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와 SNS 의 결합을 통한 상품 판매전략 및 발전모델 조사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현황분석

3. 새로운 유통구조로의 변화

4. 결론

본문내용

스 이므로 이 프로그램을 셋탑박스에 저장하여 시청자들이 정보 유실들을 염려할 필요가 없고 Amazon 계정을 이용해서 거래하기 때문에 안정성과 신속성을 갖출 수 있다 아울러 프로그램 뒤에 나오는 광고의 제품도 직접 구매할 수 있으며 DVR 서비스 녹화기능으로 물건 구매 후에도 자연스럽게 이전으로 돌아가 채널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사업 모델은 몇 가지 측면에서 유의미하다 첫째, DVR 셋톱박스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며 광고주를 T-Commerce 장으로 끌어냄으로써 고객이 구매할 수 있는 제품 접점이 매우 넓어질 수 있다. 두 번째는 광고 상품을 광고 시청 동시에 구매할 수 있어 TV 매체의 광고 신뢰도를 높여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Amazon등 e-Commerce 회사는 결제와 운영 대행을 맡는 것이고 제품은 광고주가 Virtual로 제공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성립되어 사업 모델이 매우 진일보 한 경우이다.
TV 프로그램 시청 도중 출연배우 관련 상품이나 홍보 물품등의 판매도 T-Commerce에는 단골 메뉴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를 교조적으로만 사업화하려한 나머지 규제의 벽을 넘지 못했다. 아울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채널 사업자 (PP,지상파등)들은 자신들의 컨텐츠로 파생되는 제품에 대한 통제력을 놓지 않으려는 나머지 특정 채널사업자와 제휴한 홈쇼핑 사업자만이 물건을 판매하는 폐쇄성을 가져와 사업의 확산에 실패하였다.
이러한 독립적인 T-Commerce 사업 모델은 컨텐츠 시청 도중 즉시적으로 발생하는 유저의 구매욕이 T-Commerce를 키우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또한 TV 채널이 상품 진열장이 되고 일명 <쇼핑 도우미>라는 agent 가 유저에게 쇼핑회사를 알선해주는 모델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월화드라마에 출연자가 입고 나오는 옷이 G마켓에는 판매되는 GS숍에는 없을 수도 있는데, 쇼핑도우미가 즉시 파는 곳을 연결해준다면 유저는 TV에서도 즉시 구매를 한다는 것이다. 즉, 쇼핑 플랫폼으로 개방성을 더욱 갖추고 TV플랫폼의 개방성을 높여 중개 역할을 강화한다면 어떤 쇼핑 사업자라도 TV에 연결하여 본체 사업의 부가유통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IPTV 등장으로 T-Commerce 사업의 문호가 이전보다 훨씬 개방되었다. 인터넷의 e-Commerce 회사들도 TV에 진출을 고려할 것이다. 채널에만 몰두한 나머지 기존 홈쇼핑 사업자의 파이를 뺏어가는 사업적 오류는 범하지 말아야한다. TV컨텐츠와 TV속성에 출발한 쇼핑 사업 모델을 펼쳐나가면서 다양한 사업자들의 협력적 경쟁이 필요하다.
T-Commerce는 이제 막 진보를 향해 출항하였다. 일부 사업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Commerce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발전하기 위한 관심과 고민이 필요한 때이다
3. IPTV와 SNS 접목한 T-Commerce
⑴. 소셜미디어 연동형 소셜커머스. + IPTV
가장 기본적인 소셜커머스의 방법인 소셜미디어 연동형 소셜커머스를 IPTV와 융합시키는 방법으로 모든 상거래에 대한 상세한 상품정보를 IPTV를 통해 보다 쉽게 접근가능하다. 기존의 소셜미디어 연동형 소셜커머스는 첨단 IT기기에 접근이 쉬운 젊은 연령층에 제한되어 있어 상품구색이나 수요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으나 가족매체인 TV를 이용하는 IPTV를 통해 보다 넓은 연령층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상품구색 또한 보다 다양해져 소셜커머스의 양적 질적 확대를 가져올 것이다.
⑵.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 + IPTV
현재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 산업의 규모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 400여개가 넘는 소셜커머스 업체가 경쟁하고 있고, 여러 기업들이 나타나고 사라지고 있다. 이렇게 심한 경쟁 상황에서 IPTV는 치명적인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다. 현재 IPTV의 가입자 수는 350만명을 넘어서고 있고, 앞으로도 꾸준한 증가세를 기대하고 있다. 만약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와 IPTV가 결합한다면, 소셜커머스 업체에게는 수많은 IPTV의 가입자들을 상대로하는 안정적인 마케팅 경로를 얻게 되고, 소비자측면에서는 신뢰감 있는 업체를 선정하는데 보다 용이하고, 공동구매를 위한 인원을 모으는데 보다 쉬워진다.
⑶ 직접판매형 소셜커머스 + IPTV
IPTV내에서 소셜미디어의 이용자들이 직접 자신의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판매자는 소셜미디어상의 친구들뿐만 아니라 IPTV이용자들도 구매할 수 있어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구매자 또한 IPTV의 요금시스템을 통한 결제의 편의성과 유통마진이 없어 경제성을 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소셜미디어상의 친구가 판매하는 것이기에 믿고 구매할 수 있다.
Ⅳ. 결론
2009년 6월 정부는 첨단융합, 녹색기술, 고부가서비스 산업의 3대분야 17개 신성장 동력 육성을 위해 향후 5년간 24조 5000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는 현 정부 출범이후 최대의 재정투자액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방송통신 융합, IT융합시스템, 로봇, 신소재 등이 망라된 첨단 융합 신성장 동력에 전체 50%인 12조 2000억원을 쏟아부을 예정이라는 말이 증명하듯 이제는 많은 기술들이 유기적으로 융합되는 시대가 이미 도래했음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현재 서비스 중인 IPTV는 기본 방송서비스, MMoD, 기본적인 양방향 TV서비스 만이 제공되고 있으며 현존하는 통신기술과 방송기술의 결합의 통해 기존 방송서비스를 IP기반으로 신속하게 제공하는 수준에만 머무르고 있다. 처음 IPTV가 시작할때의 부풀었던 꿈은 정부의 규제와 기존 케이블TV들의 단합과 불법 컨테츠 유통으로 성장이 제자리만 맴돌고 있으면 인터넷에 이은 새로운 유통채널로써 주목받던 T-COMMERCE 역시 제자리 걸음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IPTV와 SNS을 결합을 통한 상품 판매형 T-Commerce 발전 모델을 새로운 유통 채널로 생각해보았다. IPTV와 SNS를 접목한 T-Commerce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⑴. 소셜미디어 연동형 소셜커머스. + IPTV, ⑵.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 + IPTV, ⑶ 직접판매형 소셜커머스 + IPTV의 발생을 제시하는 바이다.

키워드

iptv,   sns,   판매전략,   발전,   모델
  • 가격2,2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08.02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3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