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Ⅰ.질병연구--------------p1~p6
Ⅱ.대상자의 건강상태 사정-----P7~P11
Ⅲ. 신체사정-------------P11~P16
Ⅳ.간호진단-------------P16~P19
Ⅴ.출처-------------------P19
Ⅰ.질병연구--------------p1~p6
Ⅱ.대상자의 건강상태 사정-----P7~P11
Ⅲ. 신체사정-------------P11~P16
Ⅳ.간호진단-------------P16~P19
Ⅴ.출처-------------------P19
본문내용
는 9시PM까지 시술부위의 지혈대를 제거 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1.시술부위를 사정한다.
-시술 후 6시간 동안 1시간마다 시술부위를 사정한다.
-색, 부종, 온도, 감각 등을 사정한다.
출혈부위를 사정함으로써 지혈작용이 잘 이루어지는지 확인가능하다.
2.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시술 후 6시간 동안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출혈 징후를 사정한다.
지혈작용이 잘 이루어지는지 확인 가능하다.
3.처방에 따라 투약한다.
-센드백을 제거 2시간 후에 크렉산 주 60mg를 피하에 투여한다.
외과 영역의 수술 후 발생하는 정맥의 혈전 색전증을 예방한다.
4.환자와 가족에게 교육한다.
-시술 부위에 센드백을 유지 한다.
-.대상자에게 시술부위의 출혈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혈전용해제 복용 중임을 교육한다.
-검사한 부위의 무리한 움직임을 삼가도록 교육한다.
-대상자가 침상 안정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혈전용해제를 복용할 경우 지혈작용을 방지하기 때문에 작은 출혈도 위험하다.
간호평가
입원시(2/17)
전일(2/18)
오늘(2/19)
1PM
5PM
1AM
9AM
5PM
1AM
9AM
5PM
혈압(mmHg)
130/
80
130/
80
110/
60
110/70
110/
80
120/80
110/70
110/80
맥박(회/min)
74
60
52
62
65
60
64
62
호흡(회/min)
20
18
20
16
18
18
20
18
체온(℃)
36.7
36.5
36.6
36.7
36.6
36.8
36.7
36.8
시술 후 6시간동안 부종이나 출혈은 나타나지 않았다.
활력징후 이상없음을 확인했다.
센드백를 제거하였고(9PM) 시술 부위의 출혈이 없다.
간호진단명: #2섬유질이 결핍된 식이와 관련된 변비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고기드실 때 고기만 드시고 야채는 안드세요.”
“물을 잘 안드시고 인스턴트를 즐겨 드세요” By딸
“아랫배가 묵직해”
배변횟수: 1회/5-6일(불규칙) 배변양상: 땅콩같은 단단한 변
“힘세게줘도 안나와”,“배아파”, “똥싼거 같지도 않아”
객관적
자료
-복부 촉진 시 아랫배가 단단하다.
목표
장기목표
퇴원시까지 불편감을 느끼지 않고 매일 배변한다.
단기목표
2월19일까지 변비로 인한 불편감이 없다.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1.배변과 음식섭취 양상을 사정한다.
-일일 배변횟수와 수분섭취량,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를 사정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확한 배변양상을 파악해야한다.
2.변비예방을 위한 방법을 교육한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배변하도록 권장한다.
-고섬유질, 수분섭취(일일 1.5L이상)을 격려한다.
-고섬유질 식품을 알려주고 섭취를 격려한다.(곡식류- 현미, 율무, 보리, 콩, 옥수수, 귀리 등과 상추, 부추, 고사리, 근대, 숙주, 시래기나물, 양배추 등)
규칙적인 배변습관은 변의 배출을 용이하게 만든다.
수분섭취가 변비를 완화시킨다.
장내 부피형성 고섬유질 식이는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여 변비를 해소한다.
3.처방된 배변완화제를 투여한다.
-Colace 100mmg을 하루두번 구강으로 투여한다.
배변이 어려울 때에는 배변완화제의 도움이 필요하다.
4.활동량을 늘리도록 격려한다.
-2시간 마다 침상에서 일어나 방안과 복도를 걷도록 하여 활동량을 증가시킨다.
-복부 마사지를 시행한다.
활동의 증가는 배설기능을 촉진시켜준다.
간호평가
(2월 19일) 복부촉진결과 부드러움.
2일에 한번 300g정도 배변하심.
