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조직구성원간 신뢰, 조직에 대한 자부심 등을 강조한 GWP(Great Work Place:좋은 일터 만들기)에 대한 의미와 실제 운영 사례에 대해 정리해 봅시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근들어 조직구성원간 신뢰, 조직에 대한 자부심 등을 강조한 GWP(Great Work Place:좋은 일터 만들기)에 대한 의미와 실제 운영 사례에 대해 정리해 봅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GWP(Great Work Place : 좋은 일터 만들기)의 의미
 2. GWP 100대 기업의 특징
 3. 사회적 요소에 따른 장ㆍ단점
 3. GWP 운영 사례
  1) IT 서비스업체 포스테이타 사례
  2) 삼성네트웍스 사례
  3) KTF 및 LG CNS 사례
  4) 삼성증권 사례
  5) 삼성전자 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상, 스포츠 행사 등이 이뤄진다.
5) 삼성전자 사례
‘훌륭한 일터’(GWP)로 거듭나기 위해 임직원간 대화 장벽 허물기에 나선 삼성전자는 매일 오전 사내방송이 끝난 뒤 10분 동안 그룹 또는 파트 단위로 10분 모닝 토크 시간을 갖고 있다. 정기 업무회의와는 별도로 진행되는 10분 모닝 토크를 통해 상사와 부와직원들이 부드러운 분위기 속에서 업무 이면의 속엣 얘기나 일상의 가벼운 대화를 나누면서 서로에 대한 공감대를 높여나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아울러 1998년부터 반도체총괄에서 실시해온 GWP 운동을 전사적으로 확대 실시하여 기업문화 개선을 위한 직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뒤 그 결과를 반영해 임직원들이 직장생활에서 자부심과 즐거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GWP의 의미와 실제 운영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의 내용과 같이 국외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이러한 관리 방식을 통하여 구성원들과 소통하기 위한 다방면의 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Ⅳ 참고문헌
- 권희경, “GWP 구현을 위한 실내디자인의 연구”, 홍익대, 2010
- 권희경외, “GWP 구현을 위한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9
  • 가격2,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7.09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76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