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음악시장의 역사 및 특징, 당위성, 유래, 원인, 정의, 음악시장의 성장배경, 현황, 나아갈 방향 조사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일본 음악시장 조사의 당위성

2. 일본 음악시장의 역사

3. 일본 음악시장의 성장 배경

본문내용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홍대나 신촌 근처에 있는 클럽들이 바로 이러한 형태인데 일본에는 이와 같은 라이브 하우스가 전국에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만큼 많은 라이브 하우스에서는 연일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그룹이나 팀을 이끌고 연주를 한다. 상상도 할 수 없는 양의 인디 그룹들이 포진되어 있는 것이다. 인디음악의 성공요인은 역시 대규모의 공연장과 상당수의 소극장 보유, 라이브 클럽의 활성화와 수많은 매니아 층의 형성에 있다. 즉 이 인디밴드, 인디계의 음악이 일본대중음악 시장의 거대한 모체가 되고 있다는 것인데, 가장 쉬운 사례로 저 유명한 X-JAPAN이 인디 밴드에서 가장 크게 성공한 밴드라는 점에서 상징적으로 인디음악의 힘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LUNA SEA, GLAY, L‘arc En Ciel, 등의 유명 밴드도 처음엔 인디 레이블을 기반으로 성장하였으며, 심지어는 모닝구 무스메 등의 아이돌 가수들도 인디를 거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인디 그룹들은 메이저에 얽매이지 않는 그들만의 음악을 하고 싶어 하고, 이러한 인디 음악은 메이저 못지않게 체계적인 조직망을 갖고 있는 인디 레이블이나 인디 미디어 등을 통해 배출된다. 기존의 메이저나 미디어에 식상해진 팬들은 이러한 하나의 거대한 인디 세계 속에서 돌파구를 찾기도 한다.
춘추전국 시대를 방불케 하는 다양한 장르의 공존
다양성의 부족이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우리나라 대중음악 시장과는 달리 일본음악계의 가장 큰 장점 중의 하나가 바로 위와 같은 인디의 활성화로 인해 파생된 장르의 다양화이다. 인디 뮤지션들이 메이저에 얽매이지 않고 음악을 하다 보니 상업성이나 대중성 등을 생각하지 않고서도 얼마든지 자신들이 추구하는 음악을 만들어 낼 수 있었고, 이렇게 다양하게 활성화된 인디 음악은 알게 모르게 팬들의 음악적 수준을 향상시켜 놓았다. 이러한 상황은 메이저에도 영향을 미쳐 일본의 차트 프로그램을 보면 댄스 일변도인 우리나라와는 달리 상업성 짙은 아이돌 가수에서부터 코무로 사단을 필두로 하는 댄스, 거기에 록, 포크, 힙합, 일본음악에만 존재하는 특수 장르(비주얼 록 등)까지 마치 춘추 전국시대를 방불케 할 정도로 수많은 장르가 공존하고 있다. 위에서도 언급한 바 있지만 이와 같이 우리나라 대중 매체에서 다루고 있는 일부 가수들이 일본음악의 전부가 아닌 것이다. 또 다른 일본 음악의 다양성의 양분은 주류적인 대중, TV형 가수들에 대한 반발마케팅이다. 이는 TV형의 음악으로 승부하지 않는 아티스트들에 대한 식상함과, 그것에 질린 소비자층에게 어필하기 위해 기존의 주류를 장악하고 있던 쟈니스나 혹은 고무로 사단 등에 반발하는 이미지로 기존의 메이저 음반사가 전략적으로 다양한 아티스트를 키워낸 경우이다. 이 케이스로 대표적으로 성공한 가수가 B'z와 ZARD등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음악적으로 매우 완성도 높은 음악부터 조잡한 음악까지 많은 음악이 공존하고, 또 그 중에 뛰어난 작품이나 아티스트가 발전하여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기 까지 하는 이러한 풍토를 만드는 데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역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향유하는 소비층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TV라는 한정된 매스미디어에서 벗어나 여러 층을 대상으로 하는 많은 매체들이 각기 다른 정보를 잘 제공해 주고 있는 상황. 그리고 무엇보다 주류 문화가 강력한 권력을 가지기는 하지만 그에 대응하는 ‘소수의 문화’ 에 대한 수요도 굉장히 높은 일본의 전통적인 문화 분위기가 언제든지 소수 문화로서 여러 음악이 등장할 수 있고 계속해서 입지를 굳혀가면서 성장 해 갈 수 있는 풍토를 만들었다. 그리고 그 수요가 바로 결국 지금의 일본의 음악적 다양성을 낳게 한 일차적인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수십만의 관객 동원을 자랑하는 콘서트 문화
일본의 가요 프로그램을 보면 자주 듣게 되는 말이 있다. 사회자가 게스트로 나온 아티스트에게 늘상 묻곤 하는 "이번에 콘서트는 언제부터입니까?" 라든가 "몇 지역을 순회합니까?" 같은 질문이다. 실제로 일본 대부분의 아티스트들은 콘서트만으로 1년 치 스케줄이 빽빽하게 차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엄청난 양의 콘서트를 강행한다. 게다가 인기 아티스트라면 콘서트 관객 몇 십 만쯤은 우습게 동원하곤 한다. 우리나라 영화가 관객 몇 십만 동원으로 화제를 불러일으키는 것과 비교해 보면 그 수치가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가 좋아야 그만큼의 관객이 몰리듯이 실력 있는 아티스트에게 관객이 몰리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일본음악에도 물론 비디오형 가수나 아이돌 가수처럼 미디어 음악 산업이 만들어낸 가수 아닌 가수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러한 아이돌 가수에서부터 20년이 넘게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실력 있는 아티스트,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보았을 때 실력 있는 가수들은 수명이 길다. 결국 이러한 아티스트들에 의해 그 나라의 음악적 뿌리는 지탱되어지는 것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인디 문화와 다양한 장르, 탄탄한 콘서트 문화가 자리 잡고 있는 일본은 이러한 환경 속에서 실력 있는 아티스트들이 꾸준히 생성되고 탄탄한 실력을 다져 나가고 있다.
※참고자료 (글)
www.changgo.com
blog.ohmynews.com/hereticrock/
cafe.daum.net/BUMP
(사진)
blog.naver.com/wjd2415
blog.naver.com/joon3800
blog.naver.com/sangk76
blog.naver.com/zkzh2243
blog.naver.com/despair77
blog.naver.com/es8253
blog.naver.com/ellenika
blog.naver.com/knisht
blog.naver.com/natska
blog.naver.com/did951
blog.naver.com/askmomoko
blog.naver.com/cherish0317
blog.naver.com/tonhyukkang
blog.naver.com/myangel0706

키워드

일본,   음악시장,   역사,   특징,   당위성,   유래,   원인,   정의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6.01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4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