“예전보다는 편식이 줄어들고 하루에 물을 1L이상은 드세요” By딸
간호진단명: #3.퇴원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이제 앞으로 어떻게 해야 되는거에요?”
“뭘 해야 될지 모르겄네..”
객관적
자료
적절함
부적절함
비고
질병에 관한 지각상태
ㅇ
검사와 관련된 지식 정도
ㅇ
수술과 관련된 지식 정도
0
질병치료법에 관한 지식 정도
ㅇ
투약에 관한 지식 정도
ㅇ
본인의 신체활동에 관한 지각상태
ㅇ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질병상태와 투약 필요성, 증상 발생 시 대처 방법에 대해 간호사에게 설명할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퇴실 시까지 투약하는 법, 재발위험요인 등을 알고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1.대상자를 사정한다.
-대상자와 면담을 통해 질병의 원인이 되는 생활 습관을 탐구한다.
대상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직접간호
-대상자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 격려한다.
재발을 막기 위함이며 응급상황을 막기 위함이다.
3.환자와 가족의 교육
-퇴원 후 주기적인 검사를 시행해야 함을 교육하고 증상 발생 시 대처 방법을 교육한다.
-재발위험요인에 대해 교육한다.
(1)안위증진
-통증 증가 시키는 생리적, 정신적 요인을 제거, 감소시킴
(2)조직관류의 증진
-과도한 피로 피하도록 하고 어지러움, 호흡곤란, 흉통 나타나면 활동 중지
(3)체중조절, 저염식이, 저지방식이
(4)규칙적운동: 관상순환 증진
-투약에 대해 교육한다.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질환의 재발을 방지 할 수 있다.
-처방된 약물을 이해시키고 올바른 용량과 약물섭취시간을 교육하여야 대상자는 약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교육을 받는 이유와 교육을 통해 얻는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이 약은 하루에 한번 먹는다고?” 투약 시간에 대해 알고 있다.
-“앞으로 운동 좀 해야겠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말했을 때 그에 따른 대처법을 알고 있다.
Ⅴ.출처
-조경숙 외 9명(2013). 성인간호학 상권 제6판. 서울: 현문사.
-원종순 김남초 전시자 외(2012).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서울: 현문사
-드러그인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15&mobile&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1
-http://cafe.naver.com/swlle1/148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940&cid=51004&categoryId=51004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1.시술부위를 사정한다.
-시술 후 6시간 동안 1시간마다 시술부위를 사정한다.
-색, 부종, 온도, 감각 등을 사정한다.
출혈부위를 사정함으로써 지혈작용이 잘 이루어지는지 확인가능하다.
2.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시술 후 6시간 동안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출혈 징후를 사정한다.
지혈작용이 잘 이루어지는지 확인 가능하다.
3.처방에 따라 투약한다.
-센드백을 제거 2시간 후에 크렉산 주 60mg를 피하에 투여한다.
외과 영역의 수술 후 발생하는 정맥의 혈전 색전증을 예방한다.
4.환자와 가족에게 교육한다.
-시술 부위에 센드백을 유지 한다.
-.대상자에게 시술부위의 출혈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혈전용해제 복용 중임을 교육한다.
-검사한 부위의 무리한 움직임을 삼가도록 교육한다.
-대상자가 침상 안정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혈전용해제를 복용할 경우 지혈작용을 방지하기 때문에 작은 출혈도 위험하다.
간호평가
입원시(2/17)
전일(2/18)
오늘(2/19)
1PM
5PM
1AM
9AM
5PM
1AM
9AM
5PM
혈압(mmHg)
130/
80
130/
80
110/
60
110/70
110/
80
120/80
110/70
110/80
맥박(회/min)
74
60
52
62
65
60
64
62
호흡(회/min)
20
18
20
16
18
18
20
18
체온(℃)
36.7
36.5
36.6
36.7
36.6
36.8
36.7
36.8
시술 후 6시간동안 부종이나 출혈은 나타나지 않았다.
활력징후 이상없음을 확인했다.
센드백를 제거하였고(9PM) 시술 부위의 출혈이 없다.
간호진단명: #2섬유질이 결핍된 식이와 관련된 변비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고기드실 때 고기만 드시고 야채는 안드세요.”
“물을 잘 안드시고 인스턴트를 즐겨 드세요” By딸
“아랫배가 묵직해”
배변횟수: 1회/5-6일(불규칙) 배변양상: 땅콩같은 단단한 변
“힘세게줘도 안나와”,“배아파”, “똥싼거 같지도 않아”
객관적
자료
-복부 촉진 시 아랫배가 단단하다.
