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유통업의 이해와 전략적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유통업의 이해와 전략적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일본 유통업의 현황
1. 개 황
2. 소비동향
3. 유통 업태별 동향

Ⅲ. 일본 유통업의 특성
1. 소비자의 구매 빈도
2. 품질에 대한 높은 요구와 상품관리
3. 규모와 비용
4. 상품공급체계의 글로벌화
5. 외국자본의 유통업 진출

Ⅳ.유통• 물류업 • 제조업의 관계
1. 유통·물류 관련 제도와 상관행상의 문제점
2. 유통업과 제조업의 관계 (PB상품)

Ⅴ.유통업 개선 전략
1. 정보화를 통한 효율화
2. 다양한 서비스에 대응 가능한 인재 육성
3.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
4. 전자태그를 활용한 제조․도․소매의 SCM 효율화


Ⅵ.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 생존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됨 이러한 가운데서도 일부 유통기업들은 오히려 크게 성공을 거두었다.
일본의 경우 장기불황을 경험하면서 질 좋은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입하려는 건전한 소비풍토가 정착 소비 스타일도 소득 계층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형화하면서 소매업태가 다양화 되었다.
일본의 유통산업 흐름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년의 차이를 두고서, 일본은 미국으로부터 그들의 유통산업을 배우고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말 그대로 벤치마킹을 한 것이다.
1960년대 일본의 유통분야에서 백만장자의 대열에 든 사람들은 미국의 유통흐름을 잘 읽은 사람들이었다. 즉 슈퍼마켓 유통사업에 투자한 사람들이 1960년대에 일본에서 큰 부를 일구었다.
60년대를 지나 70년대가 되면서 유통사업의 주도권은 백화점과 프랜차이즈로 옮겨갔다. 맥도날드가 일본에 처음 진출했을때 사람들은 "일본인은 쌀과 생선, 야채를 즐겨먹는 민족이기에 맥도날드는 자리를 잡지 못할 것이다"라는 부정적인 시각이 압도적이었다.
그렇게 남들이 콧방귀를 뀔 때 일본에 최초로 맥도날드를 들여온 후지다 덴은 사전에 미국의 유통산업 흐름에 대해 충분한 검토를 한 사람이었다. 슈퍼마켓 사업에 대한 투자시대가 지나면 백화점과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투자시대가 분명이 올 것인데 자기는 백화점을 설립할 자본이 없어서 프랜차이즈 사업에 뛰어 든 것이다. 결국 그를 비웃는 수많은 사람들의 생각과는 달리 크게 성공하여 백만장자가 되었다.
외자계소매기업으로서 가장 일본시장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이 월 마트다. 월 마트는 세이유 (SEIYU)의 자본참가를 통해 일본시장에 잠입했고, 그 출자비율은 현재 37.8%로, 66.7% 로 끌어올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 결과 세이유(SEIYU)는 명실상도 월 마트 산하에 들어가 있고, 실질적으로 월 마트는 일본에 수백점의 점포를 가진 소매기업이 되었다. 그 외에도 영국의 ‘테스코’, 프랑스의 ‘까루프’, 회원제 ‘호루세루’의 ‘코스트코·호루세루 그룹’(미국) 과 같은 기업이 일본 시장에 잠입 해 있다.
수 년 전 월 마트의 세이유(SEIYU)의 자본참여와 외자계 각 기업의 초 대규모 점포의 개점 등은 [.船襲.、서양의 함선이 습격해 온다] 라고 까지 했다. 그러나, 현상은 수년전과 비교하여 약간 의 매장수 증가 뿐, 소매기업 전체로의 영향은 미약하다. 그러나 앞으로 이런 외자계 기업은 세계 각지에서의 매장 전개 노하우를 이용하여 일본시장 참여를 강화할 것으로 보고, 일본 소매기업도 앞질러서 외자계 기업 에의 대응을 강구하려고 하고 있다.
