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 성폭력의 개념
2. 아동성폭력의 요인
3. 아동성폭력의 후유증
2. 아동성폭력의 요인
3. 아동성폭력의 후유증
본문내용
약간의 불편함만 느낄지 모른다.그러나 이러한 성폭행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더 강화되어가므로 아동들은 어떤 일이 일어나고 언제부터 학대나 폭력이 시작되었는지 알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나이가 아주 어린 아동들은 사춘기가 되기까지 심리적 문제를 별로 드러내지 않을 수 있다.사춘기가 되어서야 성적학대나 폭력을 이해하게 되고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성폭력으로 인한 피해는 더욱 깊어지고 다양해질 수 있다.그러나 아동 성폭력이 피해자에게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실제로 측정,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왜냐하면 피해자가 외상에 대한 억압을 통해서 피해경험을 의식적으로 기억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이다. 임상적 관찰에 의하면, 어떤 사건이나 경험이 피해자들의 외상을 자극하기 전까지 장시간 동안 피해경험을 잊고 잘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들의 성학대 경험을 언급하는 사람과의 대화나 이와 관련된 영화, TV시청, 독서 등을 통해 억눌렸던 기억이 자극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기간에 걸친 어려움이 나타나게 된다(한혜경, 2007).
어린이 성폭력 피해의 영향을 심리적, 신체적, 성적, 사회적 후유증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심리적 후유증은 가장 일반적인 정서적 영향으로, 공포를 지적할 수 있다.어린이들은 피해를 당하고도 가해자로부터 비밀을 지키도록 압력을 받는데, 이를 지키지 못할 경우 생기게 될 처벌이나 보복에 대한 공포가 있다. 그리고 언제 다시 그러한 일이 생길지 모른다는 공포를 느낄 수 있다.
따라서 혼자 있는 것이나 어둠 등 성폭력 피해상황과 유사한 장면에 노출되면 갑작스런 공포감을 느끼게 된다.그 다음으로 분노와 적개심, 형제또는 급우와의 빈번한 싸움 등과 같은 불안과 죄책감, 심한 부끄러움 등을 보이며, 자아 존중감이 낮다고 보고되고 있다(Sink Frances, 1988). 임상적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울증과 죄의식은 성폭력을 당한 어린이에게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현저한 정서적 문제라고 보고되고 있다(Bagely & christopher, 1990).어린이의 경우 심리적 후유증으로 배변훈련의 상실, 잦은 목욕, 원인 없는 울음, 집안에만 머물기, 오줌 싸기, 손빨기와 같은 퇴행 행동이 나타날 수 있고, 일상생활에 부적응하고 평소보다 까다로와진다. 학교생활에서도 어려움이 나타나 학습부진이나 무단결석이 증가할 수 있다(유순행, 2002).
신체적 후유증은 어린이가 아직 성장단계에 있으므로 처녀막이 파열되는 경우가 있으며, 일차적으로 요도관 감염, 회음부의 출혈 및 상처, 성병 등을 일으킬 수 있다.뿐만 아니라 폭력으로 인한 상해도 입는다. 정서적 영향 때문에 두통, 수면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고, 정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폭식, 식사거부 등의 증세를 일으킬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임신이 될 수도 있다(교육인적자원부, 2001).
성적 후유증은 87%가 성적 부적응의 문제를 호소한다고 하였다. 나이에 맞지 않는 성적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다른 사람과 성관계를 갖거나 공공연한 자위행위, 과도한 성적 호기심, 빈번한 성기노출, 혹은 또래들과 성폭행에 가담하기도 한다(Meiselman, 1978).
사회적 후유증은 성폭력을 당한 어린이의 장기적인 영향 중 특히 주목할 점은 대인관계의 영향으로 64%가 고립감을 호소한다고 하였다(Herman, 1981).성폭력 상황에 따른 대상자의 피해반응은 남과 다르다는 감정, 친밀에의 두려움, 타인에 대한 신뢰의 어려움, 이성 관계, 부모관계, 자녀관계에의 두려움 등이 나타난다.무엇보다도 피해자들은 자신이 낙인찍혔다는 생각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인간관계의 단절을 초래하고 스스로를 고립시키게 된다(교육인적자원부, 2001).
