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방송인의 발음
1절. 방송과 언어
방송, 방송 언어, 방송인
표준어와 표준 발음
방송인의 어휘와 발음
2절. 표준 발음과 ‘표준 발음법’
3절. 방송인의 발음 오용 실태
모음의 발음
자음의 발음
장단음의 혼란
외래어의 발음
2장. 사회 계층별 언어 특성
1절. 서론
연구 목적
연구 방법
2절. 사회 계층별 언어 특성
발음상 차이
어휘 사용상 차이
문장 사용상 차이
담화상 차이
3절. 결론
3장. 신문 기자의 언어 사용 양상
1절. 서론
2절. 신문 언어의 문제와 개선 방안
문자
문장 부호
띄어쓰기
단어
문장
3절. 결론
4장. 성별 언어 특성과 성 차별 표현의 양상
1절. 사회언어학과 성별 언어
이론언어학과 사회언어학
연구 목표와 방법
성별 언어 연구사
2절. 성별 대상어의 특성
‘남성답다’와 ‘여성답다’의 반응어
성별 대상어의 유형
3절. 성별 발화어의 특성
종결어미의 서법과 억양
방언과 표준어의 성별 친화성
어휘적 특성
화용적 특성
4절. 성 차별 표현의 양상
여성 차별 표현
남성 파별 표현
동일 형식의 성 차별 표현
5절. 정리와 응용
5장. 청자 대우 ‘해요체’ 사용과 사회적 집단과 상관성
1절. 서론
2절. 높임/두루높임과 사회적 집단
3절. ‘두루높임’과 사회언어학적 조건 변화
4절. [이익] 관계의 ‘높임/두루높임’
5절. 결론
6장. 속담의 의미론적 연구
1절. 서론
2절. 속담의 의미장
인간에 관한 속담
인간의 일
인간의 삶
3절. 결론
7장. 현대 몽골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 언어 사용에 함축된 정체성과 소속감
1절. 머리말
2절. 사회적인 두 언어 병용 혹은 사회적인 양층언어를 향하여?
3절. 친족 언어
4절. 직업, 출생 서열, 혈연 관계 등에 관련된 용어
5절. 결론
※참고문헌
1절. 방송과 언어
방송, 방송 언어, 방송인
표준어와 표준 발음
방송인의 어휘와 발음
2절. 표준 발음과 ‘표준 발음법’
3절. 방송인의 발음 오용 실태
모음의 발음
자음의 발음
장단음의 혼란
외래어의 발음
2장. 사회 계층별 언어 특성
1절. 서론
연구 목적
연구 방법
2절. 사회 계층별 언어 특성
발음상 차이
어휘 사용상 차이
문장 사용상 차이
담화상 차이
3절. 결론
3장. 신문 기자의 언어 사용 양상
1절. 서론
2절. 신문 언어의 문제와 개선 방안
문자
문장 부호
띄어쓰기
단어
문장
3절. 결론
4장. 성별 언어 특성과 성 차별 표현의 양상
1절. 사회언어학과 성별 언어
이론언어학과 사회언어학
연구 목표와 방법
성별 언어 연구사
2절. 성별 대상어의 특성
‘남성답다’와 ‘여성답다’의 반응어
성별 대상어의 유형
3절. 성별 발화어의 특성
종결어미의 서법과 억양
방언과 표준어의 성별 친화성
어휘적 특성
화용적 특성
4절. 성 차별 표현의 양상
여성 차별 표현
남성 파별 표현
동일 형식의 성 차별 표현
5절. 정리와 응용
5장. 청자 대우 ‘해요체’ 사용과 사회적 집단과 상관성
1절. 서론
2절. 높임/두루높임과 사회적 집단
3절. ‘두루높임’과 사회언어학적 조건 변화
4절. [이익] 관계의 ‘높임/두루높임’
5절. 결론
6장. 속담의 의미론적 연구
1절. 서론
2절. 속담의 의미장
인간에 관한 속담
인간의 일
인간의 삶
3절. 결론
7장. 현대 몽골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 언어 사용에 함축된 정체성과 소속감
1절. 머리말
2절. 사회적인 두 언어 병용 혹은 사회적인 양층언어를 향하여?
3절. 친족 언어
4절. 직업, 출생 서열, 혈연 관계 등에 관련된 용어
5절.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타내는 용어와 혈연 관계를 명시하는 용어를 포함하는 반면에, 비친족을 부르기 위하여 존경어와 직업적인 용어를 주로 포함한다. 그러므로 직접 호칭 용어와 간접 호칭 용어의 실제적인 사용에서 친족과 비친족 사이에 일정한 경계가 존재하는 것이 분명한 것 같다.