업태마다 그룹화 된 기업은 ‘GMS(general merchandise store) 와 상사’라는 형태로 더욱 그룹화 되고, 그 규모는 해마다 확대 예상 현재 그룹화가 현저한 업태로 백화점, 식품 슈퍼, 홈 센터, 드러그스토아 등이 올려지고 있다. 이런 업 태에 있어서 그룹은 공동 매입 기구를 통해 조달 비용의 저하를 꾀하는 것에서부터, 자본제휴에 의한 경영효율화까지 다양한 형태가 있다. 또, 편의점은 같은 업태간 제휴는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지만, 새로운 회사(新會社)와 주요 주주는 GMS 또는 상사인 경우가 많고, 편의점도 그룹화 되고 있다.
앞으로 업계재편이 가속될 업태는 소매기업의 재편은 어제 오늘 시작한 것은 아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소비활기가 없어지고 Over Store 와 대형 도산이 계속해서 발생했다. 그것을 눈앞에서 보았던 각 기업은 경영체질의 개선, 즉 이익률의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방법으로 그 위험을 넘으려 하고 있다. 경영 개선의 일환으로 규모확대와 효율경 영이 기대되는 M&A가 많이 행하여지게 되었다.
현재 Over Store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는 업태는 백화점, 슈퍼마켓 등이 올려지고 있다. 백화점은 업태 자체의 매상이 해마다 감소하고 있고, 지방 백화점은 점점 도산하고 있다. 살아 남기 위해 각 백화점은 대기업이 만든 공동구매·상품개발 그룹으로 계속 모이고 있다. 현재 이런 기구는 4개가 있고, 장래 일본 전국의 백화점이 이 4그룹으로 축소된다는 대담한 예측도 있다.
한편, 슈퍼마켓은 각지에 그 나름의 규모를 가진 기업이 존재하고, 그것들을 하나로 합칠 힘을 가진 기 업이 적다. 그래서 GMS와 상사와 같은 다른 업종(他業種)·많은 업태(多業態)의 기업을 중심으로 한 그룹화가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의 대기업 슈퍼가 전국 전개를 꾀하는 GMS와 비교해서 전혀 승산이 없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지방마다 對 GMS라는 목적으로 그룹화가 형성, 경영을 종합화한 예도 있다.
앞으로 對外資, 對GMS라는 목적으로 그룹화의 초기 단계라고 말할 수 있는 매입구조를 활용한 업무·자 본제휴가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본다. 또, GMS도 이 매입그룹에 참여하는 형태로 자사(自社)그룹의 확 대를 꾀하는, 대응 자세를 강화하고 있다.
참고문헌
日本의 流通構造를 통해서 본 輸入障壁 硏究
박춘구 저 | 高麗大 國際大學院 발행, 일본 전공
일본 유통구조의 특성과 대일수출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金正泰 저 | 成均館大 貿易大學院 발행, 무역학 전공
日本 流通構造의 特徵에 관한 고찰
宋弘善 저 | 韓國外國語大 貿易大學院 발행, 무역학 전공
일본의 유통기구 및 소비재시장에 관한 연구 : 한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梁創三 저 | 서울대 경영대학원 발행
日本의 流通構造를 통해서 본 輸入障壁 硏究
박춘구 저 | 高麗大學校 발행, 지역연구학 일본 전공
日本 流通構造의 特性과 對日輸出擴大方案에 관한 硏究
김정태 저 | 成均館大學校 발행, 무역학과 무역학 전공
日本 工産品 流通産業의 國內進出에 대한 對應方案
林 勳 저 | 慶南大 經營大學院 발행, 무역학 전공
韓國企業의 日本市場流通戰略에 관한 硏究
안인규 저 | 韓國外國語大學校 발행, 무역학과 전공
한국과 일본의 출판유통에 관한 비교연구
김미지 저 | 啓明大 大學院 발행, 일본학 전공
韓國과 日本의 流通構造에 관한 연구
鄭在弼 저 | 漢陽大 經營大學院 발행
韓國과 日本의 出版流通에 관한 比較硏究
김미지 저 | 啓明大學校 발행, 일본학과 전공
  • 가격6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1.0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