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면서 1p
2. ‘최후의 만찬’에 대하여 2p
3. 작품별 분석 3~6p
①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
② 틴토레토의 ‘최후의 만찬’
③ 살바도르 달리의 ‘최후의 만찬’
4. 작품별 비교 6p
5. 그 밖의 다른 작품들 6~8p
6. 마 무 리 9p
7. 참고자료 9p
2. ‘최후의 만찬’에 대하여 2p
3. 작품별 분석 3~6p
①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
② 틴토레토의 ‘최후의 만찬’
③ 살바도르 달리의 ‘최후의 만찬’
4. 작품별 비교 6p
5. 그 밖의 다른 작품들 6~8p
6. 마 무 리 9p
7. 참고자료 9p
본문내용
당 소장
두 번째로 감상할 작품은 베네치아파의 대표 화가인 틴토레토의 ‘최후의 만찬’이다. 대각선으로 놓인 식탁에 예수와 열 두 제자들이 앉아있고, 그 주변으로 시중드는 사람들이 다소 혼잡하게 묘사된 것이 특징이며, 이 때문에 다 빈치의 작품과 극단적인 대조를 이루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머리 뒤로 비치는 후광을 통해 중앙에 있는 인물의 힘, 위엄 등을 느낄 수 있고, 그가 곧 예수임을 알 수 있게 되는데, 그림 전체를 압도하는 복잡함 때문에 알아보는데 약간의 혼란스러움이 느껴진다. 열 두 제자를 포함한 나머지 사람들은 역광 처리를 하여 표정들이 어둡고, 알아보기 힘들다. 이를 통해 틴토레토는 세세한 인물의 표정이나 역할 보다 빛을 통한 화면 효과를 강조하고자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실제로 그는 빛과 색채의 극적인 효과, 왜곡된 공간표현 등의 기법으로 16세기 후반의 마니에리스모(manierismo) : 르네상스양식에서 바로크양식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유행한 특정의 미술양식을 지칭하며, 이 양식은 전 유럽에서 다양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르네상스 미술 운동에 주도적 역할을 해온 이탈리아에서 특히 전형적으로 행해졌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마니에리스모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만년에 들어서 틴토레토가 그린 이 작품은 산 조르지오 마조레 성당에 소장 되어있고, 동일 주제의 다 빈치의 작품과 극명하게 대비되는 ‘최후의 만찬’으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③ 살바도르 달리의 ‘최후의 만찬’
- Salvador Dali / 1955 / 워싱턴 내셔널 갤러리 소장
마지막으로 감상할 작품은 에스파냐의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가 그린 <최후의 성찬식>이다. 이 작품 또한 앞서 본 작품들과는 달리, 독특한 상황묘사와 표현기법이 돋보인다. 비교적 최근에 그려진 작품이자, 현실주의적 감각을 가진 화가가 ‘최후의 만찬’이라는 주제를 현대적으로 변형시킨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인물의 배치는 다 빈치의 작품과 비슷하게, 중앙에 예수를 그리고 그의 양 옆으로 열 두 제자를 그렸다. 하지만 다 빈치의 작품에서와는 달리, 신성하고 신비스러운 느낌이 짙고, 엄숙한 종교의식의 분위기가 강하게 느껴진다. 안정적인 구도 또한 그런 느낌을 더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 같다.
이 작품은 당시 관람객들에게 ‘파격’으로 다가왔고, 그 반응은 엄청났다고 한다. 워싱턴 내셔널 갤러리에 이 그림이 기증되었을 때, 인상주의 화가 프랑스의 화가이며, 인상파 그룹의 한 사람으로서 빛나는 색채표현을 전개했다. 담백한 색조로 선과 포름을 명확하게 그려 화면구성에 깊은 의미를 쏟은 고전적인 경향을 띤 작품들을 그렸다. 이후 인상파에서 이탈해 독자적인 풍부한 색채표현을 되찾아 원색대비에 의한 원숙한 작풍을 확립했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르누아르의 그림이 있던 자리를 이 그림이 대체했다는 일화가 전해질 정도이다. 하지만 그만큼 논란 또한 많았다고 한다. 월간미술, 네이버 미술작품정보 참고
작가가 의도한 파격적 변형에 대해, 신학자 틸리히는 타임지에 이 그림을 두고 ‘피상적이며 감상적으로만 아름다울 뿐’이라며 폄하했고, 싸구려 예술을 뜻하는 ‘키치’라는 말로 이 그림에 대한 개탄을 표하면서, 기독교의 본질을 제거한 작품이라고 비판했다고 한다.
