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실험조사설계의 특징과 종류
2) 유사실험조사설계의 특징과 종류
2) 유사실험조사설계의 특징과 종류
본문내용
므로 실험설계에 속하는 통제집단전후비교설계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상당히 많은 내적 타당도 저해요인을 통제할 수 있음
단점
ㆍ정확한 동일화가 아닌 것과 관련된 선택의 편의가 역사, 성장, 검사 등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내적 타당도를 저해할 수 있음
ㆍ전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전검사와 독립변수의 상호작용효과가 생길 수 있고, 선택의 편의와 독립변수의 상호작용, 실험상황에의 민감성 등으로 인해 외적 타당도가 저해될 수 있음
분리표본전후비교설계(The Separate-Sample Pretest-Posttest Design)
난선화방법으로 두 집단을 나누고 있지만 전조사나 후조사가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독립변수를 조작할 수 없는 점 등이 실험조사와 다름
단일집단전후비교설계와 유사한 점이 많아 ‘모의전후비교설계’라 부르지만, 검사효과 및 검사와 독립변수와의 상호작용효과를 배제할 수 있는 점에서 단일집단전후비교설계보다 우세함
(집단A) R O1 (X)
(집단B) R × O2
D = O2 - O1
예 : 사회복지발전을 위해 순수민간차원의 공동모금기구를 전국적인 조직으로 만들고 공동모금운동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동모금에 대한 국민들의 참여적 태도를 높이기 위해 TV 방송국에서 합동으로 공동모금의 참여를 유발하기 위한 광고가 한 달간 방영하기로 하고 공동모금의 광고 방영이 국민들의 참여적 태도를 높이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기로 하였다.
서울 시민 600명은 선정하여 난선화하여 30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광고방송 일주일 전에 공동모금에의 참여의향을 묻는 조사를 하고 한 달간 광고방송 후에 실험집단에 대해서 모금에 참여의향을 묻는 조사를 실시하여 통제집단의 전조사 결과와 실험집단의 후조사 결과를 비교하면 이는 분리표본전후비교설계가 된다.
조사설계의 비교
내적, 외적 타당도를 동시에 높이는 것은 대단히 힘들다.
내적타당도↑ → 외적타당도↓, 외적타당도↑ → 내적타당도↓의 상반되는 관계
내적타당도는 내적타당도를 저해하는 내적 및 외적 요인들을 잘 통제함으로써 높일 수 있고, 외적타당도는 표본의 대표성과 실험상황의 현실성을 높임으로써 높일 수 있음
그런데, 표본의 대표성과 실험상황의 현실성을 높이면 내적타당도 요인의 통제가 힘들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음. 그러므로 조사설계에 있어서 내적타당도를 높이느냐 외적타당도를 높이느냐 하는 것이 커다란 딜레마임
조사설계에 있어서 통제와 대표성 문제, 즉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를 동시에 높일 수 없는 경우, 개별조사에 따라 다를 수도 있지만, 내적타당도를 높이는 것이 외적타당도를 높이는 것보다 중요하다고 보는데, 그것은 인과성 규명이 과학성에 있어서 중요하기 때문임
실험조사설계
유사실험조사설계
전실험조사설계
내적타당도
H
M
L
외적타당도
L
M
L
인과관계
H
M
L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단점
ㆍ정확한 동일화가 아닌 것과 관련된 선택의 편의가 역사, 성장, 검사 등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내적 타당도를 저해할 수 있음
ㆍ전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전검사와 독립변수의 상호작용효과가 생길 수 있고, 선택의 편의와 독립변수의 상호작용, 실험상황에의 민감성 등으로 인해 외적 타당도가 저해될 수 있음
분리표본전후비교설계(The Separate-Sample Pretest-Posttest Design)
난선화방법으로 두 집단을 나누고 있지만 전조사나 후조사가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독립변수를 조작할 수 없는 점 등이 실험조사와 다름
단일집단전후비교설계와 유사한 점이 많아 ‘모의전후비교설계’라 부르지만, 검사효과 및 검사와 독립변수와의 상호작용효과를 배제할 수 있는 점에서 단일집단전후비교설계보다 우세함
(집단A) R O1 (X)
(집단B) R × O2
D = O2 - O1
예 : 사회복지발전을 위해 순수민간차원의 공동모금기구를 전국적인 조직으로 만들고 공동모금운동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동모금에 대한 국민들의 참여적 태도를 높이기 위해 TV 방송국에서 합동으로 공동모금의 참여를 유발하기 위한 광고가 한 달간 방영하기로 하고 공동모금의 광고 방영이 국민들의 참여적 태도를 높이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기로 하였다.
서울 시민 600명은 선정하여 난선화하여 30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광고방송 일주일 전에 공동모금에의 참여의향을 묻는 조사를 하고 한 달간 광고방송 후에 실험집단에 대해서 모금에 참여의향을 묻는 조사를 실시하여 통제집단의 전조사 결과와 실험집단의 후조사 결과를 비교하면 이는 분리표본전후비교설계가 된다.
조사설계의 비교
내적, 외적 타당도를 동시에 높이는 것은 대단히 힘들다.
내적타당도↑ → 외적타당도↓, 외적타당도↑ → 내적타당도↓의 상반되는 관계
내적타당도는 내적타당도를 저해하는 내적 및 외적 요인들을 잘 통제함으로써 높일 수 있고, 외적타당도는 표본의 대표성과 실험상황의 현실성을 높임으로써 높일 수 있음
그런데, 표본의 대표성과 실험상황의 현실성을 높이면 내적타당도 요인의 통제가 힘들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음. 그러므로 조사설계에 있어서 내적타당도를 높이느냐 외적타당도를 높이느냐 하는 것이 커다란 딜레마임
조사설계에 있어서 통제와 대표성 문제, 즉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를 동시에 높일 수 없는 경우, 개별조사에 따라 다를 수도 있지만, 내적타당도를 높이는 것이 외적타당도를 높이는 것보다 중요하다고 보는데, 그것은 인과성 규명이 과학성에 있어서 중요하기 때문임
실험조사설계
유사실험조사설계
전실험조사설계
내적타당도
H
M
L
외적타당도
L
M
L
인과관계
H
M
L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