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스템 이론 System Theory
2. 공동 지향 이론 Co-Orientation Theory
3.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
4.인지적 전략 이론 Cognitive Strategies
5.인지균형 이론 Cognitive Consistency Theory
6.홍보의 4모델 이론 Model of PR
7.우수 이론 Excellence Theory
8. 상황 이론 Contingency Theory
9. 게임 이론 Game Theory
10. 갈등해소 이론 Conflict Resolution Theory
11. 2단계 유통 모델 이론 Two-step Flow Model Theory
12. 의제설정 이론 Agenda Setting Theory
13.침묵의 나선 이론 Spiral of Silence Theory
14. 제 3자 효과 이론 The Third Person Effect Theory
15. 스키마 이론 Schema Theory
16. 프레이밍 이론 Theory of Framing
17. 이용과 충족 이론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18. 문화 이론 Culture Studies
2. 공동 지향 이론 Co-Orientation Theory
3.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
4.인지적 전략 이론 Cognitive Strategies
5.인지균형 이론 Cognitive Consistency Theory
6.홍보의 4모델 이론 Model of PR
7.우수 이론 Excellence Theory
8. 상황 이론 Contingency Theory
9. 게임 이론 Game Theory
10. 갈등해소 이론 Conflict Resolution Theory
11. 2단계 유통 모델 이론 Two-step Flow Model Theory
12. 의제설정 이론 Agenda Setting Theory
13.침묵의 나선 이론 Spiral of Silence Theory
14. 제 3자 효과 이론 The Third Person Effect Theory
15. 스키마 이론 Schema Theory
16. 프레이밍 이론 Theory of Framing
17. 이용과 충족 이론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18. 문화 이론 Culture Studies
본문내용
기 때문에 홍보의 방향이나 메시지를 바꿀 수 있다.
15. 스키마 이론 Schema Theory
스키마 이론이란 어떤 분야에 대해 사람들의 사전지식과 경험이 ‘스키마’라고 하는 구조화된 지식 형태로 조직화되면서, 이것이 새로운 정보를 인식, 검색, 기억, 추론, 결정하는 데 모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여기서 스키마란 어떤 대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통합되어 있는 하나의 지도 혹은 도식이나 ‘이미지 체계’로서 새로운 정보에 대해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추론이나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인지적 틀이 말한다. 따라서 스키마는 사람이나 물건, 자기 자신, 역할, 사건등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한 정보가 공중들의 ‘스키마’를 통과하면서 주관적으로 의미가 부여되므로 상황에 따라 다른 판단이 될 수도 있다.
16. 프레이밍 이론 Theory of Framing
프레임이란 어떤 형상이나 사물에 대한 ‘시각적 틀’을 의미하는데 “현실에 대한 인식, 해석, 선택, 강조, 배제와 관련된 지속적인 패턴”으로 정의된다. 언론매체가 어떤 사회 현안이나 이슈를 보도하면서 독자적인 관점을 구축하는 현상을 모델화 혹은 이론화한 것이다.
프레이밍 이론은 대체로 텍스트적, 심리학적, 사회학 및 정치학적 구조로 도입되어왔으며,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행동의 이해와 이를 연구하기 위한 패러다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것은 결국 광고나 홍보에서 어떤 현상을 파악하거나 식별하는 ‘시각적 틀’이나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는 ‘콘셉트’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17. 이용과 충족 이론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공중들은 단순히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수동적이고 피도적인 존재가 아니라 미디어를 통해 사회적, 심리적 욕구를 충족하려는 적극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존재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렇듯 이용과 충족 이론의 유용성은 인터넷 미디어의 등장으로 더욱 커지고 있다.
이용과 충족 연구에서 이용, 충족, 이용 동기, 능동적 수용자 같은 개념은 이용과 충족 이론의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수용자들의 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연구에서 가장 유용한 이론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이용과 충족 이론은 매개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심리적, 행위적 특성을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한 관점이다.
18. 문화 이론 Culture Studies
문화 이론은 하나의 독립된 이론이라기보다는 사회에서 생산괸 담론이나 신화, 상징, 텍스트 등을 계급, 권력, 압제 도구로 인식하고 텍스트에 의해 형성된 의미 창출과 가치 코드를 분석하는 하나의 비판학적인 유파라고 할 수 있다. 문화 이론의 기본 전제는 텍스트나 상징 등에 의해 형성된 문화가 어떻게 지배력과 권력을 행사하고 그 문화의 구성원이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지배하는지 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징, 기호, 담론, 텍스트, 문화, 표상, 헤세모니 같은 개념을 이해해야 되는데, 문화 이론의 목적은 담론, 기호, 상징에 숨은 의미를 파악하고 힘을 손에 쥔 기존 세력의 이데올로기를 알아내는 데 있기 때문이다.
