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선정 이유
2. 맥도널드(McDonald's) 소개
3. 맥도널드의 현지화 사례
(1) 영국 - 소비자 태도 사례
(2) 프랑스 - 소비자 태도 사례
(3) 인도 - 소비자 식문화, 종교, 가치관
(4) 중국
(5) 한국 - 소비자 식문화, 태도, 가치관
4. 결론 및 시사점
2. 맥도널드(McDonald's) 소개
3. 맥도널드의 현지화 사례
(1) 영국 - 소비자 태도 사례
(2) 프랑스 - 소비자 태도 사례
(3) 인도 - 소비자 식문화, 종교, 가치관
(4) 중국
(5) 한국 - 소비자 식문화, 태도, 가치관
4.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치버거 출시에 따른 후발적 반응으로 보인다. 2002년에는 맥립버거를 출시한다. 숯불구이 향과 바비큐 맛이 나는 맥립버거는 기존 햄버거와 달리 긴 햄버거 빵 속에 갈비무늬가 새겨진 돈육패티를 넣어 한국인의 입맛에 맞춘 메뉴이다. 디저트 메뉴인 ‘검은콩 셰이크’와 ‘미숫가루 셰이크’ ‘단호박 파이’도 건강과 맛 두 가지를 추구하는 한국의 정서에 맞게 한국 곡물을 사용했다. 맥너겟의 경우 가슴살을 이용하는 미국방식과 달리 다리살을 좋아하는 한국인의 입맛에 고려해 닭다리살의 함량을 높였다.
맥플러리도 현지화된 케이스이다. 맥플러리는 맥도날드 소프트 아이스크림에 3종류의 토핑을 섞은 여름철 메뉴이다. 1998년 미국에서 첫 출시됐지만 한국맥도날드는 단맛을 좋아하지 않는 국내 고객들의 입맛에 맞게 오레오쿠키, 스마티즈 초콜렛, 네스카페 카푸치노의 3가지 토핑으로 바꾸어 출시하였다.
지난 6월 어린이 복지증진을 위해 지난 74년 설립 이후 왕성한 자선 활동을 하고 있는 ‘로날드 맥도날드 하우스’를 설립했다. 연세의료원과 함께 소아암 아동들의 학교복귀 및 적응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환경미화원 자녀를 위한 환경장학금과 임종을 앞둔 말기환자의 가정방문 치료를 위한 차량지원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또한 한국의 축구구단과 함께 어린이 축구교실을 열어 올해에는 1만5000명의 어린이들이 프로그램에 참가할 예정이다. 또한 삼성서울병원등과 함께 선천성기형 어린이 환자들을 무료로 치료해주고 있다. 현재 8명의 어린이들이 성공적으로 수술을 받았다고 한다. 이처럼 맥도널드는 사회 친화적 이미지 구축을 위해 노력하였다.
한편, 한국에서 반미시위가 절정이던 2002겨울. 맥도날드가 내놓은 브랜드 광고는 이전 것과 아주 다르다. 광고 아래쪽에 \"한국 점포의 모든 임직원은 한국인\"이라는 자막이 흐른다. 그동안 한국적인 메뉴를 끊임없이 개발해 왔다는 점과 장애인, 노인들을 차별 없이 고용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성공 신화의 맥도날드가 업계 최초로 적자를 면하지 못한 점포가 있었다. 바로 맥도날드 \'고대점\'이다. 고대인에게 맥도날드는 미국 자본주의의 상징이며 절대로 고대풍토와 어울리지 않는 눈의 가시로 보였다. 그래서 고대인들은 매일 시위를 하고 세워둔 피에로를 부수고, 팔지도 않는 떡볶이를 주문했다. 원래 떡볶이를 팔던 자리였기 때문이었다. 간판을 내려야 할 위기의 상황에서 맥도날드는 무너지지 않았다. 그 당시 맥도날드는 \'떡볶이\'를 개발해서 팔았기 때문이다.
4. 결론 및 시사점
영국과 한국 진출시 반미 감정으로 인한 미국 기업 배척 사례들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단순히 제품들을 현지화 시키는 전략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예컨대, 인도에서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뺀 양고기, 야채를 이용한 햄버거를 개발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세계화의 전부가 아니다.
