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의 고조선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고조선의 기원과 강역
고조선을 다룬 문헌
고조선의 지배체제와 사회성격
고조선이 삼국시대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역사 속의 고조선




고조선의 기원과 강역

1. 고조선의 존재여부

 •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에서 고조선의 존재 설명.
 • 일제 식민사학이나 이에 영향을 받은 국내학자들은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의 고조선 관련 기사를 신화취급하여 고조선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다.
 • ‘삼국유사’와 ‘제왕운기’가 작성 될 당시 그보다 더 오래된 문헌을 참조했을 것이므로 신뢰성이 높으며, 고조선의 존재는 부정할 수 없는 사실로 생각될 수 있다.




고조선의 기원과 강역

2. 고조선의 위치

 • ‘산해경’과 ‘전국’책을 종합해 볼 때, 고조선은 전국시대 당시 연나라의 동쪽, 난하의 동쪽, 지금의 요서지방에 위치함.

 ≪ 지 도 ≫




고조선의 기원과 강역

 • 고고학적 발굴 결과 고조선은 지금의 발해 북안을 중심으로 하여 지금의 중국 하북성 동북부~ 한반도 북부에 이르렀음.
 • 청천강 이북 - 고조선의 직접 통치 지역,
  청천강 이남-한(韓)(고조선의 간접 통치 지역)
 ⇒ 넓은 의미의 고조선 영토는 청천강 이남의 한반도 전부가 포함된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08.18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7615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