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문이재도란
3. 대중가요와 인스턴트 음악
4. 명곡과 후크송의 가사비교 (문이재도론에 의해)
5. 결론
2. 문이재도란
3. 대중가요와 인스턴트 음악
4. 명곡과 후크송의 가사비교 (문이재도론에 의해)
5. 결론
본문내용
말 먼저 꺼내 우는 너
기다리는건 난 더 할 수 있는데 나의 가슴을 온통 베일 말만 해도 여전히
왜 넌 끝내 안된다 해 나는 널 원해
떠나지마 떠나려 하지마 떠나지마 내곁에 있어줘
내곁에 남아서 날 잊어도 좋아 날 위한 웃음도 더 원치 않을께
담아 논 추억으로 널 바라볼께 미안해 헤어져도 아플거라면
눈물도 사랑이 준 선물이니까 사랑하면서 아플 삶이 더 나아
이 노래 또한 인간의 보편적 감정인 사랑을 얘기 하고 있다. 사랑에 대한 노래는 수없이 많지만 이 곡은 이별을 한 사람의 슬픔을 진실되게 표현하여 청자가 공감할 수 있게 해주는 곡이다. 청자는 노래를 들으며 자신의 상황을 떠올리게 되고 더 쉽게 감정이입을 할 수 있게 된다. Miley Cyrus의 The Climb과 김범수의 떠나지마 두곡은 화자의 감정을 느낀바 그대로 표현하여 청자들의 공감을 얻게 한다. 더불어 현대인들의 고민이나 관심거리 즉, 시대성을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좋은 노래는 세대가 없이 공감할 수 있고 소통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번 들었을 때 그 진정한 의미가 살아날 수 있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 현대인들에게 도는 예학이니 하는 것이 아닐뿐더러 작품에 표현했을 경우 거의 공감을 얻기 힘들 것이다. 시대성을 반영하고 자신의 경험으로 일어 정서를 반영하는 것, 청자들의 감정을 순화, 치유하는 것이라면 도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인간과 문학은 뗄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예부터 인간의 삶에서 문학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현대에도 상당히 크다. 변한 것이 있다면 전과는 달리 재미와 휴식을 더 추구하게 되었다. 특히, 현대인의 소비행태와 문화생활 패턴을 보았을 때 대중가요는 우리에게 정말 익숙하고 생활에 밀접되어 있다. 길거리를 걷다가도 음악에 자주 노출되고 mp3정도는 대부분의 현대인들의 일상생활이 되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중가요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력은 적지 않다. 모든 문학이 그렇듯 노래가사도 그 시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사회문화를 반영한다.
하지만 요즘 가요가 하나의 상품이 되어 버리고 그에 따라 노래 가사도 자극적인 것에만 몰두하는 것이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소비자나 제작자나 빨리 쓰고 버리는데 익숙해지고 있다는 사실이 아쉽기만 하다. 가사에 ‘도’를 담지 않는다면 그것은 한번 읽으면 뜻이 사라지는 곡이 될 것이고 현대인들의 ‘도’를 싣는다면 그 곡은 오래 기억되는 명곡이 될 것이다.
기다리는건 난 더 할 수 있는데 나의 가슴을 온통 베일 말만 해도 여전히
왜 넌 끝내 안된다 해 나는 널 원해
떠나지마 떠나려 하지마 떠나지마 내곁에 있어줘
내곁에 남아서 날 잊어도 좋아 날 위한 웃음도 더 원치 않을께
담아 논 추억으로 널 바라볼께 미안해 헤어져도 아플거라면
눈물도 사랑이 준 선물이니까 사랑하면서 아플 삶이 더 나아
이 노래 또한 인간의 보편적 감정인 사랑을 얘기 하고 있다. 사랑에 대한 노래는 수없이 많지만 이 곡은 이별을 한 사람의 슬픔을 진실되게 표현하여 청자가 공감할 수 있게 해주는 곡이다. 청자는 노래를 들으며 자신의 상황을 떠올리게 되고 더 쉽게 감정이입을 할 수 있게 된다. Miley Cyrus의 The Climb과 김범수의 떠나지마 두곡은 화자의 감정을 느낀바 그대로 표현하여 청자들의 공감을 얻게 한다. 더불어 현대인들의 고민이나 관심거리 즉, 시대성을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좋은 노래는 세대가 없이 공감할 수 있고 소통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번 들었을 때 그 진정한 의미가 살아날 수 있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 현대인들에게 도는 예학이니 하는 것이 아닐뿐더러 작품에 표현했을 경우 거의 공감을 얻기 힘들 것이다. 시대성을 반영하고 자신의 경험으로 일어 정서를 반영하는 것, 청자들의 감정을 순화, 치유하는 것이라면 도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인간과 문학은 뗄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예부터 인간의 삶에서 문학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현대에도 상당히 크다. 변한 것이 있다면 전과는 달리 재미와 휴식을 더 추구하게 되었다. 특히, 현대인의 소비행태와 문화생활 패턴을 보았을 때 대중가요는 우리에게 정말 익숙하고 생활에 밀접되어 있다. 길거리를 걷다가도 음악에 자주 노출되고 mp3정도는 대부분의 현대인들의 일상생활이 되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중가요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력은 적지 않다. 모든 문학이 그렇듯 노래가사도 그 시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사회문화를 반영한다.
하지만 요즘 가요가 하나의 상품이 되어 버리고 그에 따라 노래 가사도 자극적인 것에만 몰두하는 것이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소비자나 제작자나 빨리 쓰고 버리는데 익숙해지고 있다는 사실이 아쉽기만 하다. 가사에 ‘도’를 담지 않는다면 그것은 한번 읽으면 뜻이 사라지는 곡이 될 것이고 현대인들의 ‘도’를 싣는다면 그 곡은 오래 기억되는 명곡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