4. 작품별 비교
앞에서 감상했던 세 작품을 바탕으로, 각 작품의 특징들을 표를 통해 비교해보자.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작作
틴토레토 作
살바도르 달리 作
제작연도
1495~1497
1592~1594
1955
종류
회벽에 유채와 템페라
캔버스에 유채
캔버스에 유채
크기
460X880cm
365X568cm
166.7X267cm
소장
산타마리아 델라 그라치에 성당
산 조르지오 마조레 성당
워싱턴
내셔널 갤러리
특징
예수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의 인물 배치,
세세한 인물 묘사,
이전의 화가들의 방식과
달리 유다를 따로 두지 않고 열두 제자와 함께 배치,
일점투시법의 사용으로 가운데 있는 예수에게 시선 집중,
프레스코 대신 템페라 기법 사용
사선으로 인물 배치,
예수와 제자들 뿐 아니라 여러 사람들을 그림,
인물에 대한 세세한 표현보다 빛을 통한 화면 효과를 강조하고자 함-동적,
혼잡하고 어수선하며 어두침침한 분위기,
다 빈치作과 극명한 대조를 이룸 : 부드러운 빛, 조화와 균형vs극적인 빛과 구도, 불안감
주제를 현대적으로 변형·표현한 作,
다른 작품들보다
신비주의적 분위기가 돋보임,
다 빈치作과 비슷한 구조에 안정되고 탄탄한 구도,
대중의 열광적 반응과 함께 논란의 중심이 되기도 함
5. 그 밖의 다른 작품들
‘최후의 만찬’을 주제로 한 또 다른 작품들을 간단하게 알아보자.
← 니콜라 푸생의 최후의 만찬
: 1644~1648,
스코틀랜드 국립 미술관
← 자코포 바사노의 최후의 만찬
: 1542, 보르게세 미술관
← 카라바조의 엠마오의 만찬
: 1601, 런던 내셔널 갤러리
← 알베르토의 최후의 만찬
: 16세기경, 릴 미술관
← 다니엘 크레스피의 최후의 만찬
: 1624~1625,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6. 마 무 리
이상, ‘최후의 만찬’이라는 동일 주제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된 여러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꽤 많은 작품들이 있어 적잖이 놀랐다. 앞장에서 분석해 본 세 작품을 포함하여 많은 작품을 깊이 있게 분석해보고 싶었는데, 시간에 쫓겨 outline 정도로만 훑어본 기분이라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방학을 통해 다니엘 크리스피와 자코포 바사노의 ‘최후의 만찬’ 작품에 대해 좀 더 깊이 알아보고 싶고, ‘최후의 만찬’ 계보도 새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명화 수업을 통해 다 빈치 뿐만 아니라 여러 대가들의 다양한 ‘최후의 만찬’ 작품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또 그것에 대해 조사할 수 있는 뜻 깊은 시간을 얻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report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7. 참고자료
맛있는 그림-혀끝으로 읽는 미술 이야기, 미야시타 기쿠로, 바다 출판사, p.15~37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미술작품정보
네이버 이미지 자료
월간미술
두 번째로 감상할 작품은 베네치아파의 대표 화가인 틴토레토의 ‘최후의 만찬’이다. 대각선으로 놓인 식탁에 예수와 열 두 제자들이 앉아있고, 그 주변으로 시중드는 사람들이 다소 혼잡하게 묘사된 것이 특징이며, 이 때문에 다 빈치의 작품과 극단적인 대조를 이루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머리 뒤로 비치는 후광을 통해 중앙에 있는 인물의 힘, 위엄 등을 느낄 수 있고, 그가 곧 예수임을 알 수 있게 되는데, 그림 전체를 압도하는 복잡함 때문에 알아보는데 약간의 혼란스러움이 느껴진다. 열 두 제자를 포함한 나머지 사람들은 역광 처리를 하여 표정들이 어둡고, 알아보기 힘들다. 이를 통해 틴토레토는 세세한 인물의 표정이나 역할 보다 빛을 통한 화면 효과를 강조하고자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실제로 그는 빛과 색채의 극적인 효과, 왜곡된 공간표현 등의 기법으로 16세기 후반의 마니에리스모(manierismo) : 르네상스양식에서 바로크양식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유행한 특정의 미술양식을 지칭하며, 이 양식은 전 유럽에서 다양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르네상스 미술 운동에 주도적 역할을 해온 이탈리아에서 특히 전형적으로 행해졌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마니에리스모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만년에 들어서 틴토레토가 그린 이 작품은 산 조르지오 마조레 성당에 소장 되어있고, 동일 주제의 다 빈치의 작품과 극명하게 대비되는 ‘최후의 만찬’으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③ 살바도르 달리의 ‘최후의 만찬’
마지막으로 감상할 작품은 에스파냐의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가 그린 <최후의 성찬식>이다. 이 작품 또한 앞서 본 작품들과는 달리, 독특한 상황묘사와 표현기법이 돋보인다. 비교적 최근에 그려진 작품이자, 현실주의적 감각을 가진 화가가 ‘최후의 만찬’이라는 주제를 현대적으로 변형시킨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인물의 배치는 다 빈치의 작품과 비슷하게, 중앙에 예수를 그리고 그의 양 옆으로 열 두 제자를 그렸다. 하지만 다 빈치의 작품에서와는 달리, 신성하고 신비스러운 느낌이 짙고, 엄숙한 종교의식의 분위기가 강하게 느껴진다. 안정적인 구도 또한 그런 느낌을 더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 같다.
