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
2. 정의
3. 이론
2. 정의
3. 이론
본문내용
수준을 알려고 하면
개인보다는 가구 혹은 가족을 분석단위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구나 가족이 소비단위이기 때문이다.
- 분석단위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세 가지 오류
① 생태적 오류
집단을 분석단위로 조사하면서, 이것을 바탕으로 그 집단을 구성하는 개인들의 어떤 속성을 단정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노인 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노인 인구 비중이 낮은 지역보다 사회복지를 확대하자는 지지표가 많이 나왔다고 했을 때,
우리는 잘못하면 노인들이 사회복지를 더 지지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② 개별적 오류
생태적 오류와 반대로,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여 조사하여 집단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오류를 말한다.
즉 개인들의 행위, 태도 등을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개인들이 속한 집단의 성격이나 특성 등을 유추하는 오류를 말한다.
③ 환원주의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하는 개념이나 변수들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인간의 행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경제적 요인들로만 설명하는 것을 경제적 환원논리라 한다.
5. 연구문제
광범위하게 연구문제란 과학적인 탐구의 방법으로 답을 구할 수 있는 그리고 지적으로 자극을 유발시키는 문제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 연구문제는 어떻게 설정하는가?
① 문헌연구
② 실행가능성 타진
③ 연구문제는 명백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6. 변수(variables)
개념들은 값어치(value)들이 부여될 때 변수가 된다.
1)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종속변수란 조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변수이고, 독립변수란 종속변수의 원인이 되는 변수이다. 대부분의 현상들은 설명하려고 하는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들이 무수히 많을 수 있다.
2) 통제변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진정한 것인가 아니면 가식적인가를 가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변수이다.
3) 변수들 간의 관계
(1) 방향
변수들 간의 관계가 정 이냐 부 이냐를 따지는 것이다. 정의 관계란 하나의 변수의 값이 증가할 때, 다른 변수의 값도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의 관계는 한 변수의 값이 증가할 때 다른 변수의 값이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2) 크기
관계의 크기란 변수들이 정적인 방향이든 부적인 방향이든 같이 변화는 정도를 말한다.
7. 가설
가설이란 연구문제에 대한 임시적인 답이다. 가설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는 어떠하다'는 형태로 표현된다.
가설이 경험적인 조사에서 부정이 되면 다른 가설이 제시되고, 반대로 가설이 받아들여지면, 그것은 과학적인 지식체계의 하나로받아들여질 수 있다.
- 좋은 가설의 4가지 특성
① 가설은 명확해야 한다.
② 가설은 구제적이어야 한다.
③ 가설은 가치중립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④가설은 기존의 조사방법으로 검증 가능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개인보다는 가구 혹은 가족을 분석단위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구나 가족이 소비단위이기 때문이다.
- 분석단위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세 가지 오류
① 생태적 오류
집단을 분석단위로 조사하면서, 이것을 바탕으로 그 집단을 구성하는 개인들의 어떤 속성을 단정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노인 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노인 인구 비중이 낮은 지역보다 사회복지를 확대하자는 지지표가 많이 나왔다고 했을 때,
우리는 잘못하면 노인들이 사회복지를 더 지지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② 개별적 오류
생태적 오류와 반대로,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여 조사하여 집단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오류를 말한다.
즉 개인들의 행위, 태도 등을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개인들이 속한 집단의 성격이나 특성 등을 유추하는 오류를 말한다.
③ 환원주의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하는 개념이나 변수들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인간의 행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경제적 요인들로만 설명하는 것을 경제적 환원논리라 한다.
5. 연구문제
광범위하게 연구문제란 과학적인 탐구의 방법으로 답을 구할 수 있는 그리고 지적으로 자극을 유발시키는 문제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 연구문제는 어떻게 설정하는가?
① 문헌연구
② 실행가능성 타진
③ 연구문제는 명백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6. 변수(variables)
개념들은 값어치(value)들이 부여될 때 변수가 된다.
1)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종속변수란 조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변수이고, 독립변수란 종속변수의 원인이 되는 변수이다. 대부분의 현상들은 설명하려고 하는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들이 무수히 많을 수 있다.
2) 통제변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진정한 것인가 아니면 가식적인가를 가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변수이다.
3) 변수들 간의 관계
(1) 방향
변수들 간의 관계가 정 이냐 부 이냐를 따지는 것이다. 정의 관계란 하나의 변수의 값이 증가할 때, 다른 변수의 값도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의 관계는 한 변수의 값이 증가할 때 다른 변수의 값이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2) 크기
관계의 크기란 변수들이 정적인 방향이든 부적인 방향이든 같이 변화는 정도를 말한다.
7. 가설
가설이란 연구문제에 대한 임시적인 답이다. 가설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는 어떠하다'는 형태로 표현된다.
가설이 경험적인 조사에서 부정이 되면 다른 가설이 제시되고, 반대로 가설이 받아들여지면, 그것은 과학적인 지식체계의 하나로받아들여질 수 있다.
- 좋은 가설의 4가지 특성
① 가설은 명확해야 한다.
② 가설은 구제적이어야 한다.
③ 가설은 가치중립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④가설은 기존의 조사방법으로 검증 가능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