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간호사정
Ⅱ. 간호진단 & 계획
간호진단
#1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2 쇄골하정맥 카테터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3 쇄골하정맥 카테터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4 심근손상과 관련된 심박출량의 감소
#5 절대 안정으로 인한 부적절한 자세와 관련된 배뇨 장애
Ⅱ. 간호진단 & 계획
간호진단
#1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2 쇄골하정맥 카테터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3 쇄골하정맥 카테터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4 심근손상과 관련된 심박출량의 감소
#5 절대 안정으로 인한 부적절한 자세와 관련된 배뇨 장애
본문내용
간호진단
#4 심근손상과 관련된 심박출량의 감소
주관적 자료
“어지러워요.” 2/2 10:00
객관적 자료
대상자가 어지러움을 호소한다.
혈압이 100/60으로 낮아졌다.
맥박이 50회로 감소하였다.
호흡수는 분당 16회이다.
간호계획
1. 15분마다 활력징후를 관찰한다.
2. 심박출량 감소의 증상을 사정하고 기록한다(저혈압, 빈맥, 서맥, 배뇨량 감소, 피로감, 축축하고 찬 피부, 부정맥, 혼미 등)
3. 심근의 산소 요구를 줄이기 위해 활동을 제한한다.
4. 부정맥을 평가하기 위해 심전도를 관찰한다.
5. 4시간 마다 심음과 호흡음을 청취한다.
6. 혈액역동 상태(폐동맥압, 중심정맥압)를 모니터한다.
간호진단
#5 절대 안정으로 인한 부적절한 자세와 관련된 배뇨 장애
주관적 자료
“누워서 소변을 제대로 못 보겠어요.” 2/2 13:00
객관적 자료
섭취량이 1200cc, 배설량이 500cc이다. 13:00
소변을 제대로 보지 못한다.
간호계획
1.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기록한다.
2.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3. 방광팽만감을 알아본다.
4. 소변기를 사용함에 있어 프라이버시를 유지해준다.
5. 배뇨가 불가능한 경우 단순도뇨를 시행한다.
#4 심근손상과 관련된 심박출량의 감소
주관적 자료
“어지러워요.” 2/2 10:00
객관적 자료
대상자가 어지러움을 호소한다.
혈압이 100/60으로 낮아졌다.
맥박이 50회로 감소하였다.
호흡수는 분당 16회이다.
간호계획
1. 15분마다 활력징후를 관찰한다.
2. 심박출량 감소의 증상을 사정하고 기록한다(저혈압, 빈맥, 서맥, 배뇨량 감소, 피로감, 축축하고 찬 피부, 부정맥, 혼미 등)
3. 심근의 산소 요구를 줄이기 위해 활동을 제한한다.
4. 부정맥을 평가하기 위해 심전도를 관찰한다.
5. 4시간 마다 심음과 호흡음을 청취한다.
6. 혈액역동 상태(폐동맥압, 중심정맥압)를 모니터한다.
간호진단
#5 절대 안정으로 인한 부적절한 자세와 관련된 배뇨 장애
주관적 자료
“누워서 소변을 제대로 못 보겠어요.” 2/2 13:00
객관적 자료
섭취량이 1200cc, 배설량이 500cc이다. 13:00
소변을 제대로 보지 못한다.
간호계획
1.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기록한다.
2.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3. 방광팽만감을 알아본다.
4. 소변기를 사용함에 있어 프라이버시를 유지해준다.
5. 배뇨가 불가능한 경우 단순도뇨를 시행한다.
추천자료
임상실습 conference
빈혈에 대한 조사
고혈압과 저혈압
허혈성 심질환의 치료 (ischemic heart disease treatment)
협심증 케이스
CHF 병태 생리 및 간호
수술 전후 간호
협심증,PTCA
위장계, 호흡기내과, KD신장내과 주요질환
[병리, 소화기관, 심혈관계질환, 간내결석증, CHV(개허피스바이러스)감염증]소화기관의 병리,...
협심증의 정의와 예방법 및 환자가 알아야할 상식
동맥경화증(동맥경화) 정의와 요인, 동맥경화증(동맥경화) 증상과 위험인자, 동맥경화증(동맥...
[심혈관질환] 심혈관 질환의 정의와 원인 및 증상 - 선천성 심질환, 동맥경화증, 협심증,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