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문학론] 십우도와 선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문학론] 십우도와 선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당송시대 선 시가 깃든 선(禪)적(籍)
♦ 십우도와 십우시
♦ 비온뒤에 돋아나는 대나무
♦ 내용정리

※본 자료는 요점 정리 되어진것임

본문내용

심우도와 선시




1.당송시대선(禪)시(詩)가깃든 선적

◎ 중국 당송 시대-선종의 황금시대사회문화 다방면에서 선과의 만남이 활발져서 정치,사회, 문화,예술,종교, 철학, 정신세계 등을 주도함
◎ 선을 중심으로
禪茶一味, 禪書一如, 禪農一致, 禪詩一如, 禪畵一致, 禪詩遇禪畵 등이 이루어짐




◎ 송대에 문자를 사용하여 깨달음의 경지를 표현한 선서(禪書)가 많이 간행
 선서 : 4.5.7자의 시 형식을 갖춘 게송 함축, 절제 비유, 상징, 역설, 모순 언어법 사용
◎ 깨달음의 내용이나 선의 세계를 담아내기 때문에 관념적 심미적 예술성을 갖춘 선시에 다소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엄우의 창랑시화에서 선과 시의 합일 창출중국시의 핵심적인 시론이 됨 -> 문예미학 이론과 심미예술 이론으로 발전




선시문학의 꽃 (벽암록), (선문염송)

★당대(唐代)에 승찬대사의 신심명, 영가현각의 증도가, 우두법융의 신명, 석두희천의 참동계와 초암가 등이 있다.
 본격적인 선시집으로는 천태한산의 한산시집
★송대(宋代)에 설두중현의 설두현화상 명각대사 송고집, 원오극근의 벽암록, 만송행수의 종용록, 확암사원의 십우도 등이있다.
★한국은 고려(高麗)때 진각혜심의 선문염송, 무의자시집이 전하고 선 시문학의 효시가됨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2.07.24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59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