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및 정의
2. 원인
3. 빈도
4. 병리
5. 진단 및 증상
6. 치료
7. 간호
2. 원인
3. 빈도
4. 병리
5. 진단 및 증상
6. 치료
7. 간호
본문내용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전문가에 의해 재교육 훈련이 주어졌을 때 결과가 가장 좋다.
7. 간호
① 발작 직후는 팔은 어깨에서 약간 바깥쪽으로 비튼 위치를 취하게 하고, 다리는 죽 뻗게 하여 족관절을 굴곡시켜 첨족이 되는 것을 예방한다.
② 욕창을 예방하기 위해서 이불은 푹신하고 깨끗한 것을 덮고, 옷의 구김살에 조심한다. 천골부배부 등에 베개를 대고, 알코올로 마사지하여 욕창을 예방한다.
③ 수일 후부터는 마비된 팔과 다리에 가벼운 마사지를 시작하여 타동적 자동적으로 운동을 시킨다. 손가락운동은 장래의 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가지게 되므로 중요하다. 침대 위에 일어나 앉게 하는 시기 등도 증세에 따라 가급적 빨리 하는 편이 좋다.
④ 뇌출혈은 발작 직후 절대 안정을 요하며 눕혀 둔다.
⑤ 구토가 있으면 토한 것을 흡인하지 않도록 머리를 조금 옆으로 향하게 한다.
⑥ 음부항문을 청결하게 하고, 보온에 충분히 유의한다.
⑦ 변통에도 주의하고 필요하면 관장한다.
⑧ 발작 후 48시간 이상 음식의 섭취가 불가능한 때는 수액을 정맥으로 주입한다.
⑨ 여러 날 계속해서 음식을 섭취하지 못한 때는 튜브를 코로부터 위 속에 넣고 유동식을 넣어 준다.
7. 간호
① 발작 직후는 팔은 어깨에서 약간 바깥쪽으로 비튼 위치를 취하게 하고, 다리는 죽 뻗게 하여 족관절을 굴곡시켜 첨족이 되는 것을 예방한다.
② 욕창을 예방하기 위해서 이불은 푹신하고 깨끗한 것을 덮고, 옷의 구김살에 조심한다. 천골부배부 등에 베개를 대고, 알코올로 마사지하여 욕창을 예방한다.
③ 수일 후부터는 마비된 팔과 다리에 가벼운 마사지를 시작하여 타동적 자동적으로 운동을 시킨다. 손가락운동은 장래의 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가지게 되므로 중요하다. 침대 위에 일어나 앉게 하는 시기 등도 증세에 따라 가급적 빨리 하는 편이 좋다.
④ 뇌출혈은 발작 직후 절대 안정을 요하며 눕혀 둔다.
⑤ 구토가 있으면 토한 것을 흡인하지 않도록 머리를 조금 옆으로 향하게 한다.
⑥ 음부항문을 청결하게 하고, 보온에 충분히 유의한다.
⑦ 변통에도 주의하고 필요하면 관장한다.
⑧ 발작 후 48시간 이상 음식의 섭취가 불가능한 때는 수액을 정맥으로 주입한다.
⑨ 여러 날 계속해서 음식을 섭취하지 못한 때는 튜브를 코로부터 위 속에 넣고 유동식을 넣어 준다.
키워드
추천자료
ICU case study
한방병원 뇌졸중(CVA) 환자 간호 케이스
간호 - 뇌졸증 case
[Case Study] 보건소-성인케이스(뇌졸중,CVA)
일과성허혈발작(TIA)
Subdural Hemorrhage. SDH - SICU실습 case study
뇌졸중케이스
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 간호사례
뇌졸중 CVA 케이스스터디
NSICU, T-SDH (Traumatic Subdural Hematoma), case
임신성 고혈압 케이스 A+
뇌졸중 케이스 스터디
SAH case study 11
뇌졸중 케이스, 중환자실 케이스, 중환자실 간호과정 A++ case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