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cuvette의 길이는 1cm이며, X의 molar extinction coefficient는 10,000 이다. 이 X의 농도는 얼마 인가?
-> Beer's law에 의해 A = εℓC에서 A = 0.4, ε= 10,000, ℓ = 1cm 이다.
∴ C = M
2) NADH는 340nm에서 최대흡광도를 나타내며 molar extinction coefficient는 5220 이다. 농도가 22㎛인 NADH 용액의 O.D.를 측정하면 얼마인가? cuvette의 길이는 1cm 이다.
-> 마찬가지로 Beer's law에 의해 A = εℓC에서 ε= 6220, ℓ = 1cm, c = 22㎛ 이다.
∴ A = 0.13684 ≒ 0.14
3) MW 180인 X가 있다. 20mM 50㎖을 만들려면 필요한 X의 양과 물의 양은?
-> Molarity = (moles of solute) / (liters of solution) 이므로
X의 mol수 = 0.02M X 0.05ℓ = 0.001
X의 MW는 180g/mol 이므로 0.001mol에는 X가 0.18g 필요하다. 50㎖을 만들어야 하므로 필요한 물의 양은 50-0.18 = 49.82㎖ 이다.
4) %T가 99%와 0.1%인 시료 a, b가 있다. a, b의 흡광도는 얼마인가?
-> a는 1%의 빛만을 흡수하는 시료이고, b는 99.9%의 빛을 흡수하는 시료이다.
Ta = 99/100 = 0.99, Tb = 0.1/100 = 0.001
∴ Aa = -log Ta = -log(0.99) = 0.0044
Ab = -log Tb = -log(0.001) = 3
cuvette의 길이는 1cm이며, X의 molar extinction coefficient는 10,000 이다. 이 X의 농도는 얼마 인가?
-> Beer's law에 의해 A = εℓC에서 A = 0.4, ε= 10,000, ℓ = 1cm 이다.
∴ C = M
2) NADH는 340nm에서 최대흡광도를 나타내며 molar extinction coefficient는 5220 이다. 농도가 22㎛인 NADH 용액의 O.D.를 측정하면 얼마인가? cuvette의 길이는 1cm 이다.
-> 마찬가지로 Beer's law에 의해 A = εℓC에서 ε= 6220, ℓ = 1cm, c = 22㎛ 이다.
∴ A = 0.13684 ≒ 0.14
3) MW 180인 X가 있다. 20mM 50㎖을 만들려면 필요한 X의 양과 물의 양은?
-> Molarity = (moles of solute) / (liters of solution) 이므로
X의 mol수 = 0.02M X 0.05ℓ = 0.001
X의 MW는 180g/mol 이므로 0.001mol에는 X가 0.18g 필요하다. 50㎖을 만들어야 하므로 필요한 물의 양은 50-0.18 = 49.82㎖ 이다.
4) %T가 99%와 0.1%인 시료 a, b가 있다. a, b의 흡광도는 얼마인가?
-> a는 1%의 빛만을 흡수하는 시료이고, b는 99.9%의 빛을 흡수하는 시료이다.
Ta = 99/100 = 0.99, Tb = 0.1/100 = 0.001
∴ Aa = -log Ta = -log(0.99) = 0.0044
Ab = -log Tb = -log(0.001) = 3
추천자료
탄수화물에 대하여
실험 6. 결정장갈라짐에너지의 측정
[공학]DNA의 농도 및 순도의 측정과 재생 및 변성 - 예비,결과보고서
(식품화학실험보고서)유지의 TBA value test(thiobarbituric acid).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의한카페인분석-3
Biuret법에 의한 단백질 정량실험
[식물생리학실험]Exp 7. 막 투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결과) 화학반응에서의 평형상수 결정
서울대 [생물학] 색소분리
[실험보고서] 오존 (중성요오드화 칼륨법)
uv를 이용한 흡수 분광법 (UV-Vis를 이용한 흡수 분광법과 Beer- Lambert의 법칙)
DNS 법을 이용한 환원당정량실험 결과 레포트 입니다.
DNA 농도 측정 및 플라스미드 (plasmid), 전기영동법 (gel electrophor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