5절. 결론
겉보기에 친족과 비친족을 둘 다 가리키기 위한 일부 친족 용어의 사용은 오늘날 몽골인들의 사회적인 그리고 경제적인 불안정에 대처하기 위하여 어떠한 인간적인 관계를 필요로 하는 것을 반영해 준다. 그러나 좀 더 심층적인 측면에서 보면 현대 몽골인들은 그들이 실행하는 일상적인 대화 속에 그들이 상대방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다양한 특징을 가진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구현정(1995). “남성형, 여성형 어휘의 형태와 의미 연구”. 궁어학 25. 국어학회.
김광해, 김대행(1997). “대학에서의 강의 담화에 대한 조사 연구”. 궁어교육 95. 한국국어 교 육 연구회.
김규현, 서경회(1996). “대화조직상의 성별 차이 : 평가와 이해 확인을 중심으로”. 사회언어 학 4-2. 사회언어학회.
김혜숙(1991). 현대국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태학사.
문효근(983). “한국말의 ‘군소리’, ‘군말’”. 말 8.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민현식(1996). “궁어의 性別語 연구사”. 사회언어학 4-2. 사회언어학회.
박영순(1976). “국어 경어법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국어국문학 72, 73. 국어국문학회.
박경래(1993). “충주방언의 음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서울대 박론.
이기숙(1993). “언어 변화와 인간 행위”. 사회언어학 창간호. 사회언어학회.
이덕호(1997). “‘언어와 성’의 연구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특히 여성어 연구를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5-1. 사회언어학회.
이미재(1988). “언어 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경기도 화성 방언을 중심으로”. 서울대.
이병혁(1986). 언어사회학서설, 이데올로기와 언어. 까치출판사.
이석규, 김선희(1992). 남성어, 여성어에 관한 연구, 어문학연구 2집, 목원대.
이옥련(1987), 국어 부부 호칭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아세아 여성연구 26. 아세아여성문제연 구소, 숙명여대.
이용주(1970). 남녀 대학생의 언어 연상에 관한 조사 연구, 아세아 여성연구 9, 숙명여대.
이을환(1963). 한국 여성 속담에 관한 연구(표현형식을 중심으로), 아세아여성연구 2. 숙명여 대(1976). 이조 여성의 언어 연구. 아세아여성연구 15. 숙명여대 아세아 여성 문제 연구소.
임동권(1984). 여성과 민요, 집문당.
임영철(1996). 일본어의 여성어에 대하여, 사회언어학 4-2. 한국사회언어학회.
임칠성(1997). 연령층별 성별어휘 사용에 대한 계량적 고찰, 새궁어교육 54. 한국국어 교육학 회.
임칠성 외(1997). 한국어 계량 연구. 전남대 출판부.
Bohannan, P. 1963. Social Ambropology,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Cater, E, J. Donald and J. Squires 1993, 'Introduction,' in E. Carter, J. Donald and J. Squires(eds.) Space and Place : theories of Identity and Location(London: Lawrence & Wishart), pp, vii-xv.
Gilberg, R and J. O. Svantesson, 1996, 'The Mongols, Their Land History,' in O. Bruun and O. Odgaard(eds.), Mongolia in Transition-Old Patterns and New Challenges(Surrey: Curzon Press), pp. 5-22
Hamers, J. F and M. H. A. Blanc(eds.), 1989, Bilinguality and Bilingualism,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Leach, E. 1973(1971), 'Language and Anthropolo호,‘ N. Minnis(ed.) Linguistics at Large(St. Albans:Paladin), pp. 139-157
Morgan, L. H. 1870, Systems of Consanguinity and Affinity of the Human Family, Washington : smithsonian Contribution.
Park, H. Y. 1993, Social Context of Kinship Terminology in Mongolia, MPhil dissertation, Cambridge University.
Pitt-Rivers, J. 1973, "the Kith and the Kin,' in J. goody(ed.), The Character of Kinship(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89-105.
Radcliffe-Brown, 1952, Stucture and Function in Primitive Society, London : Routledge & Kegan Paul.
Romaine, S. 1994, Language in Society :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sitics, Oxford and New Youk: Oxfor University Press.
Trudgill, P. 1983(1974), Sociolinguistics: An Introduction to Language and Society, Penguin.
Vreeland, H. H. 1954, Mongol community and Kinship structure, New Heaven.