15. 스키마 이론 Schema Theory
스키마 이론이란 어떤 분야에 대해 사람들의 사전지식과 경험이 ‘스키마’라고 하는 구조화된 지식 형태로 조직화되면서, 이것이 새로운 정보를 인식, 검색, 기억, 추론, 결정하는 데 모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여기서 스키마란 어떤 대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통합되어 있는 하나의 지도 혹은 도식이나 ‘이미지 체계’로서 새로운 정보에 대해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추론이나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인지적 틀이 말한다. 따라서 스키마는 사람이나 물건, 자기 자신, 역할, 사건등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한 정보가 공중들의 ‘스키마’를 통과하면서 주관적으로 의미가 부여되므로 상황에 따라 다른 판단이 될 수도 있다.
16. 프레이밍 이론 Theory of Framing
프레임이란 어떤 형상이나 사물에 대한 ‘시각적 틀’을 의미하는데 “현실에 대한 인식, 해석, 선택, 강조, 배제와 관련된 지속적인 패턴”으로 정의된다. 언론매체가 어떤 사회 현안이나 이슈를 보도하면서 독자적인 관점을 구축하는 현상을 모델화 혹은 이론화한 것이다.
프레이밍 이론은 대체로 텍스트적, 심리학적, 사회학 및 정치학적 구조로 도입되어왔으며,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행동의 이해와 이를 연구하기 위한 패러다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것은 결국 광고나 홍보에서 어떤 현상을 파악하거나 식별하는 ‘시각적 틀’이나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는 ‘콘셉트’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17. 이용과 충족 이론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공중들은 단순히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수동적이고 피도적인 존재가 아니라 미디어를 통해 사회적, 심리적 욕구를 충족하려는 적극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존재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렇듯 이용과 충족 이론의 유용성은 인터넷 미디어의 등장으로 더욱 커지고 있다.
이용과 충족 연구에서 이용, 충족, 이용 동기, 능동적 수용자 같은 개념은 이용과 충족 이론의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수용자들의 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연구에서 가장 유용한 이론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이용과 충족 이론은 매개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심리적, 행위적 특성을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한 관점이다.
18. 문화 이론 Culture Studies
문화 이론은 하나의 독립된 이론이라기보다는 사회에서 생산괸 담론이나 신화, 상징, 텍스트 등을 계급, 권력, 압제 도구로 인식하고 텍스트에 의해 형성된 의미 창출과 가치 코드를 분석하는 하나의 비판학적인 유파라고 할 수 있다. 문화 이론의 기본 전제는 텍스트나 상징 등에 의해 형성된 문화가 어떻게 지배력과 권력을 행사하고 그 문화의 구성원이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지배하는지 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징, 기호, 담론, 텍스트, 문화, 표상, 헤세모니 같은 개념을 이해해야 되는데, 문화 이론의 목적은 담론, 기호, 상징에 숨은 의미를 파악하고 힘을 손에 쥔 기존 세력의 이데올로기를 알아내는 데 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자동차극장 설문관련 조사방법론
KTF SHOW 마케팅분석
스타벅스 기업조사분석,스타벅스,기업조사분석,
[기업사례분석]대우일렉트로닉스 마케팅전략
마케팅의 정의 및 특징과 표적마케팅 조사분석
LG 텔레콤, LG U+ 마케팅 성공사례, 성공요인, 성공전략, 경영전략, SWOT분석, 4P전략, STP전...
스타벅스 마케팅, 성공사례, 요인, 시장환경 분석, 경영전략, 변화, STP전략, 마케팅 믹스, ...
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 마케팅, 성공사례, 요인, 시장환경 분석, 경영전략, 변화, STP전략, ...
서울 도시 브랜드 마케팅 성공사례, 성공요인, 전략, 경영전략, 마케팅 전략, 변화, 특징, 현...
코오롱 스포츠 성공사례, 마케팅 성공요인, 성공전략, 경영전략, 마케팅 전략, 변화, 특징, ...
<페이스북 비즈니스>를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나의소감, 나의견해 조사분석
아디다스 마케팅 SWOT,STP전략 분석및 나의견해
[토니모리(TONYMOLY) 마케팅전략]서론/화장품시장분석/화장품 산업분석/자사분석/경쟁사분석/...
아웃백 Brand Marketing Strategy 성공요인분석, 마케팅 4P STP SWOT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