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2.1 생명 의료 윤리의 네 가지 원칙
2.2 자율성 존중의 원칙의 적용
2.3 정의의 원칙의 적용
2.4 악행 금지의 원칙의 적용
2.5 선행의 원칙의 적용
2.6 한계 및 예상 반론
3. 결 론
4. 참고문헌
2. 본 론
2.1 생명 의료 윤리의 네 가지 원칙
2.2 자율성 존중의 원칙의 적용
2.3 정의의 원칙의 적용
2.4 악행 금지의 원칙의 적용
2.5 선행의 원칙의 적용
2.6 한계 및 예상 반론
3. 결 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체가 불가능 할 뿐더러,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정의의 원칙을 적용할 때 당사자들의 사회적 위치는 고려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 또한 불충분한 주장이다.
또한 선행의 원칙을 적용하는 과정에서도 다섯 명의 인부의 자율성을 무시하는 측면이 존재하긴 하지만, 선행의 원칙 자체가 공평성을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에 이 또한 원래의 궤도를 변경해야할 충분한 이유는 될 수 없다고 생각된다.
3. 결론
지금까지 의료 윤리의 네 가지 원칙에 입각해서 어느 궤도를 선택 할 것인지에 대한 결론을 찾아보았다. 궤도를 수정하지 않는 것이 자율성 존중의 원칙을 위배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았고, 정의의 원칙을 통해 생명의 가치를 단순히 수로써 따질 수 없다는 사실을 보았다. 또한 악행 금지의 원칙과 선행의 원칙에서는 이중 결과 원리를 적용하여 어떠한 판단이 더욱 선한가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결국 의료 윤리의 네 가지 원칙에 입각해서 판단한다면 우리의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3명의 인부의 자율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에 따라 궤도를 수정하는 행위 혹은 인위적 죽음의 방법은 선택하지 말아야 한다는 결론을 얻어내게 된다.
참고문헌
구영모 엮음, 『생명의료윤리』, 도서출판 동녘, 2004.
래난 길론 지음, 박상혁 옮김, 『의료윤리』, 아카넷, 2005.
마이클 샌델 지음, 이창신 옮김,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2010.
http://home.ebs.co.kr/reViewLink.jsp?command=vod&client_id=justice&menu_seq=2&enc_seq=3065295&out_cp=ebs
또한 선행의 원칙을 적용하는 과정에서도 다섯 명의 인부의 자율성을 무시하는 측면이 존재하긴 하지만, 선행의 원칙 자체가 공평성을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에 이 또한 원래의 궤도를 변경해야할 충분한 이유는 될 수 없다고 생각된다.
3. 결론
지금까지 의료 윤리의 네 가지 원칙에 입각해서 어느 궤도를 선택 할 것인지에 대한 결론을 찾아보았다. 궤도를 수정하지 않는 것이 자율성 존중의 원칙을 위배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았고, 정의의 원칙을 통해 생명의 가치를 단순히 수로써 따질 수 없다는 사실을 보았다. 또한 악행 금지의 원칙과 선행의 원칙에서는 이중 결과 원리를 적용하여 어떠한 판단이 더욱 선한가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결국 의료 윤리의 네 가지 원칙에 입각해서 판단한다면 우리의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3명의 인부의 자율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에 따라 궤도를 수정하는 행위 혹은 인위적 죽음의 방법은 선택하지 말아야 한다는 결론을 얻어내게 된다.
참고문헌
구영모 엮음, 『생명의료윤리』, 도서출판 동녘, 2004.
래난 길론 지음, 박상혁 옮김, 『의료윤리』, 아카넷, 2005.
마이클 샌델 지음, 이창신 옮김,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2010.
http://home.ebs.co.kr/reViewLink.jsp?command=vod&client_id=justice&menu_seq=2&enc_seq=3065295&out_cp=eb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