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학 - 문학이란?
Ⅰ. 문학의 본질
1. 문학이란 무엇인가?
2. 문학의 정의
1) 광의의 문화
2) 협의의 문학
3. 문학의 기원
1) 심리학적 기원설
2) 발생학적 기원설
3) 원시가무설(原始歌舞設)
4. 문학의 기능
1) 교훈적 기능
2) 쾌락적 기능
5. 문학의 특성
1) 보편성(普遍性)
2) 항구성(恒久性)
3) 개성(個性)
6. 문학의 요소
1) 정서(emotion)
2) 상상(imagination)
3) 사상(thought)
4) 형식(form)
7. 문학의 장르
1) 이분법
2) 삼분법
3) 사분법
Ⅰ. 문학의 본질
1. 문학이란 무엇인가?
2. 문학의 정의
1) 광의의 문화
2) 협의의 문학
3. 문학의 기원
1) 심리학적 기원설
2) 발생학적 기원설
3) 원시가무설(原始歌舞設)
4. 문학의 기능
1) 교훈적 기능
2) 쾌락적 기능
5. 문학의 특성
1) 보편성(普遍性)
2) 항구성(恒久性)
3) 개성(個性)
6. 문학의 요소
1) 정서(emotion)
2) 상상(imagination)
3) 사상(thought)
4) 형식(form)
7. 문학의 장르
1) 이분법
2) 삼분법
3) 사분법
본문내용
는 가장 일차적인 요소다.
2) 상상(imagination)
상상이란 경험적 사실로부터 얻은 재료를 바탕으로하여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거나 혹은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인간의 정신적 능력이다. 달리 말해 상상은 경험과 이미지의 통합이다.
모방적 상상 - 경험적 현실에서 다루거나 본 사물 또는 그 운동이나 행위를 본뜨고 싶어하는 상상력
연상적 상상 - 경험적 현실에서 다루거나 본 사물 또는 그 운동이나 행위로부터 이와 유사한 형태의 다른 경험적 사실을 머리 속에 떠올리는 상상력
통합적 상상 - 경험적 세계에서 획득된 정보와 지식을 하나로 종합하여 제 삼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도약하는 창조적 정신 능력을 말하는 것
T. 웬체스터 - 창조적 상상, 연상적 상상, 해석적 상상
3) 사상(thought)
사상이란 세계를 바라보는 작가의 인식의 눈으로 이를 인생관 혹은 세계관이라 부른다. 문학의 경우, 정서와 상상력에 체계적인 인식의 질서를 부여하는 것이 사상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형식미는 쾌감을 부여하고, 사상은 무게감을 부여한다. 정서가 감수성의 풍부함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한다면, 사상은 작가의 위대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재서 - 공리주의문학(사상을 표면에 내세우는 문학), 대중문학(사상을 배제하는 문학), 순수문학(사상을 정서 속에 융해시켜 놓은 문학)
4) 형식(form)
문학의 구조를 크게 둘로 나누면 형식과 내용이 된다. 형식은 내용을 담아 내는 그릇이요, 내용은 형식에 의해 지탱되는 주제이다. 문학의 기능면에서 볼 때, 형식을 강조하면 무학의 쾌락적 기능을 중시하는 것이 되고, 내용을 강조하면 문학의 교훈적 기능을 중시하는 것이 된다.
형식은 문학의 외면적 구조물이요, 내용은 문학의 내면적 구조물이다.
7. 문학의 장르
1) 이분법
운문 - 규칙적인 운율이 있는 글
산문 - 규칙적인 운율이 없는 형태의 글
2) 삼분법
서정양식 - 서양 : 담시, 송가, 소네트, 목가, 만가, 풍자시, 패러디
우리나라 : 민요, 향가, 시조, 가사, 경기체가, 근대시, 현대시
서사양식 - 서양 : 설화, 신화, 전설, 민담, 서사시, 소설
우리나라: 설화, 고대소설, 판소리, 신소설, 근대소설, 현대소설
극양식 - 희곡, 극시, 시극, 인형극, 가면극, 신파극, 근대극, 현대극
3) 사분법
조동일 - 서정문학, 서사문학, 희곡문학, 교술문학
구인환, 구청환 - 서정양식, 서사양식, 극양식, 주제양식
2) 상상(imagination)
상상이란 경험적 사실로부터 얻은 재료를 바탕으로하여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거나 혹은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인간의 정신적 능력이다. 달리 말해 상상은 경험과 이미지의 통합이다.
