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표본추출의 의의
2. 표본추출의 개념과 용어
3. 표본추출방법
4. 표집오차와 표본의 크기
2. 표본추출의 개념과 용어
3. 표본추출방법
4. 표집오차와 표본의 크기
본문내용
용하기 좋음.
- 몇 사람의 연구대상자를 접촉한 이후에 이들에게 부탁해서 동료들을 소개받아 표본으로 삼는 전략임.
- 표본추출과정에서도 대표성을 믿을 수 없기 때문에 주로 탐색연구나 질적연구에서 연구대상을 선정하는 방법임.
4. 표집오차와 표본의 크기
1) 표집오차
- 표집 그 자체의 속성과 본질에서 발생하는 오차
-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표본오차는 적으며 모집단의 동질성이 클수록 적어짐.
- 표본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표본의 대표성에 대한 더 많은 확신을 가질 수 있음.
- 표본이 추출되는 모집단의 동질성이 클수록 표본의 대표성에 대한 확신을 더 많이 가질 수 있을 것임.
- 표본이 전체 모집단에서 차지하는 수학적 비율은 아주 큰 경우가 아니라면 표본의 대표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 함.
2) 표본의 크기
-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8요소 (모집단의 크기, 조사문제 및 가설, 신뢰수준, 모수치 추정시에 허용되는 최대오차, 모집단의 동질성, 표집비율, 표집방법, 조사의 현실적 여건)
- 표본의 크기를 결정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원칙
① 표본 오차가 적을수록 좋다면 표본의 크기가 커야 함.
② 모집단의 구성요소가 동질하다면 덜 동질적인 모집단보다 표본의 크기가 작을 수 있음.
③ 층화표집은 표본을 추출하기 전에 동질적인 모집단을 구성하기 때문에 단순 무작위 표집에 비해 표본의 크기가 작아도 됨.
④ 몇 가지 간단한 서술통계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복잡한 분석이 필요한 연구에 비해 표본의 크기가 작아도 됨.
⑤ 만약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변수 사이에 강력한 관계를 발견하고자 한다면 약한 관계를 기대할 때보다 표본의 크기가 커야 할 것임.
1. 표본을 연구한 결과가 모집단 전체를 연구한 결과와 같음을 합리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
2. 모집단의 크기, 조사문제 및 가설, 신뢰수준, 모수치 추정시에 허용되는 최대오차, 모집단의 동질성, 표집비율, 표집방법, 조사의 현실적 여건
3. 표집절차가 복잡하지 않으며 비용이 훨씬 적게 듦. 통계의 복잡성이 없으며 활용 가능한 응답자를 즉석에서 활용할 수 있음.
(반면, 단점 :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고 있다고 말할 수 없으며, 연구의 일반화에도 제한이 있음)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 몇 사람의 연구대상자를 접촉한 이후에 이들에게 부탁해서 동료들을 소개받아 표본으로 삼는 전략임.
- 표본추출과정에서도 대표성을 믿을 수 없기 때문에 주로 탐색연구나 질적연구에서 연구대상을 선정하는 방법임.
4. 표집오차와 표본의 크기
1) 표집오차
- 표집 그 자체의 속성과 본질에서 발생하는 오차
-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표본오차는 적으며 모집단의 동질성이 클수록 적어짐.
- 표본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표본의 대표성에 대한 더 많은 확신을 가질 수 있음.
- 표본이 추출되는 모집단의 동질성이 클수록 표본의 대표성에 대한 확신을 더 많이 가질 수 있을 것임.
- 표본이 전체 모집단에서 차지하는 수학적 비율은 아주 큰 경우가 아니라면 표본의 대표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 함.
2) 표본의 크기
-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8요소 (모집단의 크기, 조사문제 및 가설, 신뢰수준, 모수치 추정시에 허용되는 최대오차, 모집단의 동질성, 표집비율, 표집방법, 조사의 현실적 여건)
- 표본의 크기를 결정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원칙
① 표본 오차가 적을수록 좋다면 표본의 크기가 커야 함.
② 모집단의 구성요소가 동질하다면 덜 동질적인 모집단보다 표본의 크기가 작을 수 있음.
③ 층화표집은 표본을 추출하기 전에 동질적인 모집단을 구성하기 때문에 단순 무작위 표집에 비해 표본의 크기가 작아도 됨.
④ 몇 가지 간단한 서술통계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복잡한 분석이 필요한 연구에 비해 표본의 크기가 작아도 됨.
⑤ 만약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변수 사이에 강력한 관계를 발견하고자 한다면 약한 관계를 기대할 때보다 표본의 크기가 커야 할 것임.
1. 표본을 연구한 결과가 모집단 전체를 연구한 결과와 같음을 합리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
2. 모집단의 크기, 조사문제 및 가설, 신뢰수준, 모수치 추정시에 허용되는 최대오차, 모집단의 동질성, 표집비율, 표집방법, 조사의 현실적 여건
3. 표집절차가 복잡하지 않으며 비용이 훨씬 적게 듦. 통계의 복잡성이 없으며 활용 가능한 응답자를 즉석에서 활용할 수 있음.
(반면, 단점 :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고 있다고 말할 수 없으며, 연구의 일반화에도 제한이 있음)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