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례연구보고서 양식---------------P. 1 - 27
1. 연구목적(해부, 생리, 병리적)-------------------------------------------------------------p. 1
2.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p. 1
3.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 림프종 (Lymphoma)---------------------------------------------p. 2 - 4
◎ 문헌고찰 : 질환명, 정의, 원인, 증상, 치료, 간호 / 사례대상자-----------------------------p. 5 - 6
▣ 간호사정------------------------------------------------------------------------------p. 6 - 8
5. 현재병력------------------------------------------------------------------------------p. 8
6. 간호력 조사---------------------------------------------------------------------------p. 9
▣ 진단적 검사--------------------------------------------------------------------------p. 9 - 14
7. 영양지표 평가(결과 기준 저위험군 : 1~5점, 중위험군 : 6~12점, 고위험군 : 13점 이상)-----p. 15
*의사처방--------------------------------------------------------------------------------p. 15
▣ 약물요법------------------------------------------------------------------------------p. 16 - 27
Ⅱ.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를
진단, 계획, 수행, 평가-------------P. 27 - 35
*NANDA 간호진단의 우선순위-----------------------------------------------------------p. 27
▣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p. 28 - 32
1. 면역기능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p. 32 - 33
2. 식욕부진과 연하곤란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 영양 부족---------------------------------p. 33 - 34
3. 항암제 주입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p. 34 - 35
*참고문헌-----------------------------------------------------------------------------p. 35
1. 연구목적(해부, 생리, 병리적)-------------------------------------------------------------p. 1
2.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p. 1
3.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 림프종 (Lymphoma)---------------------------------------------p. 2 - 4
◎ 문헌고찰 : 질환명, 정의, 원인, 증상, 치료, 간호 / 사례대상자-----------------------------p. 5 - 6
▣ 간호사정------------------------------------------------------------------------------p. 6 - 8
5. 현재병력------------------------------------------------------------------------------p. 8
6. 간호력 조사---------------------------------------------------------------------------p. 9
▣ 진단적 검사--------------------------------------------------------------------------p. 9 - 14
7. 영양지표 평가(결과 기준 저위험군 : 1~5점, 중위험군 : 6~12점, 고위험군 : 13점 이상)-----p. 15
*의사처방--------------------------------------------------------------------------------p. 15
▣ 약물요법------------------------------------------------------------------------------p. 16 - 27
Ⅱ.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를
진단, 계획, 수행, 평가-------------P. 27 - 35
*NANDA 간호진단의 우선순위-----------------------------------------------------------p. 27
▣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p. 28 - 32
1. 면역기능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p. 32 - 33
2. 식욕부진과 연하곤란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 영양 부족---------------------------------p. 33 - 34
3. 항암제 주입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p. 34 - 35
*참고문헌-----------------------------------------------------------------------------p. 35
본문내용
umin
2.8~3.2
2.1~2.7
√
<2.1
TLC
1200~1500
800~1100
√
<800
T. cholesterol
220~240
√
100~120
>300
체중변화
<5% 감소
5~10% 감소
√
>10% 감소
[표 3]
- 평가일 : 2015.07.30
위험도 분류
지표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
비고
%IBW
80~89%
√
70~79%
<70%
영양지표 평가 결과 5점으로 저위험군으로 판정 받아 영양불량이 초래하는 것으로 평가 받고 영양 상태를 개선을 위해 간호 수행 필요
Albumin
2.8~3.2
√
2.1~2.7
<2.1
TLC
1200~1500
800~1100
√
<800
T. cholesterol
220~240
√
100~120
>300
체중변화
<5% 감소
√
5~10% 감소
>10% 감소
[표 4]
*의사처방(2015.07.23~2015.07.27)
- V/S check q/hr
- B wet. qd check
- pain scorung q8hr check
- ambulation
- 상식
- 영양 교육
- R-CHOP
- G-CSF
▣ 약물 요법
약명
(상품명)
투여목적
투여량 및 방법
약리작용
부작용 및 간호
Lasix정40ml
고혈압(본태성, 신성 등), 심성부종(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복수), 말초혈관성부종
1일 1회 20~80㎎을 연일 또는 격일 경구 투여한다.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6~8시간마다 20~40㎎씩 증량하여 1일 1~2회 투여한다.
