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 실험보고서] 흡광광도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다.
cuvette의 길이는 1cm이며, X의 molar extinction coefficient는 10,000 이다. 이 X의 농도는 얼마 인가?
-> Beer's law에 의해 A = εℓC에서 A = 0.4, ε= 10,000, ℓ = 1cm 이다.
∴ C = M
2) NADH는 340nm에서 최대흡광도를 나타내며 molar extinction coefficient는 5220 이다. 농도가 22㎛인 NADH 용액의 O.D.를 측정하면 얼마인가? cuvette의 길이는 1cm 이다.
-> 마찬가지로 Beer's law에 의해 A = εℓC에서 ε= 6220, ℓ = 1cm, c = 22㎛ 이다.
∴ A = 0.13684 ≒ 0.14
3) MW 180인 X가 있다. 20mM 50㎖을 만들려면 필요한 X의 양과 물의 양은?
-> Molarity = (moles of solute) / (liters of solution) 이므로
X의 mol수 = 0.02M X 0.05ℓ = 0.001
X의 MW는 180g/mol 이므로 0.001mol에는 X가 0.18g 필요하다. 50㎖을 만들어야 하므로 필요한 물의 양은 50-0.18 = 49.82㎖ 이다.
4) %T가 99%와 0.1%인 시료 a, b가 있다. a, b의 흡광도는 얼마인가?
-> a는 1%의 빛만을 흡수하는 시료이고, b는 99.9%의 빛을 흡수하는 시료이다.
Ta = 99/100 = 0.99, Tb = 0.1/100 = 0.001
∴ Aa = -log Ta = -log(0.99) = 0.0044
Ab = -log Tb = -log(0.001) = 3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8.15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12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