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인간에게 종교가 필요하다는 관점
2.2 인간에게 종교가 필요없다고 보는 관점
3. 결론
2. 본론
2.1 인간에게 종교가 필요하다는 관점
2.2 인간에게 종교가 필요없다고 보는 관점
3. 결론
본문내용
가 사회를 유지, 통합시켜주는 기능 또한 완전하지 못하다. 그리고 종교의 창시자의 순수했던 목적은 종교를 전달하는 이들에 의해 인위적으로 변해갔으며, 종교는 과학, 기술의 발달, 인간들의 목숨이나 건강에도 중대한 피해를 끼쳐왔으며, 앞으로도 개선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아 보인다.
이런 큰 문제점들을 안으면서 종교의 작은 이점을 취하여야하는가? 그것은 곧 “배보다 배꼽이 크다.”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의 히사마쯔 신이찌가 ‘무신론과 유신론’에서 “신은 경험으로부터도 사변으로부터도 어떠한 기초가 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즉, 있는지 없는지 알 수도 없는 신이란 존재를 믿음만 가지고 신의 존재를 인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서 난 인간에게 종교는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이런 큰 문제점들을 안으면서 종교의 작은 이점을 취하여야하는가? 그것은 곧 “배보다 배꼽이 크다.”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의 히사마쯔 신이찌가 ‘무신론과 유신론’에서 “신은 경험으로부터도 사변으로부터도 어떠한 기초가 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즉, 있는지 없는지 알 수도 없는 신이란 존재를 믿음만 가지고 신의 존재를 인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서 난 인간에게 종교는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