상행 henle 고리와 원위 세뇨관에서 나트륨과 염소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염소가 결합하는 공수송계를 방해해서 물과 나트룸, 염소, 마그네슘, 칼슘의 배설을 증가시킨다.
1) 대사 및 영양- 저나트륨혈증, 저염소혈증- 저칼륨혈증, 저칼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전해질장애(증후성 포함)와 대사성 알칼리증- 특히 고령자에서 탈수와 저혈량증- 일시적인 혈중 크레아티닌과 요소 증가-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증가- 혈중 요산의 증가와 통풍 발작- 당내성 손상. 잠재적 당뇨병이 확실한 당뇨병으로 나타날 수 있음. - Pseudo-Bartter씨 증후군
2) 심혈관계- 부정맥- 기립성 저혈압을 포함한 저혈압- 혈전증- 혈관염
3) 신장 및 비뇨기계- 급성뇨저류 (뇨배출이 부분적으로 폐색된 환자의 경우)- 간질신장염- 조산아의 경우 신장석회/신장결석- BUN과 혈중크레아티닌의 증가- 소변량 증가- 뇨중 나트륨 및 염소 증가- 신부전
4) 위장관계- 구갈, 구역, 구토, 설사- 급성 췌장염- 식욕부진
5) 간 담도계- 간내 담즙정체, 간 내 트랜스아미나제 증가- 황달
6) 눈- 시각 이상
7) 귀 및 미로- 청각장애와 이명(주로 일시적이나 특히 신장질환/ 저단백혈증 (예, 신증후군) 환자나 정맥투여로 약물이 너무 빠르게 투여되었을 경우)-난청
8) 피부 및 피하조직
- 가려움, 두드러기, 발진,
- 물집피부염, 다형홍반, 박탈피부염
-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독성표피괴사용해
- 유사천포창, 급성전신발진농포증
- 자색반, 광과민반응
- 호산구증가증
- 전신증상을 동반한 약물성발진
9) 면역계
- 아나필락시스 반응, 아나필락시양 반응 (예.쇼크)
10) 신경계- 감각이상- 간성뇌병증(간세포의 기능저하 환자)- 집중력 및 반응도 저하
- 혼돈, 현기증, 두중감, 어지러움, 졸림, 쇠약
11) 혈액 및 림프계- 혈소판감소증, 백혈구감소증, 과립구감소, 무과립구증, 호산구 증가증
-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용혈성 빈혈- 혈액농축
12) 근골격계- 근육경련, 강직, 근무력
13) 선천성 내지 유전성- 조산아에게 생후 첫 주에 투여 시 타고난 동맥관열림증의 유지 위험이 증가
14) 투여 부위 및 일반- 근육내 주사 시 통증 등의 국소반응- 발열- 무력감, 권태감
리리카캡슐150mg (Lyrica Cap. 150mg)
효능/효과:
1. 성인에서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Peripheral neuropathic pain)의 치료
2. 간질 (Epilepsy)
성인에서 이차적 전신증상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부분발작의 보조제
신경병증성 통증
1)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성인: 이 약은 시작용량으로 1일 150 mg을 투여할 수 있다. 개개 환자에서의 반응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3일 내지 7일 후에 1일 300 mg을 투여하는 것으로 증량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이후 7일 간격으로 1일 최대 600 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2)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성인: 이 약은 시작용량으로 1일 150 mg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개개 환자에서의 반응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1주일 후에 1일 300 mg을 투여하는 것으로 증량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1주일 후에 목표 1일 용량인 600 mg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목표 1일 용량에서 내약성을 나타내지 않을 경우 용량 감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4. 투여의 중단’항 참고)
