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Syllabification
1) 전통적 음절규칙 (Tradition Syllabification Rule)
2) 음절화의 일반원칙 (General Principles of Syllabification)
2. Open Syllable : 음절말자음(coda)이 없는 음절
3. Closed syllable : 음절말자음(Coda)이 있는 음절
4. Heavy (Strong) syllable
5. Ambisyllable
1) 전통적 음절규칙 (Tradition Syllabification Rule)
2) 음절화의 일반원칙 (General Principles of Syllabification)
2. Open Syllable : 음절말자음(coda)이 없는 음절
3. Closed syllable : 음절말자음(Coda)이 있는 음절
4. Heavy (Strong) syllable
5. Ambisyllable
본문내용
ghtt syllable)이 있는데, 중음절은 장모음 또는 중모음이 있거나, 폐음절(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을 따라 나오는 음절이 그 외의 음절보다 시간적으로 약간 길게 발음되는 것이다.
Onset에 있는 자음의 수는 음절의 무게를 더하지 않는다.
음절 무게의 대립은 대부분 계층적이지 않고 엄격하게 이분법적(binary nature)이다.
경음절 - CV : the /o/
중음절 - CVV : ski /ski/
CVC : frog /frg/
CVVC : dream /drim/
CVCC : fact /faekt/
5. Ambisyllable
: The overlapping phenomenon that a non-syllablic segment belongs to both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syllables simultaneously.
음절성 분절음 사이에 하나의 비음절성 분절음이 있을 경우에는 그 분절음이 비록 뒷음절의 초음으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그 앞음절에 강세가 있을 경우, 그 음절성 분절음을 앞음절의 말음으로 연결.
음절성 분절음 사이에 두 개의 비음절성 분절음이 있을 경우, 그 두 개의 비음절성 분절음이 비록 뒷음절의 초음으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그 앞음절에 강세가 있을 때는 그 두 개의 비음절성 분절음 중 앞의 것을 그 앞음절의 말음으로 연결.
ex) pony / p n i /
s₁ s₂
: /n/은 제 1음절에도 속하고 제 2음절에도 속하므로 양음절성(ambisyllabic)
har it
₁ ₂
O R O R
N C N C
[ h r t ]
Onset에 있는 자음의 수는 음절의 무게를 더하지 않는다.
음절 무게의 대립은 대부분 계층적이지 않고 엄격하게 이분법적(binary nature)이다.
경음절 - CV : the /o/
중음절 - CVV : ski /ski/
CVC : frog /frg/
CVVC : dream /drim/
CVCC : fact /faekt/
5. Ambisyllable
: The overlapping phenomenon that a non-syllablic segment belongs to both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syllables simultaneously.
음절성 분절음 사이에 하나의 비음절성 분절음이 있을 경우에는 그 분절음이 비록 뒷음절의 초음으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그 앞음절에 강세가 있을 경우, 그 음절성 분절음을 앞음절의 말음으로 연결.
음절성 분절음 사이에 두 개의 비음절성 분절음이 있을 경우, 그 두 개의 비음절성 분절음이 비록 뒷음절의 초음으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그 앞음절에 강세가 있을 때는 그 두 개의 비음절성 분절음 중 앞의 것을 그 앞음절의 말음으로 연결.
ex) pony / p n i /
s₁ s₂
: /n/은 제 1음절에도 속하고 제 2음절에도 속하므로 양음절성(ambisyllabic)
har it
₁ ₂
O R O R
N C N C
[ h r t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