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보신문화의 역사와 특징 및 문제점과 해결방법 조사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국인의 보신문화의 역사


2. 한국인의 극성 보신문화


3.알고 먹는 보신식품


4.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동물과 밀렵


5. 한국의 보신문화가 나아가야 할길

본문내용

야말로 야생동물의 최빈국인 것이다. 문헌상으
한국의 멸종위기 생물 현황
로는 1만 8천 29종의 야생동물이 있다는 한국이 어쩌다 야생동물의 최빈국으로 전락했을까? 물론 무분별한 산림파괴도 있지만 환경부는 가장 큰 원인을 밀렵으로 보고 있습니다. 야생동물 밀거래 때문입니다.
구 분
지 정 현 황
포유류(10종)
붉은박쥐
늑대
여우
표범
호랑이
수달(천연기념물 제330호)
바다사자
반달가슴곰(천연기념물 제329호)
사향노루(천연기념물 제216호)
산양(천연기념물 제217호)
조류(13종)
노랑부리백로(천연기념물 제361호)
황새(천연기념물 제199호)
노랑부리저어새(천연기념물 제205호)
저어새(천연기념물 205호)
흑고니(천연기념물 제201호)
흰꼬리수리(천연기념물 제243호)
참수리(천연기념물 제243호)
검독수리(천연기념물 제243호)
매(천연기념물 제323호)
두루미(천연기념물 제202호)
넓적부리도요
청다리도요사촌
크낙새(천연기념물 제197호)
양서파충류(1종)
구렁이
어류(5종)
감돌고기
흰수마자
미호종개
꼬치동자개
퉁사리
밀렵적발 건수도 1997년에는 192건, 1998년 194건, 1999년 407건 그리고 지난해는 766건으로 4년 전보다 거의 4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단속을 피해 밀렵한 동물이 얼마나 되는지는 아무도 알지 못합니다. 밀렵을 하는 사람들은 극소수의 사냥꾼들이 아니라 서식지 부근의 동네 주민들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아무런 죄책감 없이 환경에 대한 보호의식 없이 심심찮게 들어오는 돈 재미에 야생동물의 씨를 말리고 있는 것입니다. 밀렵꾼들은 몸에 좋다고 하면 멧돼지, 산토끼, 고라니, 꿩 등 일반 야생동물뿐 아니라 천연기념물도 닥치는 대로 잡아들이니 산천에 남아 있는 야생 동물들이 없는 것입니다. 이렇게 잡은 야생동물들은 인간의 ‘보신’을 위해 거래가 되고 그 규모는 연간 3천억원정도로 추정됩니다. 가격도 천차만별이어서 희귀 동물인 경우 부르는 것이 값입니다. 보통 살아 있는 사향노루가 5백만 원에 서 3천만 원 이상, 산양이 3백만원 이상, 노루, 오소리, 독수리는 1백만원이상입니다. 반달가슴곰은 1억에서 3억, 저어새는 1천만원 이상의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거래된 야생 동물들은 모두 사람들의 보신을 위해서 사람들에게 먹혀 지고, 이런 식으로 계속 나아가다 보면 산에 가면 볼수 있었던 야생동물들은 우리의 자손들 세대에는 아마도 TV나 그림책 등과 같은 곳에서만 볼수 있게 될지도 모릅니다.
5. 한국의 보신문화가 나아가야 할길
자신의 몸이 건강해야 자신이나 가족구성원 모두 각자의 행복을 찾을수 있으므로 한국의 보신문화는 계속이어져야 합니다. 그러나 굳이 희귀 야생동물을 먹어야만 몸에 좋은 것은 아닙니다. 굳이 희귀동물이 아니더라도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들은 많이 있습니다. 의학적으로 보더라도 희귀동물을 먹어야만 건강이 유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건강은 음식, 이외에도 휴식이나 운동, 스트레스 해소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항상 일에 쫓기고 뭔가 피곤한 듯한 표정을 짓는 한국의 중년 남성들. 그들의 일부는 피로와 스트레스의 탈출구로 이른바 보약이 되는 희귀동물을 찾습니다. 그러나 이 땅의 야생동물들은 불확실한 그 약효 때문에 더 이상 우리와 더불어 살아가기 힘겨워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횡포로 함께 살아오던 자연계의 이웃들이 모두 사라진다면 인류도 생존 그 자체를 위협받게 될 것이다. 진정으로 건강을 생각한다면 씨가 마르도록 야생동물을 잡기 이
전에 규칙적인 운동을 하거나 최소한 아침밥을 거르지 않는 작은 일부터 시작하는 것이 어떨까요.

키워드

보신,   한국,   보신문화,   역사,   특징,   보신탕,   문제점,   해결방안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1.05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3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