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이 항공기 작동원리 - 헬리콥터 구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헬리콥터 구조


1. 동체
(1) 동체의 구조

2. 로터헤드
(1) 로터헤드의 구성
(2) Hub

3. 회전익
(1) 주회전익
(2) 미부 회전익(tail rotor)

4. 기타 구조
(1) 변속/동력장치
(2) 냉각 방식
(3) 엔진
(4) 연료장치

본문내용

이와는 별개로 오일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트랜스미션의 마모 여부를 감시하게된다
(3) 엔진
헬리콥터의 엔진은 동력 발생 장치로서 Turboshaft 방식의 엔진이 사용되는데 이전에는 한 대의 엔진이 장착되었으나 최근에는 두 개의 엔진이 장착되어 출력 향상과 유사시의 위험에 대비하고 있다. 터보 샤프트 엔진은 Inlet 섹션, 압축기 섹션, 연소실 섹션, 터빈 섹션, 배출 섹션등로 구분되며 최근 엔진들은 모듈로 구성되어 전체 엔진을 교환하지 않고 부분 교환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 엔진의 추력
Horse power 즉 HP로 표시되는데 출력의 크기는 헬리콥터 설계 당시에 미리 결정하여 기존에 개발된 엔진을 채택하거나 또는 헬리콥터와 동시에 개발되기도 한다. 엔진 Inlet 부분에는 공기나 엔진 자체가 결빙되는 것을 막아주는 결빙 방지 장치, 윤활 장치, 흡입 공기로부터 먼지나 모래를 제거시켜 주는 PARTICLE SEPARATOR, 작동 기록계, 공압 시동기등이 부착되어 있다. 터보 샤프트엔진의 출력은 연소실에서의 폭팔 추력이 터빈 섹션에서 터빈을 회전 시켜주고 터빈과 연결된 축이 회전하여 이 회전력이 Inlet 중앙을 통하여 트랜스미션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 엔진 시동
밧데리로 구동되는 엔진 스타터 또는 보조 동력 장치에서 발생되는 터빈 에어로 엔진의 콤프레셔를 돌려줌으로서 이루어진다. 엔진의 자체 내부 회전으로 인한 진동 및 헬리콥터의 진동으로 인해 부품의 수명이 설정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부품은 교환되어야하며 엔진 자체도 일정 주기로 OVERHAUL을 받아야 한다. 단 최근에 출시되는 엔진중에는 엔진 Overhaul 주기없이 이상 현상 없이 상태가 양호할 경우 계속 사용 가능하여도
되는 엔진도 있다
- 보조동력장치
헬리콥터는 공압을 제공하는 지상 장비를 이용하여 엔지 시동을 걸거나 보조 동력 장치에서 제공하는 공압을 이용하여 엔진의 콤프레셔를 회전시킴으로써 엔진을 시동하는 두가지 형태가 있다. 중형 이상의 헬리콥터에서 장착되는 보조동력장치는 일종의 소형 가스터빈 엔진이라 할 수 있다. 보조동력장치는 엔진 시동이외에 엔진 시동하기 이전에 헬리콥터의 각종 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기 위한 지상 점검용전기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너레이터를 구동시키는 역할도 한다. 또한 보조 동력 장치는 비행중 엔진이 꺼졌을 때 비상 전기시스템과 와 유압 장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비상 착륙이 가능하도록 한다. 비행 중에 이상으로 작동 중단되었을 때도 보조동력 장치를 구동하여 재시동을 시도할 수 있으며 혹시 지상에서 본 보조 동력 장치가 이상이 있을 경우엔 외부 공압을 이용하여 엔진 시동을 걸기도 한다.
(4) 연료장치
연료시스템은 연료 탱크로부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해주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연료시스템은 보통 내부 연료 탱크, 연료 라인, 밸브, 연료 펌프로 구성되게 되며 외부 연료 탱크가 장착된 헬리콥터도 있다. 연료 탱크는 누유를 막기 위해 자체 밀폐 타입으로 그 내부는 특수 고무로 제작되며 외부의 충격에도 견디도록 설계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8.01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0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