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 도가 불교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유교 도가 불교 사상
① 유가 사상
② 도가 사상
③ 불교 사상


(2) 동양사상의 인성론 & 마음 수양 론
① 인성론
② 마음 수양 론

(3) 통치이론 & 행복 론
① 통치이론 & 행복 론


3.결론

(1) 내가 찾은 내용
(2) 후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달리 사람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사랑해야 한다는 이념이다. 이 학문은 지나치게 절약과 검소만을 내세우기 때문에 그 가르침을 완전히 실천에 옮기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으나 그러나 생산의 소중함과 생활의 검약함을 강조한 내용은 버릴 수 없다
음양가(陰陽家)는 음양설을 신봉하던 학파로 춘추전국 시대 때 제나라의 추연, 추석 등이 그 대표적 사상가이다. 천체의 운행이나 사계절의 변화 들 자연현상의 법칙을 설명하며, 인간생활도 거기에 따라야 재해를 입지 않고 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 학파이다.
명가(明家) 전국시대에 변자찰사로 불린 이들로 명과 실의 일치, 불일치 관계를 중시하여, 세상이 혼란한 이유가 거기에 있다 주장하며 명실합일을 외쳤다.
종횡가(從橫家) 소진이나 장의로 대표되며, 합종연횡의 책략을 내세워 이 이름이 붙었다. 이들이 내세운 연횡책은 진나라와 6국이 각각 손을 잡게 하여 진나라를 발전시키려 한 책략이다.
잡가(雜家) 다른 학파의 학설을 자유롭게 채택하여 필요한 것만 뽑아 하나의 사상을 구성한 학파이다.
농가(農家) 농업을 중시하고 농경에 힘써야 국가가 발전한다고 주장한 제자백가의 한 학파이다.
(2) 후기
무엇보다 ‘동양사상의 이해’ 교양과목을 들으며 제 전공분야가 아닌 새로운 지식을 알아 갈 수 있어서 뿌듯함을 느꼈습니다.
어렵고 이해가 되지 않을 것만 같던 ‘동양 사상의 이해’라는 과목은 신기하게도 첫 수업 내용인 유, 불, 도 사상에 대한 개념이 보고서를 쓰면서 생생하게 기억이 났습니다. 녹음하여 다시 들을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교수님의 수업 방식이 생소하여 어렵기도 하였으나, 제가 들었던 내용을 다시 한 번 찾아보고 적어보는 과정에서 교수님이 하신 많은 이야기들이 제 것으로 만들어 진 것 같습니다.
또한 동양사상이라는 역사의 한 부분을 알아 나감으로서 수박 겉 핥기 식 으로 배웠던 윤리, 도덕적 지식들이 알차게 채워지는 것 같습니다. 아직 계절 학기가 많이 남았지만, 수업뿐 만 아니라 제 자신에게도 도움이 되는 시간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 하고 싶습니다.
4. 참고문헌
수업 내용 참고
김정란 외, 유가의 자연법 사상, 2006.
김교빈, 이현구, 동양철학에세이, 동녘, 2006.
장승구, 동양 사상의 이해 ,경인 문화사, 2002년.
蔡仁厚 지음, 천병돈 옮김. <순자의 철학>. 예문서원, 2000.
펑유란/정인재 ,간명한 중국철학사,형설출판사, 2007.

키워드

유가,   도가,   불교,   사상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8.21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17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