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적 과점분석모형] 꾸르노모형, 버트란드모형, 챔벌린모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고전적 과점분석의 모형

Ⅰ. 꾸르노모형

Ⅱ. 버트란드모형

Ⅲ. 챔벌린모형

본문내용

대화하기 위해 OP2의 가격 수준으로 Q1Q2(=OQ3) 만큼을 더 생산한다.
이 경우 복점기업 A는 복점기업 B가 시장에 들어 온 이상 이를 퇴출하려고 한다든지 또는 그의 시장을 빼앗으려고 하면 심한 반발이 있으리라는 것을 잘 알고 있으므로 B의 존재를 인정하고 자기의 생산량을 OQ1으로 유지하고 가격은 OP2로 인하하게 된다. 왜냐하면 기업 A가 OP1의 가격 수준을 유지할 경우 기업 A는 한 단위의 상품도 판매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산업 전체의 이윤은 □OP2CQ2의 면적이 된다. 이때 복점기업 A와 B는 그들의 경쟁이 서로에게 불리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즉, 복점기업 A는 가격 수준을 OP2로 인하할 경우 이윤이 반감되기 때문에 서로 경쟁하는 것보다는 둘이서 공동작전을 펴는 것이 유리함을 알고 있으므로 시장수요를 분할하는 도리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복점기업 A는 독점 때의 시장가격이나 생산량으로 조정하여 1/2OQ1만 생산하고 나머지는 복점기업 B에게 생산토록 할 경우 그 산업 전체는 OPqEQ1의 면적과 같은 순수독점이윤을 얻게 된다. 이때 복점기업 A와 B는 산업 전체의 이윤을 반반씩 차지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복점기업의 판매능력이나 비용조건이 동일하지 않는다면 균등한 이윤의 분할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챔벌린의 결론은 과점기업들의 상호의존성이라는 가정이 현실과 부합된다는 점에서 다른 모형에서의 행동보다 타당성이 있다. 다만 각 과점기업들이 주어진 운명이라고 그냥 체념하고 자기이윤이 반감되는 것을 감수만 할 것인가? 또 현실에서 기업들이 상호의존성에 대한 인식만으로 상호협약 없이 공동행위를 한다는 것은 지나친 비약이 아닌가하는 비판이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꾸르노모형은 과점균형이 독점균형과 경쟁균형의 중간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고, 버트란드모형은 과점시장에서도 경쟁균형이 달성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쳄벌린모형은 과점시장에서 독점균형이 달성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가정은 비현실적이다. 왜냐하면 자기는 상대방의 행동을 고려하면서 각기 자기 행동을 정하는데 상대방은 자기 행동에 대해 전혀 반응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완전히 모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제로 기업이 이러한 가정대로 행동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현실성도 결여되어 있다. 더욱이 비용이 없는 생산이란 있을 수 없으며, 따라서 이들의 가정은 비현실적이라고 할 수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8.15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1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