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조사설계의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험조사설계의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조사설계의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본문내용

있어서 같은 값을 가지는 연구대상을 둘씩 골라서 하나는 실험집단에 다른 하나를 통제집단에 배치함으로써 특정 변수의 영향을 같게 하여 결국은 종속변수의 변화에 차이를 없애려는 석. 통제되는 변수의 수가 많아질수록 사용하기 힘들어짐
예 : 연령통제, 학력, 소득 등
b. 빈도분포배합방법(frequency distribution matching)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제하려는 변수의 값의 평균치에 있어서 같도록 하는 방법. a보다 이용하기 쉬운 방법이이지만 이 방법도 통제하는 변수가 많아지면 대상자 선택 및 배치의 어려움이 커짐
예 : 평균연령, 남녀비율 등에 있어서 두 집단을 같도록 하는 것
※ 배합의 방법은 변수를 통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동일하게 만들려는 방법이지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변수를 사전에 다 알 수 없으므로 두 집단을 동일화시킨다는데 한계가 있음
(2) 난선화(randomization)
난선화는 연구대상들을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에 무작위적으로 배치하는 방법으로서 외적 요인을 통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예 : “서울시내 보육시설의 결연아동 중에 후원자와 자주 만나는 아동(한 달에 한번 이상)이 후원자와 만나지 않는 아동보다 자신이 ‘고아’라는 사실에 대한 치욕감(stigma)을 덜 느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조사. 서울시내 보육시설에 있는 남녀 고등학생 60명을 뽑아 30명을 후원자와 자주 만나게 하는 실험집단에 30명을 후원자와 만나지 않게 하는 통제집단에 배치한다. 그러면 서울시내 보육시설에 있는 전체 아동들의 명단을 만들고 이들에게 일련번호를 붙인다. 이렇게 난수표를 이용하여 난선화한다.
※ 난선화 방법은 전에 알려진 변수는 물론 알려지지 않은 변수도 통제할 수 있어 배합의 방법보다 훨씬 효과적임. 난선화를 우선적인 방법으로, 배합은 차선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음
(2) 통계적 통제 (statistical control)
통제해야 할 변수를 독립변수로 간주하여 조사 설계에 포함시키고 결과의 분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그 영향을 통제하는 방법
통계적 통제는 1차적인 통제방법이 되어서는 곤란하고 난선화 및 배합의 보충적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2. 내적 타당도 내적 요인 통제방법
난선화
대부분의 내적 요인들의 통제는 실험집단에 병행하여 통제집단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함
통제집단은 난선화 방법으로 선택된 것이므로 실험집단과 다른 조건에 있어서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음. 그러므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조사과정에서 독립변수의 처리를 제외하고는 같은 조건에 있게 됨
역사, 성장, 검사, 도구, 통계적 회귀 등의 영향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같은 정도(변수의 영향을 통제한다는 것이 영향의 정도를 같게 하는 것임)로 작용하게 되므로 내적 요인에 의한 내적 타당도 저해요인의 영향을 크게 통제할 수 있음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8.13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07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