이 작품은 당시 관람객들에게 ‘파격’으로 다가왔고, 그 반응은 엄청났다고 한다. 워싱턴 내셔널 갤러리에 이 그림이 기증되었을 때, 인상주의 화가 프랑스의 화가이며, 인상파 그룹의 한 사람으로서 빛나는 색채표현을 전개했다. 담백한 색조로 선과 포름을 명확하게 그려 화면구성에 깊은 의미를 쏟은 고전적인 경향을 띤 작품들을 그렸다. 이후 인상파에서 이탈해 독자적인 풍부한 색채표현을 되찾아 원색대비에 의한 원숙한 작풍을 확립했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르누아르의 그림이 있던 자리를 이 그림이 대체했다는 일화가 전해질 정도이다. 하지만 그만큼 논란 또한 많았다고 한다. 월간미술, 네이버 미술작품정보 참고
작가가 의도한 파격적 변형에 대해, 신학자 틸리히는 타임지에 이 그림을 두고 ‘피상적이며 감상적으로만 아름다울 뿐’이라며 폄하했고, 싸구려 예술을 뜻하는 ‘키치’라는 말로 이 그림에 대한 개탄을 표하면서, 기독교의 본질을 제거한 작품이라고 비판했다고 한다.
4. 작품별 비교
앞에서 감상했던 세 작품을 바탕으로, 각 작품의 특징들을 표를 통해 비교해보자.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작作
틴토레토 作
살바도르 달리 作
제작연도
1495~1497
1592~1594
1955
종류
회벽에 유채와 템페라
캔버스에 유채
캔버스에 유채
크기
460X880cm
365X568cm
166.7X267cm
소장
산타마리아 델라 그라치에 성당
산 조르지오 마조레 성당
워싱턴
내셔널 갤러리
특징
예수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의 인물 배치,
세세한 인물 묘사,
이전의 화가들의 방식과
달리 유다를 따로 두지 않고 열두 제자와 함께 배치,
일점투시법의 사용으로 가운데 있는 예수에게 시선 집중,
프레스코 대신 템페라 기법 사용
사선으로 인물 배치,
예수와 제자들 뿐 아니라 여러 사람들을 그림,
인물에 대한 세세한 표현보다 빛을 통한 화면 효과를 강조하고자 함-동적,
혼잡하고 어수선하며 어두침침한 분위기,
다 빈치作과 극명한 대조를 이룸 : 부드러운 빛, 조화와 균형vs극적인 빛과 구도, 불안감
주제를 현대적으로 변형·표현한 作,
다른 작품들보다
신비주의적 분위기가 돋보임,
다 빈치作과 비슷한 구조에 안정되고 탄탄한 구도,
대중의 열광적 반응과 함께 논란의 중심이 되기도 함
5. 그 밖의 다른 작품들
‘최후의 만찬’을 주제로 한 또 다른 작품들을 간단하게 알아보자.
← 니콜라 푸생의 최후의 만찬
: 1644~1648,
스코틀랜드 국립 미술관
← 자코포 바사노의 최후의 만찬
: 1542, 보르게세 미술관
← 카라바조의 엠마오의 만찬
: 1601, 런던 내셔널 갤러리
← 알베르토의 최후의 만찬
: 16세기경, 릴 미술관
← 다니엘 크레스피의 최후의 만찬
: 1624~1625,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6. 마 무 리
이상, ‘최후의 만찬’이라는 동일 주제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된 여러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꽤 많은 작품들이 있어 적잖이 놀랐다. 앞장에서 분석해 본 세 작품을 포함하여 많은 작품을 깊이 있게 분석해보고 싶었는데, 시간에 쫓겨 outline 정도로만 훑어본 기분이라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방학을 통해 다니엘 크리스피와 자코포 바사노의 ‘최후의 만찬’ 작품에 대해 좀 더 깊이 알아보고 싶고, ‘최후의 만찬’ 계보도 새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명화 수업을 통해 다 빈치 뿐만 아니라 여러 대가들의 다양한 ‘최후의 만찬’ 작품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또 그것에 대해 조사할 수 있는 뜻 깊은 시간을 얻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report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7. 참고자료
맛있는 그림-혀끝으로 읽는 미술 이야기, 미야시타 기쿠로, 바다 출판사, p.15~37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미술작품정보
네이버 이미지 자료
월간미술
추천자료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비판과 분석 및 대안
LG eShop 의 마케팅 전략 분석
술회계 가사 대표작품과 특징분석
'MT왕' 프로그램 분석 및 새 프로그램 기획안
질적 자료 분석
마케팅 조사 분석을 통해 알아본 롯데 시네마 성공 전략 도출
시란 무엇인가??
아시아 도시 분석 mumbai in india
6)영어-What Do You Want To Do-원하는 것 묻고 답하기(세안)
‘노비문서’ 와 ‘소리굿 아구’ 의 비교분석.ppt
YES성공전략분석
살인의 추억 영화 분석
[시 바위]시인 유치환 시 바위의 원문, 시인 유치환 시 바위의 시구풀이, 시인 유치환 시 바...
[결혼과가족] 인생에서 결혼과 가족은 나에게 어떠한 가치와 의미인지 설명하시오 : 결혼과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