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성인간호학_용어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허약, 연하곤한, 맥박상승 등이 있다.
*Hemophilia 혈우병
:선천적으로 출혈하기 쉬운 체질로서 자발적 또는 경미한 외상에 의해서도 쉽게 출혈하며, 지혈이 잘 되지 않아 때로는 사망하는 수도 있다. 유전형식은 반성열성유전며 혈우병 가족에 속하는 여자에 의하여 그 유전자가 자녀에게 전해지는데 이 질환이 나타나는 것은 거의 남자아이이고, 여자아이에게는 드물게 나타난다. 혈장 속에 존재하는 항혈우병 글로불린(AHG)이 선천적으로 결여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혈액응고 과정에서 트롬보플라스틴의 출현이 불완전하게 되는 것을 혈우병 A라고 한다. 증세는 출생 직후부터 나타나는데 신생아의 배꼽에서 다량의 출혈을 볼 때가 있다. 많은 경우 보행을 시작할 무렵에 타박이나 손상이 실마리가 되어 발견되는 수가 많다. 그 밖에 칫솔에 의한 잇몸출혈, 발치 후의 출혈, 비점막의 손상 등으로도 쉽게 출혈하여 잘 멎지 않는다. 무릎관절이나 발관절에 종창 ·동통을 수반하는 혈성관절누출(血性關節漏出)을 일으키는 수가 많고, 관절의 기형이나 기능장애를 남긴다.
*Disseminated imtravascular coagulation(DIC) 산재성 혈관내 응고증
:응고기전이 갑작스럽게 비정상적으로 자극되는 상태이다. 정상적인 응고과정이나 응고기전에서는 응고의 형성과 분해가 조화를 이루지만 DIC에서는 균형이 깨어진다. 비정상적인 응고가 폭발적으로 자극되면 광범위하게 퍼진 혈전이 혈성되며 이 과정에서 응고인자와 혈소판이 모두 고갈된다. 또한 과도한 혈전형성은 섬유소 용해과정을 활성화시킨다. 응고인자와 혈소판의 고갈 및 섬유소 용해과정이 활성화됨으로써 심한 출혈을 초래한다.
*Leukemia의 종류
:①급성 림프성 백혈병
-소아기에 가장 흔한 악성질환으로 사망원인 중 2위를 차지한다. 2세와 10세 사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그 다음으로 중년기나 장년기에 발생한다. 급성 림프성 백혈병은 미성숙 림프구나 림프아구와 비슷한 백혈병 림프아구가 골수에 축적된 상태이다. 정상적인 골수조혈, 적혈구 조혈과 거대핵구 조혈을 위한 전구물질은 밀려 나간다.
②만성 림프성 백혈병
-잠행성으로 발병하고 대개 정기 혈액검사에 의해 우연히 발견된다. 서구에서 노인에게 흔하며 50~70세에 호발한다. 림프절에서 작고 비정상적인 B림프구가 축적된다. 이로 인해 면역글로불린의 합성이 저하되어 저감마글로불린혈증을 나타내고 항체반응이 억제된다.
③급성 골수성 백혈병
-12~20세 그리고 55세이후에 나타난다. 골수세포를 침법하는 악성장애이며 다른 골수성분도 핌범할 수 있다. 미성숙 과립구가 골수에 비정상적으로 증식하고 축적된다. 결국 비정상적인 백혈병 세포는 정상적인 골수생산을 방해하여 조혈과정을 손상시킨다.
④만성 골수성 백혈병
-30~50세에 흔히 발병된다. 성숙한 과립구가 골수, 혈액과 비장에서 비정상적으로 과다축적되고 과다성숙하는 악성장애이다. 이러한 장애는 염색체 이상과 관련이 있다. 과립구는 수명이 길어질 수 있고 식균작용을 통하여 감염에 저항하는 능력은 그대로 유지되거나 상실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7.11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8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