목표
장기목표
퇴원시까지 불편감을 느끼지 않고 매일 배변한다.
단기목표
2월19일까지 변비로 인한 불편감이 없다.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1.배변과 음식섭취 양상을 사정한다.
-일일 배변횟수와 수분섭취량,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를 사정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확한 배변양상을 파악해야한다.
2.변비예방을 위한 방법을 교육한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배변하도록 권장한다.
-고섬유질, 수분섭취(일일 1.5L이상)을 격려한다.
-고섬유질 식품을 알려주고 섭취를 격려한다.(곡식류- 현미, 율무, 보리, 콩, 옥수수, 귀리 등과 상추, 부추, 고사리, 근대, 숙주, 시래기나물, 양배추 등)
규칙적인 배변습관은 변의 배출을 용이하게 만든다.
수분섭취가 변비를 완화시킨다.
장내 부피형성 고섬유질 식이는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여 변비를 해소한다.
3.처방된 배변완화제를 투여한다.
-Colace 100mmg을 하루두번 구강으로 투여한다.
배변이 어려울 때에는 배변완화제의 도움이 필요하다.
4.활동량을 늘리도록 격려한다.
-2시간 마다 침상에서 일어나 방안과 복도를 걷도록 하여 활동량을 증가시킨다.
-복부 마사지를 시행한다.
활동의 증가는 배설기능을 촉진시켜준다.
간호평가
(2월 19일) 복부촉진결과 부드러움.
2일에 한번 300g정도 배변하심.
“예전보다는 편식이 줄어들고 하루에 물을 1L이상은 드세요” By딸
간호진단명: #3.퇴원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이제 앞으로 어떻게 해야 되는거에요?”
“뭘 해야 될지 모르겄네..”
객관적
자료
적절함
부적절함
비고
질병에 관한 지각상태
ㅇ
검사와 관련된 지식 정도
ㅇ
수술과 관련된 지식 정도
0
질병치료법에 관한 지식 정도
ㅇ
투약에 관한 지식 정도
ㅇ
본인의 신체활동에 관한 지각상태
ㅇ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질병상태와 투약 필요성, 증상 발생 시 대처 방법에 대해 간호사에게 설명할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퇴실 시까지 투약하는 법, 재발위험요인 등을 알고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1.대상자를 사정한다.
-대상자와 면담을 통해 질병의 원인이 되는 생활 습관을 탐구한다.
대상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직접간호
-대상자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 격려한다.
재발을 막기 위함이며 응급상황을 막기 위함이다.
3.환자와 가족의 교육
-퇴원 후 주기적인 검사를 시행해야 함을 교육하고 증상 발생 시 대처 방법을 교육한다.
-재발위험요인에 대해 교육한다.
(1)안위증진
-통증 증가 시키는 생리적, 정신적 요인을 제거, 감소시킴
(2)조직관류의 증진
-과도한 피로 피하도록 하고 어지러움, 호흡곤란, 흉통 나타나면 활동 중지
(3)체중조절, 저염식이, 저지방식이
(4)규칙적운동: 관상순환 증진
-투약에 대해 교육한다.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질환의 재발을 방지 할 수 있다.
-처방된 약물을 이해시키고 올바른 용량과 약물섭취시간을 교육하여야 대상자는 약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교육을 받는 이유와 교육을 통해 얻는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이 약은 하루에 한번 먹는다고?” 투약 시간에 대해 알고 있다.
-“앞으로 운동 좀 해야겠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말했을 때 그에 따른 대처법을 알고 있다.
Ⅴ.출처
-조경숙 외 9명(2013). 성인간호학 상권 제6판. 서울: 현문사.
-원종순 김남초 전시자 외(2012).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서울: 현문사
-드러그인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15&mobile&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1
-http://cafe.naver.com/swlle1/148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940&cid=51004&categoryId=51004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심부정맥의 종류별 특징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골절 케이스 간호진단 및 과정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성인간호학 수술실 OR Myomectomy 케이스 스터디(수술방법 사진有)
성인간호학 실습-타박상
성인간호학4공통)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
성인간호학//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 Gastric Cancer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 Intestinal Obstruction
성인간호학_1.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성인간호학 2017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
성인간호학_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