모방적 상상 - 경험적 현실에서 다루거나 본 사물 또는 그 운동이나 행위를 본뜨고 싶어하는 상상력
연상적 상상 - 경험적 현실에서 다루거나 본 사물 또는 그 운동이나 행위로부터 이와 유사한 형태의 다른 경험적 사실을 머리 속에 떠올리는 상상력
통합적 상상 - 경험적 세계에서 획득된 정보와 지식을 하나로 종합하여 제 삼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도약하는 창조적 정신 능력을 말하는 것
T. 웬체스터 - 창조적 상상, 연상적 상상, 해석적 상상
3) 사상(thought)
사상이란 세계를 바라보는 작가의 인식의 눈으로 이를 인생관 혹은 세계관이라 부른다. 문학의 경우, 정서와 상상력에 체계적인 인식의 질서를 부여하는 것이 사상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형식미는 쾌감을 부여하고, 사상은 무게감을 부여한다. 정서가 감수성의 풍부함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한다면, 사상은 작가의 위대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재서 - 공리주의문학(사상을 표면에 내세우는 문학), 대중문학(사상을 배제하는 문학), 순수문학(사상을 정서 속에 융해시켜 놓은 문학)
4) 형식(form)
문학의 구조를 크게 둘로 나누면 형식과 내용이 된다. 형식은 내용을 담아 내는 그릇이요, 내용은 형식에 의해 지탱되는 주제이다. 문학의 기능면에서 볼 때, 형식을 강조하면 무학의 쾌락적 기능을 중시하는 것이 되고, 내용을 강조하면 문학의 교훈적 기능을 중시하는 것이 된다.
형식은 문학의 외면적 구조물이요, 내용은 문학의 내면적 구조물이다.
7. 문학의 장르
1) 이분법
운문 - 규칙적인 운율이 있는 글
산문 - 규칙적인 운율이 없는 형태의 글
2) 삼분법
서정양식 - 서양 : 담시, 송가, 소네트, 목가, 만가, 풍자시, 패러디
우리나라 : 민요, 향가, 시조, 가사, 경기체가, 근대시, 현대시
서사양식 - 서양 : 설화, 신화, 전설, 민담, 서사시, 소설
우리나라: 설화, 고대소설, 판소리, 신소설, 근대소설, 현대소설
극양식 - 희곡, 극시, 시극, 인형극, 가면극, 신파극, 근대극, 현대극
3) 사분법
조동일 - 서정문학, 서사문학, 희곡문학, 교술문학
구인환, 구청환 - 서정양식, 서사양식, 극양식, 주제양식
추천자료
[문학교육] 반영이론과 수용이론
(국문학연습)<사씨남정기>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에 대한 비교 서술
문학 해석학의 정의, 문학 해석학의 사상, 리꾀르의 문학 해석학, 문학 해석학의 평가 고찰(...
아동문학의 정의, 특징, 장르, 기능과 영향 등(미리보기 및 목차확인요)
[문학교육][상징논리][문학평가][텍스트]문학교육의 범주, 문학교육의 필요성, 문학교육의 상...
대중문화를 문학교육에 수용할 수 있는가
중국고전문학이론의 현대적 활용문제에 관한 고찰
[문학감상][웹토의문학감상학습][작품선정기준]문학감상의 의미, 문학감상의 주요요소, 문학...
[문학교육][문학감상]문학교육의 성격, 문학교육의 교수학습방법, 문학교육의 지향점, 문학감...
2011년 동계계절시험 문학비평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아동문학의 의의와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
문학을 통해 살펴본 낭만주의
[소설가 김유정][소설 봄봄][동백꽃]소설가 김유정의 연보, 소설가 김유정의 문학관, 소설가 ...
현대문학사 정리 : 1960년대 - 개관과 시, 소설, 희곡, 평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