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평가조사의 개념
2) 평가조사의 목적
3) 사업평가의 종류와 내용
4) 사업평가조사의 절차
5) 결과(종속변수)의 측정
2) 평가조사의 목적
3) 사업평가의 종류와 내용
4) 사업평가조사의 절차
5) 결과(종속변수)의 측정
본문내용
통합성이 결여된 상태), 책임성 등
(2) 결과측정의 기준
절대적 기준
ㆍ규범적인 것으로 미리 정해 놓은 일정 수준의 결과, 프로그램 목표 등
ㆍ문제점 : 범위 좁음,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한 관심 소홀, 높은 목표설정으로 인해 실제결과가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평가될 수 있음
상대적 기준
ㆍ특성이 비슷한 다른 프로그램의 결과와 비교해서 상대적인 평가
ㆍ문제점 : 비교기준 찾기 어려움
(3) 결과자료의 출처
① ct- ct에 대한 직접관찰, 질문지, 면담 등에 의해 자료습득 가능
왜곡, 편견의 가능성, 긍정적인 방향으로 과장 경향 등의 문제 있음
② 프로그램 실천가 - 질문지, 면담, 사전에 규정된 기록표, case record
등의 자료
☞ 문제점 : 객관성 유지 어려움, 긍정적인 방향으로 평가하려는 경향, 전반적인 ct의 변화내용으로 평가하려는 경향, 전반적인 ct의 변화내용을 충분히 알 수 없음
③ ct 주위의 사람 - 가족, 친척, 교사, 친구 등. 특정상황, 특정행동 변화에 관한 자료수집에 적절
전반적인 변화정도 판단은 어려움. ct의 일정한 상황에서의 변화를 평가자가 직접 관찰할 수 없는 경우에 이용
④ 기록된 자료 - 경찰관과 접촉, 병원, 시설에의 입. 퇴원, 복지서비스 이용빈도 기록
☞ 문제점 : 자료의 기록기준 일관성 문제, 자료수집 배경 검토
⑤ 판정자 - 전문가의 자격과 실무경험, 특정자료의 판정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2) 결과측정의 기준
절대적 기준
ㆍ규범적인 것으로 미리 정해 놓은 일정 수준의 결과, 프로그램 목표 등
ㆍ문제점 : 범위 좁음,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한 관심 소홀, 높은 목표설정으로 인해 실제결과가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평가될 수 있음
상대적 기준
ㆍ특성이 비슷한 다른 프로그램의 결과와 비교해서 상대적인 평가
ㆍ문제점 : 비교기준 찾기 어려움
(3) 결과자료의 출처
① ct- ct에 대한 직접관찰, 질문지, 면담 등에 의해 자료습득 가능
왜곡, 편견의 가능성, 긍정적인 방향으로 과장 경향 등의 문제 있음
② 프로그램 실천가 - 질문지, 면담, 사전에 규정된 기록표, case record
등의 자료
☞ 문제점 : 객관성 유지 어려움, 긍정적인 방향으로 평가하려는 경향, 전반적인 ct의 변화내용으로 평가하려는 경향, 전반적인 ct의 변화내용을 충분히 알 수 없음
③ ct 주위의 사람 - 가족, 친척, 교사, 친구 등. 특정상황, 특정행동 변화에 관한 자료수집에 적절
전반적인 변화정도 판단은 어려움. ct의 일정한 상황에서의 변화를 평가자가 직접 관찰할 수 없는 경우에 이용
④ 기록된 자료 - 경찰관과 접촉, 병원, 시설에의 입. 퇴원, 복지서비스 이용빈도 기록
☞ 문제점 : 자료의 기록기준 일관성 문제, 자료수집 배경 검토
⑤ 판정자 - 전문가의 자격과 실무경험, 특정자료의 판정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