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공 문화예술회관의 운영형태.
2. 문화예술회관 5개의 운영형태에 대한 비교.
2. 문화예술회관 5개의 운영형태에 대한 비교.
본문내용
부서는 예산, 서무, 시설물관리, 각종 시설물 전기관리를 하고 있고, 운영부서는 공연기획 및 섭외, 공연물 홍보, 문화회관 및 체육시설물대관, 무대, 음향, 조명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3)창원 성산아트홀
2000년 2월 10일 창원시설관리공단이 창립되고 3월 22일 성산아트홀 운영 조례가 제정되면서 창원시설관리공단이 관리를 담당하여 운영되었다. 성산아트홀의 운영조직은 공단형의 장점을 살려서 공공성과 기업성을 잘 조화시키고 있으며, 조직의 운영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1관장 1부(문예부), 3팀(문예기획팀, 관리업무팀, 무대운영팀) 4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가 2008년 2월 26일 창원문화재단이 출범하면서 관리 주체가 창원문화재단으로 이관되었다.
4)국립 중앙극장
문화관광부 산하의 국립중앙극장은 2000년도에 책임운영기관으로서 전환하여 계약직인 극장장을 중심으로 행정지원과와 공연운영과, 무대예술과로서 조직되어 있다. 행정지원과에는 서무팀, 시설관리팀, 경리팀으로 주요업무는 보안 및 관인관수, 문서수발, 통제, 발간 및 보존과 소속공무원 임용, 급여 기타 인사 및 복리후생에 관한 사항, 조직운영에 관한 기본운영 규정 제정 및 개정에 관한 사항, 사업운영 계획등과 예산, 회계관련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 공연과는 운영팀, 공연기획팀, 홍보팀, 고객지원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연의 제작 및 실시, 중장기 공연사업의 시행, 전속단체운영, 단원의 인사, 복무, 공연홍보, 마케팅, 공연기록물 및 자료제작, 대관등 공연장 운영에 관한 사항을 맡고 있다. 무대예술과는 기술팀으로 무대미술장치, 의상소품 제작 및 운용, 관리, 무대장치와 무대감독, 공연장 시설조작 및 유지관리, 무대기술지원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고 있다.
5)정동극장
정동극장은 1992년 연극계의 원로 중진인사와 건축관계자들로 구성된 설립자문위원회의 발족으로 설립되었다. 2010년 2극장장 책임 운영제로 직제 개정을 하였고, 이사회의 도움으로, 명동예술극장과 책임 운영제를 하고 있다. 정동극장 극장장이있고, 경영관리팀, 공연기획팀, 무대예술팀으로 구성되어있다. 201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정부보조금등 수입은 6,916,000,000원이고, 지출도 동일한 금액이라 개인적으로 보기에 수입을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문화예술기관의 경제력의 단점을 보여주고 있는 듯 하다. 한명의 극장장과 1급~7급까지의 급수별 직원들이 있고, 총 23명이 근무하고 있다.
3)창원 성산아트홀
2000년 2월 10일 창원시설관리공단이 창립되고 3월 22일 성산아트홀 운영 조례가 제정되면서 창원시설관리공단이 관리를 담당하여 운영되었다. 성산아트홀의 운영조직은 공단형의 장점을 살려서 공공성과 기업성을 잘 조화시키고 있으며, 조직의 운영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1관장 1부(문예부), 3팀(문예기획팀, 관리업무팀, 무대운영팀) 4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가 2008년 2월 26일 창원문화재단이 출범하면서 관리 주체가 창원문화재단으로 이관되었다.
4)국립 중앙극장
문화관광부 산하의 국립중앙극장은 2000년도에 책임운영기관으로서 전환하여 계약직인 극장장을 중심으로 행정지원과와 공연운영과, 무대예술과로서 조직되어 있다. 행정지원과에는 서무팀, 시설관리팀, 경리팀으로 주요업무는 보안 및 관인관수, 문서수발, 통제, 발간 및 보존과 소속공무원 임용, 급여 기타 인사 및 복리후생에 관한 사항, 조직운영에 관한 기본운영 규정 제정 및 개정에 관한 사항, 사업운영 계획등과 예산, 회계관련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 공연과는 운영팀, 공연기획팀, 홍보팀, 고객지원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연의 제작 및 실시, 중장기 공연사업의 시행, 전속단체운영, 단원의 인사, 복무, 공연홍보, 마케팅, 공연기록물 및 자료제작, 대관등 공연장 운영에 관한 사항을 맡고 있다. 무대예술과는 기술팀으로 무대미술장치, 의상소품 제작 및 운용, 관리, 무대장치와 무대감독, 공연장 시설조작 및 유지관리, 무대기술지원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고 있다.
5)정동극장
정동극장은 1992년 연극계의 원로 중진인사와 건축관계자들로 구성된 설립자문위원회의 발족으로 설립되었다. 2010년 2극장장 책임 운영제로 직제 개정을 하였고, 이사회의 도움으로, 명동예술극장과 책임 운영제를 하고 있다. 정동극장 극장장이있고, 경영관리팀, 공연기획팀, 무대예술팀으로 구성되어있다. 201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정부보조금등 수입은 6,916,000,000원이고, 지출도 동일한 금액이라 개인적으로 보기에 수입을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문화예술기관의 경제력의 단점을 보여주고 있는 듯 하다. 한명의 극장장과 1급~7급까지의 급수별 직원들이 있고, 총 23명이 근무하고 있다.
추천자료
난타 마케팅전략 (마케팅분석 경영분석 연극 공연
프라하 관광명소
유아미술감상교육
[관광개발상품] 세계적인 문화 관광 대구로 오세요 ! - 빨주노초파남보 colorful 대구 !
[문화예술][문화예술정보시스템]문화예술의 중요성, 문화예술의 재정투자, 문화예술과 인터넷...
카페베네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
[건축환경설비]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방재
문화예술활동
<꿈을 그린 화가, 호안미로>특별전을 다녀와서. - 세종문화예술회관 [전시회 후기, 전시회 감...
도시정부의 문화서비스 - 대구문화예술회관 사례를 중심으로 -
태양에너지(태양열 태양광 설비) 실사례(벡스코 2전시장, 가야 다사랑복합문화예술회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