2. 간질
성인: 이 약은 시작용량으로 1일 150 mg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개개 환자에서의 반응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일주일 후에 1일 300 mg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이 후 7일 간격으로 1일 최대 600 mg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3. 섬유근육통
섬유근육통에 대한 이 약의 권장 용량은 1일 300 mg ~ 450 mg 입니다. 이 약은 시작 용량으로 75 mg 씩 1일 2회 (1일 150 mg)를 투여하며, 유효성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1주일 이내에 150 mg 씩 1일 2회 (1일 300 mg) 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1일 300 mg의 용량에서 충분한 유익성을 경험하지 못한 환자의 경우에는 1주일 이내에 225 mg 씩 1일 2회 (1일 450 mg) 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1일 600 mg의 용량에서도 임상 연구가 실시되었으나, 이 용량에서의 부가적인 유익성이나 충분한 내약성에 대한 증거는 없습니다. 용량 의존적인 이상반응을 고려하면, 1일 450 mg을 초과하는 용량 투여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CNS에 있는 voltage-gated calcium channels의 alpha2-delta subunit에 결합하여 흥분성 신경
2.8~3.2
2.1~2.7
√
<2.1
TLC
1200~1500
800~1100
√
<800
T. cholesterol
220~240
√
100~120
>300
체중변화
<5% 감소
5~10% 감소
√
>10% 감소
[표 3]
- 평가일 : 2015.07.30
위험도 분류
지표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
비고
%IBW
80~89%
√
70~79%
<70%
영양지표 평가 결과 5점으로 저위험군으로 판정 받아 영양불량이 초래하는 것으로 평가 받고 영양 상태를 개선을 위해 간호 수행 필요
Albumin
2.8~3.2
√
2.1~2.7
<2.1
TLC
1200~1500
800~1100
√
<800
T. cholesterol
220~240
√
100~120
>300
체중변화
<5% 감소
√
5~10% 감소
>10% 감소
[표 4]
*의사처방(2015.07.23~2015.07.27)
- V/S check q/hr
- B wet. qd check
- pain scorung q8hr check
- ambulation
- 상식
- 영양 교육
- R-CHOP
- G-CSF
▣ 약물 요법
약명
(상품명)
투여목적
투여량 및 방법
약리작용
부작용 및 간호
Lasix정40ml
고혈압(본태성, 신성 등), 심성부종(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복수), 말초혈관성부종
1일 1회 20~80㎎을 연일 또는 격일 경구 투여한다.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6~8시간마다 20~40㎎씩 증량하여 1일 1~2회 투여한다.
상행 henle 고리와 원위 세뇨관에서 나트륨과 염소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염소가 결합하는 공수송계를 방해해서 물과 나트룸, 염소, 마그네슘, 칼슘의 배설을 증가시킨다.
