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선교의 역사적 흐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심이 유럽에서 영국과 미국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그럼 캐리가 수행한 선교의 방법을 살펴보면 첫째 복음을 널리 전파하며, 둘째 현지어로 성서를 번역하며, 셋째 원주민 교회를 설립하며, 넷째 원주민의 문화와 의식을 깊이 연구하고, 다섯째 원주민의 교회 지도자 양성을 하는 것으로 후대에 많은 선교단체의 도움이 되었다.
2. 미국에서의 선교 : 사무엘 밀즈
미국 대륙은 대학생들을 통해 선교의 불을 타 올랐다. 1700년대의 등장한 조나단 에드워즈와 조지 휘트필드의 설교를 통해 회개와 부흥운동이 전개되었고, 부흥의 불길은 에드워즈의 손자인 티모시 드와이트가 예일대학 총장이 되면서 본격화 되었다. 그는 대학교 채플을 통해 그 당시에 자연신론, 불신앙, 그리고 물질주의에 맞서서 회개를 촉구하였다. 이러한 회개의 촉구가 학생들을 통해 예일대학의 주체가 되었으며, 다트머스와 암허스트 윌리엄스와 뉴저지 대학에까지 확산이 되었다. 또한 서부에서는 장로교 목사 제임스 맥그레디에 의해 회개운동이 전개되었는데 1800년에 강가에 집회를 열어 성령의 불길이 강력히 일어나 많은 사람들이 회개를 하였다. 이런 부흥운동으로 미국은 하나님의 선교명령에 눈을 뜨게 되었고, 선교협회들이 생기고, 선교잡지가 탄생하며, 기독교 대학이 설립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새롭게 등장한 인물이 사무엘 밀즈(Samuel J. Mills)이다. 그는 대각성운동의 영향으로 내면에 복음에 대한 열망이 들끓고 있었다. 1806년 8월 밀즈와 4명의 동료들이 기도모임이 끝나 귀가 중에 폭풍우를 만나 건초더미로 비를 피하게 되었고, 그 곳에서 그들은 해외선교를 위해 기도를 하는 도중에 밀즈는 동료들에게 “우리가 하고자하면 이 일을 할 수 있다”는 확신으로 하나님 선교사역의 시작점이 되었던 것이다. 결국 건초더미 모임은 미국 해외선교의 추진력이 되었고, 9월에“형제단”이라는 조직을 결성해 세계 복음화를 위해 체계적으로 확산을 시켰다. 또 밀즈는 1809년에 대학생들에게 선교비전을 주기위해 예일대학을 입학하였고, 그 곳에서 미국 선교협회를 조직을 시작으로 해서 미국의 최초 해외선교부가 조직되었다. 밀즈는 35세의 젊은 생애 속에 뉴욕의 빈민들을 도왔고, 두 개의 성서협회를 설립을 도왔고, 미시시피 계곡의 토인들 해방운동와 아프리카 복음화에 힘썼다.
형제단 운동이 시작된 71년이 되었을 때인 1877년 루터 위샤드가 Y.M.C.A대학부 책임총무를 맡음으로 새로운 선교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는 모든 대학들의 복음역사를 하나로 합쳐서 대학생 복음선교와 해외선교를 하고자 노력했다. 그로부터 9년 뒤 헤르몬산에서 87개 대학 총 251명이 참석한 최초의 학생연합 수양회를 가져서 세계선교 비전을 품게되었고 1888년 12월 6일에“대학생 해외선교사 자원운동”이라고 명명되었다. 그 후에도 25년간 자원운동은 성장과 파송 역사를 계속되었다. 이들은 전 생애를 예수에게 맡기기로 결단하고 하나님 말씀에 절대적 순종과 성경공부를 강조하였으며, 세계 복음의 열정까지 넘쳤다.
이렇게 매말랐던 미국에 성령의 불길을 학생자원운동을 통해 선교가 확산이 되었고, 지금까지도 미국은 세계 전체 선교사의 배출을 절반가량 담당하고 있다. 이렇게 선교역사에서 보면 19세기를 위대한 세기라고 불리는 것에 의미를 찾아보면 첫째 이전의 어떤 시대보다 선교사를 많이 파송했고, 둘째 광범위한 복음전파에 주력했으며, 셋째 윌리암 캐리, 리빙스턴, 허드슨 테일러 등의 위대한 선교사가 많이 배출되었으며, 넷째 선교사들이 복음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버리는 막중한 댓가를 지불한 시기였던 것이다.
3. 중국 내지 선교사 : 허드슨 테일러
사도 바울과 같은 위대한 인물이 19세기에 나온 인물이 허드슨 테일러이다. 당시 선교사들이 시행했던 선교는 해안가 위주로 이루어졌으나, 테일러는 그 한계를 뛰어넘어서 목숨을 버리는 각오로 중국 내지에 들어가서 복음을 전하였다. 선교후원회가 반대를 극복하고 중국 내지로 들어가 선교를 추진하였다. 이것이 잘 알려진“중국내지선교회”를 독창적으로 만들었다. 이 선교회는 이 후에 후원자가 없는 독립선교의 모태가 되기도 한다.
어떻게 쇄국정책을 띄고 있어 선교를 할 수 없는 상황속에서 테일러는 중국 내지에 선교를 할 수 있었는지 살펴보면 5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째 그는 초교파적인 선교로 신학적인 경향을 초월하여 선교사를 모집하였고, 둘째 고학력자가 아닌 선교의 열의가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선교에 참여할 수 있게 만들었으며, 셋째 선교의 초점이 파송교회보다 선교지로 두었고, 넷째 선교사들은 현지인들과 생활을 동일시하려고 노력했으며, 다섯째 선교의 주된 목적을 전도하는데 두었던 것이다.
4. 미전도 종족선교 시대
기존의 선교가 국가 중심 이였다면 1930년대부터 종족 중심의 선교에 관심을 돌리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관심을 맥가브란과 카메룬 타운젠드에 의해서 주장되었다.
맥가브란은 3대째 인도의 선교사로 복음사역을 하는 중에 인도의 계급사회로 인해 여러 계층이 한자리에 모일 수 없는 현실 때문에 그는 집단끼리 함께 모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는데 그것이 바로 대중운동이론이다.
카메룬 타운젠드는 위클리프 성경번역 사업을 시작한 사람이다. 그는 선교사들이 현지인들과 의사소통의 문제로 복음사역의 현실을 대처하기 위해 성서번역을 시작하였다.
어찌되었든 이 두 선교사에 의해 개발되고 소개된 미전도 종족(Unreached People)에 대해 살펴보면, 미전도 종족은 교인수가 인구의 5%미만인 지역에 사는 사람으로 스스로의 힘으로는 교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종족을 의미하는데, 그들의 특징은 가난과 열악한 환경 속에서 허덕이고 있으며, 이슬람권, 불교권, 힌두권 등의 종교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 중심이 되는 곳에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한다면 그 동안 파송된 선교사들은 당연히 미전도 종족지역에 사역을 해야되는데 겨우 전체의 7%에 불과하는 미비한 선교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주님의 지상명령에 순종하여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복음을 듣도록 하게 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으로 안다면 우리는 미전도 종족지역에 더욱 더 힘써 선교를 정진해야 될 것이다.

키워드

종교,   선교,   역사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8.0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0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