왜냐하면 피해자가 외상에 대한 억압을 통해서 피해경험을 의식적으로 기억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이다. 임상적 관찰에 의하면, 어떤 사건이나 경험이 피해자들의 외상을 자극하기 전까지 장시간 동안 피해경험을 잊고 잘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들의 성학대 경험을 언급하는 사람과의 대화나 이와 관련된 영화, TV시청, 독서 등을 통해 억눌렸던 기억이 자극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기간에 걸친 어려움이 나타나게 된다(한혜경, 2007).
어린이 성폭력 피해의 영향을 심리적, 신체적, 성적, 사회적 후유증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심리적 후유증은 가장 일반적인 정서적 영향으로, 공포를 지적할 수 있다.어린이들은 피해를 당하고도 가해자로부터 비밀을 지키도록 압력을 받는데, 이를 지키지 못할 경우 생기게 될 처벌이나 보복에 대한 공포가 있다. 그리고 언제 다시 그러한 일이 생길지 모른다는 공포를 느낄 수 있다.
따라서 혼자 있는 것이나 어둠 등 성폭력 피해상황과 유사한 장면에 노출되면 갑작스런 공포감을 느끼게 된다.그 다음으로 분노와 적개심, 형제또는 급우와의 빈번한 싸움 등과 같은 불안과 죄책감, 심한 부끄러움 등을 보이며, 자아 존중감이 낮다고 보고되고 있다(Sink Frances, 1988). 임상적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울증과 죄의식은 성폭력을 당한 어린이에게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현저한 정서적 문제라고 보고되고 있다(Bagely & christopher, 1990).어린이의 경우 심리적 후유증으로 배변훈련의 상실, 잦은 목욕, 원인 없는 울음, 집안에만 머물기, 오줌 싸기, 손빨기와 같은 퇴행 행동이 나타날 수 있고, 일상생활에 부적응하고 평소보다 까다로와진다. 학교생활에서도 어려움이 나타나 학습부진이나 무단결석이 증가할 수 있다(유순행, 2002).
신체적 후유증은 어린이가 아직 성장단계에 있으므로 처녀막이 파열되는 경우가 있으며, 일차적으로 요도관 감염, 회음부의 출혈 및 상처, 성병 등을 일으킬 수 있다.뿐만 아니라 폭력으로 인한 상해도 입는다. 정서적 영향 때문에 두통, 수면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고, 정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폭식, 식사거부 등의 증세를 일으킬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임신이 될 수도 있다(교육인적자원부, 2001).
성적 후유증은 87%가 성적 부적응의 문제를 호소한다고 하였다. 나이에 맞지 않는 성적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다른 사람과 성관계를 갖거나 공공연한 자위행위, 과도한 성적 호기심, 빈번한 성기노출, 혹은 또래들과 성폭행에 가담하기도 한다(Meiselman, 1978).
사회적 후유증은 성폭력을 당한 어린이의 장기적인 영향 중 특히 주목할 점은 대인관계의 영향으로 64%가 고립감을 호소한다고 하였다(Herman, 1981).성폭력 상황에 따른 대상자의 피해반응은 남과 다르다는 감정, 친밀에의 두려움, 타인에 대한 신뢰의 어려움, 이성 관계, 부모관계, 자녀관계에의 두려움 등이 나타난다.무엇보다도 피해자들은 자신이 낙인찍혔다는 생각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인간관계의 단절을 초래하고 스스로를 고립시키게 된다(교육인적자원부, 2001).
추천자료
성폭력(성범죄) 근절대책과 문제점(외국의 사례와도 비교)
낙인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아동성범죄
아동학대에 대한 고찰과 개선방안
조두순 및 은지사건을 통해본 우리나라 아동성폭행 실태와 방지대책
성적일탈과 성장애
성폭력_
화학적 거세의 전면적 확대시행
성폭력 대처방법(예방법) 레포트(A+)
최근 영유아기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불거지며 2012년 8월에 시행된 입양특례법에 대한 재개...
아동 성학대의 문제분석 및 원인과 사회복지적 대책
[일상생활의 성폭력]성폭력사례,아동성폭력,성폭력의원인 및 이유
아동복지 실천에서 아동학대를 방지하기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아동학대...
아동복지의 전제조건 중 본인이 아동복지를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과 이유 및 부...
사회복지법제 ) 최근아동관련 이슈로 아동복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현행 법안의 내용중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