험한증의 현상분석 및 발달과정 및 해결책 대안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험한증의 현상

2. 험한증의 원인(한국측)

3. 험한증의 원인(중극측)

4. 험한증의 발달과정

5. 험한증의 극복대안 방법

본문내용

포츠 신문 <티탄저우바오(體壇週報)>가 ‘스페인 역시 부정한 심판에 의해 또 다른 희생양이 될지 모른다며 두려워하고 있다’고 보도하는 등 중국 언론이 앞장섰다.
4. 중국의 한 건강신문이 중국 심리학자들의 주장을 인용해 '한국드라마를 자주 보는 중국인은 사유(思維)능력 저하가 우려된다'고 보도.(마이데이리기사2008/01/15 16:05)
중국의 건강신문 다허건강보(大河健康報)는 15일자에서 "한국드라마가 소일거리를 찾는 이들에게 좋은 수단이긴 하지만 너무 많은 관심을 가지거나 드라마에 지나치게 공감하면 정상적인 사유능력에 영향을 끼친다"고 중국학자들의 연구성과라고 전했다.
http://auctor.egloos.com/4579599
http://poisontongue.sisain.co.kr/169
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801151546321112&ext=na
*발달과정
- 지금의 혐한증이 오게 된 과정에는 한.중 양국간 잘못이 있다. 한국은 오래 전부터 중국에 대한 좋지 못한 고정관념이 있었다. 중국 사람을 ‘때쟁이’ ‘찌질이’로 부르는가 하면 불량품을 두고 ‘Made in China'로 치부하였던 것도 그렇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우리 생활속에 각인이 되었고 은연중 방송과 인터넷 등을 통해 확산되었으며 중국인들의 눈과 귀에까지 이르렀다.
중국인 또한 한국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다. 과거 역사시대 때, 변방의 약소국으로 세계의 중심인 자신들에게 조공을 바치는 작은 나라로 한국을 인식해 왔으나 현대에 와서 경제적으로 급부상하는 한국, 문화산업으로 중국을 압도하는 한국, 중국축구가 한번도 넘어보지 못한 한국축구 등 작게만 보던 한국에게 이제는 열등감을 가지게 되는 요소들이 너무나 많이 생겨났다. 그 열등감은 13억 중국인들의 자존심을 상하게 만들었고 그로 인한 반한감정에서 이제는 극단적 누리꾼들에 의해 날조된 기사와 뉴스들이 중국인들로 하여금 혐한감정으로 까지 이어지게 만들었다. (예: 중국에서 한류붐이 거세게 일면서 중국 젊은이들의 한국 동경이 걷잡을 데 없이 이르자 중국 정부에서 한국문화를 타도하려고 한국을 그 타겟으로 삼은 것)
*극복대안
1. 정기 스포츠 교류 통해 양 국민 감정 풀어야”
최근 중국인들 사이에 불고 있는 반한(反韓), 혐한(嫌韓) 감정을 완화시키는 방편으로 한국과 중국, 양국 간 정기적인 스포츠교류가 필요하다는 지적. 24일 폐막된 2008베이징올림픽에서 종합 1위와 7위를 각각 차지하며 명실상부한 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한 양국이 정기적인 스포츠 교류 성사시 상호간 선진 기술 습득과 이로 인한 경기력 향상도 기대.
남북한 체육 전문가 톈이린(田以麟, 59) 베이징체육대 교수와 미국 유학파로 세계 스포츠외교 분야에 해박한 김대진 전북대 체육학과 교수(53)는 26일 오전 베이징체대에서 만나 최근 어색한 관계로 발전한 양국 간 문제를 스포츠 외교를 통해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02253403&
2. 중국에서 공장장이 자기보다 열 살 많은 중국인 노동자에게 ‘대가리가없냐 머리 써라!’라고 짜증냈을 때 그 중국인은 고기집엘 가도 돼지머리 소머리라고 하는데 자신에게는 대가리라고 하는게 한국인이라며 속상했고 미수다의 은동령은 ‘은동령씨 안씻었죠?’라는 질문을 수도없이 들었다고 한다. 입장바꿔 생각한다면 기분이 어떨까. 이밖에도 중국인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생각이 어떠한지는 누구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다. 이러한 우리의 편견과 선입견들이 중국인들로 하여금 혐한주의를 조장하는데 일조한 것 만큼 이제는 중국에 대한 좋지 못한 과거의 생각들을 벗어버리고 세계화 시대에 크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을 동반자로써 바로보며 우리 경제에 실제적으로 실리를 제공하는 중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반드시 지켜 나가야 겠다.
http://blog.naver.com/ks1131?Redirect=Log&logNo=150034666311
3. 양국간 열등의식과 우월의식을 버리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열등감과 우월감은 반드시 비교 의식에서 온다. 각국의 고유한 문화와 그 긍지는 세상 어떤 것과 비교 할 수 없는 독립적인 고귀한 것이다. 그와 동시에 자신의 것을 소중히 여기면서도 타인의 좋은 점을 인정 해 줄 수 있는 자세가 지금의 중국과 한국에게 절실히 필요하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2.01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