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사설계의 정의
2) 조사설계의 목적
3) 조사설계의 평가기준
2) 조사설계의 목적
3) 조사설계의 평가기준
본문내용
배제한 후 X와 Y의 실질적인 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그림 1] 가식적 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는 변수관계
예 2)
“노인들의 경우 친구와의 접촉이 생활만족도를 높일 것이다.”는 가설에서 친구와의 접촉은 생활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친구와의 접촉은 노인의 자아지지의 정도를 높여 주고 자아지지의 정도가 높아지므로 노인은 높은 생활만족도를 가질 수 있게 되는 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자아지지가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친구와의 접촉이 생활만족과 관련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림 2] 매개변수에 의한 간접적 변수관계
이상과 같은 가식적 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는 변수나 매개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변수들을 미리 발견하여 통제하는 것이 조사설계에 있어서 주요한 과제가 된다.
변수통제의 의미
조사변수의 변량 최대화
가외변수의 변량 통제
① 통제변수의 값을 동일하게
② 난선화(randomization)
③ 통계적 방법으로 통제변수를 통제함
오차변수(모르는 제3의 변수, 측정 불가능한, 측정과정에서 실수로 인한 변수, 영향을 미치지만 알 수 없는 변수)의 통제
3) 조사설계의 평가기준
① 조사문제에 대한 해답을 주는가?
② 조사에 직접 관계없는 타 변수(가외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가?
③ 이 조사의 결과는 다른 대상, 다른 상황에서 같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인가? 즉, 일반화가 가능한가?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그림 1] 가식적 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는 변수관계
예 2)
“노인들의 경우 친구와의 접촉이 생활만족도를 높일 것이다.”는 가설에서 친구와의 접촉은 생활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친구와의 접촉은 노인의 자아지지의 정도를 높여 주고 자아지지의 정도가 높아지므로 노인은 높은 생활만족도를 가질 수 있게 되는 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자아지지가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친구와의 접촉이 생활만족과 관련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림 2] 매개변수에 의한 간접적 변수관계
이상과 같은 가식적 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는 변수나 매개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변수들을 미리 발견하여 통제하는 것이 조사설계에 있어서 주요한 과제가 된다.
변수통제의 의미
조사변수의 변량 최대화
가외변수의 변량 통제
① 통제변수의 값을 동일하게
② 난선화(randomization)
③ 통계적 방법으로 통제변수를 통제함
오차변수(모르는 제3의 변수, 측정 불가능한, 측정과정에서 실수로 인한 변수, 영향을 미치지만 알 수 없는 변수)의 통제
3) 조사설계의 평가기준
① 조사문제에 대한 해답을 주는가?
② 조사에 직접 관계없는 타 변수(가외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가?
③ 이 조사의 결과는 다른 대상, 다른 상황에서 같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인가? 즉, 일반화가 가능한가?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