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계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심장의 구조

2. 폐순환과 체순환

3. 심장의 자극 전도계
1) 동방결절(sinoartrial node : SA node)
2)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 AV node)
3) 히스 속- 퍼킨제 섬유(= 방실 속(A-V bundle))

4. 관상순환

5. 심장 주기

6. 심음

7. 심박출량과 심장지수

8. 혈압
1) 동맥압
2) 모세관압
3) 정맥압

9. 순환계의 조절
1) 심근의 특성
2) 신경성 조절
3) 신장성 조절

<Reference>

본문내용

심방근의 흥분 → 방실 결절 → His bundle → purkinje 섬유 → 심장근육 깊이 전달
⑤ 수축성
- 심근 : 가로무늬가 있는 횡문근, 흥분하면 강력하게 수축
- 자극 → 길이가 짧아지고 두꺼워짐 → 수축 → 다시 길어짐 → 이완
- 심근의 강한 수축성 : 심실내의 혈액을 동맥계로 분출 ⇒ 펌프의 작용 완수
심실수축 시 : 심근섬유 최대한 단축 ⇒ 심장의 수축력 강해짐
이완 시 : 심근섬유 최대한 이완
- 심근의 수축력 ∝ 심근섬유의 길이 (Frank Starling's law) ⇒ 심박출량에 영향
심근 수축력 증가 : catecholamines(부신피질 호르몬 : epinephrine, norepinephrine, dopamine)이나 digitalis, 칼슘, 글루코겐, 기타 교감신경 흥분제에 의하여
심근 수축력 감소 : 저산소혈증, propranolol, quinidine, procainamide, lidocaine. barbiturate 등의 약물에 의하여
⑥ 신장성
- 심장의 수축에 이어 확장되는 능력
- 정상적으로 이완기말에 심근섬유의 길이가 최대로 길어져 신장성이 강해지면
심근의 수축력도 강해짐
⑦ 자동성
- 신경계와 무관하게 스스로 박동할 수 있는 자동능력
⇒ 심장의 특수전도계에 있는 유도세포(leading cell)와 이 세포와 연결되어 박동하는
추정세포(following cell)에 의해 이루어짐
2) 신경성 조절
심장의 기능조절 :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의 촉진 작용과 부교감신경의 억제작용에 의해
항상 일정한 긴장과 항상성을 유지하게 됨
연수에 있는 심장조절 중추의 지배(자율신경계)
- 교감신경 섬유 : 촉진 신경섬유
심박동수와 심장의 수축력 강화
신경 자극→심장의 교감신경 말단부에서 catecholamine 분비
→심박동수 증가→혈관수축→혈압상승
→방실결절의 불응기(refractory period)가 짧아져 심장에 부담
- 부교감신경 섬유 : 억제 신경섬유
동방결절과 방실결절에 있는 미주신경 말단 자극 →acetylcholine 분비 →심박동수의 감소로 불응기가 길어져 심근의 휴식기를 연장
- 압수용기 : 심장의 반사기전을 일으키는 세포
⇒ 신체활동에 따라서 정상적으로 혈압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작용
혈압 상승→압수용기 흥분→교감신경→연수에 있는 혈관이완중추와 심장억제 중추로 자극이 전달→동맥압과 심박동수 하강→혈압 조절
동맥압 수용기 : 동맥압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신경말단
대동맥궁과 경동맥동에 위치한 소체 ⇒동맥혈관 내에서의 압력변화에 대응
정맥압 수용기 : 우심방과 상대정맥 끝에 있는 특수 신경세포
이곳의 내압 상승 → 심장 촉진중추를 자극→심박동수 증가
대정맥압과 우심방압이 하강될 때는 반대 현상이 나타남
- 화학수용기 : 대동맥궁과 경동맥 소체에 있음
혈액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변동에 매우 민감한 세포
- 고위 뇌중추 : 사람의 감정을 조절하는 중추
대뇌피질과 시상하부에 위치
두려움이나 분노 : 심장 기능 항진, 혈압과 심박동수 증가
3) 신장성 조절
신장 : 혈액 중에 있는 나트륨과 수분의 축적 및 배설작용에 의해 혈액순환과 혈압 조절
순환 혈량과 혈압 하강 → 신사구체에서의 여과 작용 감소
→ 항이뇨호르몬(ADH)와 알도스테론(aldosterone)의 분비 증가
→ 소변량 감소, 수분
축적 → 혈압 상승, 혈량 증가

1. 다섯째판 성인간호학 下 Ⅲ. 서문자 이형련 외 / 수문사
2. The Civa Collection Of Medical lllustrations. Volume 5 HEART.
Frank.H.Netter,M.D. / CIBA원색도해의학총서 편찬위원회 편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1.11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10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