢰성, 선도성, 자기개방, 자기주장 등에 좀더 큰 역량을 갖게 되고 다른 사람의 약함, 공포, 욕구, 기질적 차의 증가된 인식을 배우게 되며 자신을 명백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대인관계의 대화에 있어서 덜 왜곡되게 듣고, 감정이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우게 된다고 하였다.
이선화(1992)는 구조화된 자아강화를 위한 심리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비행청소년들에게 실시한 결과 자아강화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김민정(1996)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능동적인 갈등해결방식에 대한 연구결과 갈등을 완화시키는 방식이 증대되고 갈등을 격하시키는 방식은 감소시켰다고 하였다. 양재혁(1995)은 심리극 집단상담이 충동성을 감소시키고 대인간 갈등해결방식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송종용(1994)도 여자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심리극을 실시하여 집단치료 과정 변인을 평가하고 주관적 경험을 분석하였는데 부모에 대한 이해, 자기행동에 대한 통찰, 감정정화와 부정적 감정의 감소, 긍정적 자기평가와 자신감 등이 보고되었다.
Lasserner(1950)는 최소 구류 유형의 소년들을 위한 소년원에 적용된 심리극이 그들의 삶의 가치를 정립하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했다.
Haskell(1960a)도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보도(After - Care)프로그램을 실시하였는데, 이 프로그램은 학교,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그들의 교정을 돕는 것으로 교정과정 안에서 그들의 실제 문제들을 드러내어 해결을 돕고, 역할훈련으로 그들에게 해결장면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역할훈련(role training)을 포함한 보도 프로그램이 역할 훈련을 포함하지 않은 보도 프로그램 보다 훨씬 더 역할 훈련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
Deeths(1970)역시 심리극을 통하여 약물중독 비행청소년들이 진실한 행동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고했다.
따라서 심리극은 자신의 문제해결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에 영향을 끼치며, 궁극적으로 가정 및 학교생활에서의 문제해결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조성희, 1999), 대인관계 및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중요변인인 자기개방과 자기수용의 집단역동성을 강조하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갈등을 표출하고, 자신의 입장 뿐 아니라 타인의 입장이 되어봄으로써 그들을 이해하고 자신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하고 올바른 애착과 그와 연결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다(Moreno, 1985).
이와같이 비행청소년에 대한 심리극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자아 및 자기개념강화, 충동성 및 공격성 감소, 역할훈련, 대인관계기술 증진, 자신과 타인의 행동과 문제에 대한 통찰, 자유로운 감정표현 및 감정정화, 정서적 갈등 해소, 능동적 갈등해결방식, 자발적이고 긍정적인 태도, 가치관 확립 등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추천자료
오페라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감상문
[영미희곡 페이퍼] Artist Descending a Staircase 에 나타난 전위 사조의 평가에 대한 고찰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위상과 평가
시학 요약 정리
드라마 시청행태 연구 분석- 연령대별 드라마 선택 요인 및 드라마 제작시 시사점
김수현의 드라마를 통해 살펴 본 대중문화
[TV뉴스][텔레비전뉴스][뉴스][언론][뉴스보도][취재][기사]TV뉴스의 유형, TV뉴스의 구조, T...
사회언어학의 의의, 국어방언의 사회언어학, 드라마의 청자대우법에 대한 사회언어학, 인터넷...
삼성전자 애니콜(Anycall)의 마케팅 전략분석
[일본전통문화] 전통문화 라쿠고(落語)의 현대적 의미
연극의 서비스 마케팅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_오페라의유령]현대연극이 지닌 특징이나 성향중 한가지를 선택하고 과...
Potentiometric Halide Titration with Ag+
영화장르연구 -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