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너무나도 좋은 생각이지만 이상적인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말하고 있는 ‘민주주의’가 결코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민주주의를 현실에서 실현할 수 없듯이 ‘화의 논리’ 또한 현실에서 실현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좀 더 양보하여 동의 논리도 인정하면서 필요한 것은 받아들이는 수정적인 모습이라면 실현 될 수 있을 것이다. 고대 그리스 아테네 시기의 민주주의는 시민이 모두 참여하는 직접 민주제 였으나, 오늘날에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직접 민주주의는 현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간접적인 민주주의를 현실에서 쓰고 있다. 이렇듯이 화의 논리도 저자의 말이 좋은 것은 인정하지만 현실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화의 논리가 아닌 현실에서도 실현 가능한 것이기를 바라는 뜻에서 저자 신영복의 화의 논리에는 반대한다.
추천자료
이기는 습관 독서 감상문
[감상문,독후감] 혁신학교 _ 성열관,이순철 공저
파피용 독서 감상문 (희망의 빛을 찾아서)
[독서감상문] 달려라 아비 _ 김애란 저
[독후감상문] 남자의 탄생 _ 전인권 저
[감상문] 『당신들의 대한민국』을 읽고 _ 박노자 저
[감상문] 남자의 탄생 _ 전인권 저
[감상문] 남자의 탄생
[감상문] 황금 바다를 읽고
[독서감상문] 『딥스 (Dibs)』를 읽고 _ 버지니아 M. 액슬린 (Virginia M. Axline) 저
[감상문] 『딥스 (Dibs)』 _ 버지니아 M. 액슬린 (Virginia M. Axline) 저
『마쿠라노소시(枕草子)』 감상문
마이 시스터즈 키퍼 감상문
[감상문] 자전거 도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