영국과 한국의 반미 감정을 가질 수 없는 상황을 이해하고, 영국의 경우 포용정책을 써서 원래 세계 각지에서 조달하는 재료들을 영국 내에서 해결함으로써 영국 농민들의 마음을 돌렸다. 한국의 경우 미국의 장갑차 사건으로 인한 반미 감정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점포의 모든 임직원은 한국인\'이란 카피를 넣음으로써 한국인들의 감정을 달랬다. 이를 통해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우러러 나오는 각 나라 국민들의 태도와 가치관 등은 세계화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아닐 수 없다.
세계화 전략에 있어서 제품과 같이 눈에 보이는 것만 현지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나라의 사회ㆍ문화적 환경들이 포함된 복합적인 요인들이 모여 이루어내는 것이다. 결국 맥도널드의 성공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그 나라의 사회ㆍ문화적 환경과 제품의 현지화를 고려했을 때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맥플러리도 현지화된 케이스이다. 맥플러리는 맥도날드 소프트 아이스크림에 3종류의 토핑을 섞은 여름철 메뉴이다. 1998년 미국에서 첫 출시됐지만 한국맥도날드는 단맛을 좋아하지 않는 국내 고객들의 입맛에 맞게 오레오쿠키, 스마티즈 초콜렛, 네스카페 카푸치노의 3가지 토핑으로 바꾸어 출시하였다.
지난 6월 어린이 복지증진을 위해 지난 74년 설립 이후 왕성한 자선 활동을 하고 있는 ‘로날드 맥도날드 하우스’를 설립했다. 연세의료원과 함께 소아암 아동들의 학교복귀 및 적응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환경미화원 자녀를 위한 환경장학금과 임종을 앞둔 말기환자의 가정방문 치료를 위한 차량지원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또한 한국의 축구구단과 함께 어린이 축구교실을 열어 올해에는 1만5000명의 어린이들이 프로그램에 참가할 예정이다. 또한 삼성서울병원등과 함께 선천성기형 어린이 환자들을 무료로 치료해주고 있다. 현재 8명의 어린이들이 성공적으로 수술을 받았다고 한다. 이처럼 맥도널드는 사회 친화적 이미지 구축을 위해 노력하였다.
한편, 한국에서 반미시위가 절정이던 2002겨울. 맥도날드가 내놓은 브랜드 광고는 이전 것과 아주 다르다. 광고 아래쪽에 \"한국 점포의 모든 임직원은 한국인\"이라는 자막이 흐른다. 그동안 한국적인 메뉴를 끊임없이 개발해 왔다는 점과 장애인, 노인들을 차별 없이 고용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성공 신화의 맥도날드가 업계 최초로 적자를 면하지 못한 점포가 있었다. 바로 맥도날드 \'고대점\'이다. 고대인에게 맥도날드는 미국 자본주의의 상징이며 절대로 고대풍토와 어울리지 않는 눈의 가시로 보였다. 그래서 고대인들은 매일 시위를 하고 세워둔 피에로를 부수고, 팔지도 않는 떡볶이를 주문했다. 원래 떡볶이를 팔던 자리였기 때문이었다. 간판을 내려야 할 위기의 상황에서 맥도날드는 무너지지 않았다. 그 당시 맥도날드는 \'떡볶이\'를 개발해서 팔았기 때문이다.
4. 결론 및 시사점
영국과 한국 진출시 반미 감정으로 인한 미국 기업 배척 사례들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단순히 제품들을 현지화 시키는 전략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예컨대, 인도에서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뺀 양고기, 야채를 이용한 햄버거를 개발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세계화의 전부가 아니다.
영국과 한국의 반미 감정을 가질 수 없는 상황을 이해하고, 영국의 경우 포용정책을 써서 원래 세계 각지에서 조달하는 재료들을 영국 내에서 해결함으로써 영국 농민들의 마음을 돌렸다. 한국의 경우 미국의 장갑차 사건으로 인한 반미 감정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점포의 모든 임직원은 한국인\'이란 카피를 넣음으로써 한국인들의 감정을 달랬다. 이를 통해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우러러 나오는 각 나라 국민들의 태도와 가치관 등은 세계화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아닐 수 없다.
세계화 전략에 있어서 제품과 같이 눈에 보이는 것만 현지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나라의 사회ㆍ문화적 환경들이 포함된 복합적인 요인들이 모여 이루어내는 것이다. 결국 맥도널드의 성공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그 나라의 사회ㆍ문화적 환경과 제품의 현지화를 고려했을 때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