1) 대사 및 영양- 저나트륨혈증, 저염소혈증- 저칼륨혈증, 저칼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전해질장애(증후성 포함)와 대사성 알칼리증- 특히 고령자에서 탈수와 저혈량증- 일시적인 혈중 크레아티닌과 요소 증가-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증가- 혈중 요산의 증가와 통풍 발작- 당내성 손상. 잠재적 당뇨병이 확실한 당뇨병으로 나타날 수 있음. - Pseudo-Bartter씨 증후군
2) 심혈관계- 부정맥- 기립성 저혈압을 포함한 저혈압- 혈전증- 혈관염
3) 신장 및 비뇨기계- 급성뇨저류 (뇨배출이 부분적으로 폐색된 환자의 경우)- 간질신장염- 조산아의 경우 신장석회/신장결석- BUN과 혈중크레아티닌의 증가- 소변량 증가- 뇨중 나트륨 및 염소 증가- 신부전
4) 위장관계- 구갈, 구역, 구토, 설사- 급성 췌장염- 식욕부진
5) 간 담도계- 간내 담즙정체, 간 내 트랜스아미나제 증가- 황달
6) 눈- 시각 이상
7) 귀 및 미로- 청각장애와 이명(주로 일시적이나 특히 신장질환/ 저단백혈증 (예, 신증후군) 환자나 정맥투여로 약물이 너무 빠르게 투여되었을 경우)-난청
8) 피부 및 피하조직
- 가려움, 두드러기, 발진,
- 물집피부염, 다형홍반, 박탈피부염
-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독성표피괴사용해
- 유사천포창, 급성전신발진농포증
- 자색반, 광과민반응
- 호산구증가증
- 전신증상을 동반한 약물성발진
9) 면역계
- 아나필락시스 반응, 아나필락시양 반응 (예.쇼크)
10) 신경계- 감각이상- 간성뇌병증(간세포의 기능저하 환자)- 집중력 및 반응도 저하
- 혼돈, 현기증, 두중감, 어지러움, 졸림, 쇠약
11) 혈액 및 림프계- 혈소판감소증, 백혈구감소증, 과립구감소, 무과립구증, 호산구 증가증
-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용혈성 빈혈- 혈액농축
12) 근골격계- 근육경련, 강직, 근무력
13) 선천성 내지 유전성- 조산아에게 생후 첫 주에 투여 시 타고난 동맥관열림증의 유지 위험이 증가
14) 투여 부위 및 일반- 근육내 주사 시 통증 등의 국소반응- 발열- 무력감, 권태감
리리카캡슐150mg (Lyrica Cap. 150mg)
효능/효과:
1. 성인에서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Peripheral neuropathic pain)의 치료
2. 간질 (Epilepsy)
성인에서 이차적 전신증상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부분발작의 보조제
신경병증성 통증
1)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성인: 이 약은 시작용량으로 1일 150 mg을 투여할 수 있다. 개개 환자에서의 반응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3일 내지 7일 후에 1일 300 mg을 투여하는 것으로 증량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이후 7일 간격으로 1일 최대 600 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2)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성인: 이 약은 시작용량으로 1일 150 mg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개개 환자에서의 반응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1주일 후에 1일 300 mg을 투여하는 것으로 증량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1주일 후에 목표 1일 용량인 600 mg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목표 1일 용량에서 내약성을 나타내지 않을 경우 용량 감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4. 투여의 중단’항 참고)
2. 간질
성인: 이 약은 시작용량으로 1일 150 mg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개개 환자에서의 반응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일주일 후에 1일 300 mg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이 후 7일 간격으로 1일 최대 600 mg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3. 섬유근육통
섬유근육통에 대한 이 약의 권장 용량은 1일 300 mg ~ 450 mg 입니다. 이 약은 시작 용량으로 75 mg 씩 1일 2회 (1일 150 mg)를 투여하며, 유효성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1주일 이내에 150 mg 씩 1일 2회 (1일 300 mg) 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1일 300 mg의 용량에서 충분한 유익성을 경험하지 못한 환자의 경우에는 1주일 이내에 225 mg 씩 1일 2회 (1일 450 mg) 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1일 600 mg의 용량에서도 임상 연구가 실시되었으나, 이 용량에서의 부가적인 유익성이나 충분한 내약성에 대한 증거는 없습니다. 용량 의존적인 이상반응을 고려하면, 1일 450 mg을 초과하는 용량 투여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CNS에 있는 voltage-gated calcium channels의 alpha2-delta subunit에 결합하여 흥분성 신경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Pneumonia][폐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통증간호][불안간호]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Dementia][치매]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의약학] [성인간호학][Burn][화상]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hronic obstru...
[성인간호학][Pancreatitis][췌장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hronic obstru...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Chronic Obstruct...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
[성인간호학][CPR][심폐소생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응급실케이스)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