Zeitlyn, D. 1993. 'Reconstruction kinship or the Pragmatics of Kin Talk' Man, vol. 28, pp. 199-224
5절. 결론
겉보기에 친족과 비친족을 둘 다 가리키기 위한 일부 친족 용어의 사용은 오늘날 몽골인들의 사회적인 그리고 경제적인 불안정에 대처하기 위하여 어떠한 인간적인 관계를 필요로 하는 것을 반영해 준다. 그러나 좀 더 심층적인 측면에서 보면 현대 몽골인들은 그들이 실행하는 일상적인 대화 속에 그들이 상대방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다양한 특징을 가진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구현정(1995). “남성형, 여성형 어휘의 형태와 의미 연구”. 궁어학 25. 국어학회.
김광해, 김대행(1997). “대학에서의 강의 담화에 대한 조사 연구”. 궁어교육 95. 한국국어 교 육 연구회.
김규현, 서경회(1996). “대화조직상의 성별 차이 : 평가와 이해 확인을 중심으로”. 사회언어 학 4-2. 사회언어학회.
김혜숙(1991). 현대국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태학사.
문효근(983). “한국말의 ‘군소리’, ‘군말’”. 말 8.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민현식(1996). “궁어의 性別語 연구사”. 사회언어학 4-2. 사회언어학회.
박영순(1976). “국어 경어법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국어국문학 72, 73. 국어국문학회.
박경래(1993). “충주방언의 음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서울대 박론.
이기숙(1993). “언어 변화와 인간 행위”. 사회언어학 창간호. 사회언어학회.
이덕호(1997). “‘언어와 성’의 연구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특히 여성어 연구를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5-1. 사회언어학회.
이미재(1988). “언어 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경기도 화성 방언을 중심으로”. 서울대.
이병혁(1986). 언어사회학서설, 이데올로기와 언어. 까치출판사.
이석규, 김선희(1992). 남성어, 여성어에 관한 연구, 어문학연구 2집, 목원대.
이옥련(1987), 국어 부부 호칭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아세아 여성연구 26. 아세아여성문제연 구소, 숙명여대.
이용주(1970). 남녀 대학생의 언어 연상에 관한 조사 연구, 아세아 여성연구 9, 숙명여대.
이을환(1963). 한국 여성 속담에 관한 연구(표현형식을 중심으로), 아세아여성연구 2. 숙명여 대(1976). 이조 여성의 언어 연구. 아세아여성연구 15. 숙명여대 아세아 여성 문제 연구소.
임동권(1984). 여성과 민요, 집문당.
임영철(1996). 일본어의 여성어에 대하여, 사회언어학 4-2. 한국사회언어학회.
임칠성(1997). 연령층별 성별어휘 사용에 대한 계량적 고찰, 새궁어교육 54. 한국국어 교육학 회.
임칠성 외(1997). 한국어 계량 연구. 전남대 출판부.
Bohannan, P. 1963. Social Ambropology,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Cater, E, J. Donald and J. Squires 1993, 'Introduction,' in E. Carter, J. Donald and J. Squires(eds.) Space and Place : theories of Identity and Location(London: Lawrence & Wishart), pp, vii-xv.
Gilberg, R and J. O. Svantesson, 1996, 'The Mongols, Their Land History,' in O. Bruun and O. Odgaard(eds.), Mongolia in Transition-Old Patterns and New Challenges(Surrey: Curzon Press), pp. 5-22
Hamers, J. F and M. H. A. Blanc(eds.), 1989, Bilinguality and Bilingualism,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Leach, E. 1973(1971), 'Language and Anthropolo호,‘ N. Minnis(ed.) Linguistics at Large(St. Albans:Paladin), pp. 139-157
Morgan, L. H. 1870, Systems of Consanguinity and Affinity of the Human Family, Washington : smithsonian Contribution.
Park, H. Y. 1993, Social Context of Kinship Terminology in Mongolia, MPhil dissertation, Cambridge University.
Pitt-Rivers, J. 1973, "the Kith and the Kin,' in J. goody(ed.), The Character of Kinship(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89-105.
Radcliffe-Brown, 1952, Stucture and Function in Primitive Society, London : Routledge & Kegan Paul.
Romaine, S. 1994, Language in Society :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sitics, Oxford and New Youk: Oxfor University Press.
Trudgill, P. 1983(1974), Sociolinguistics: An Introduction to Language and Society, Penguin.
Vreeland, H. H. 1954, Mongol community and Kinship structure, New Heaven.
Zeitlyn, D. 1993. 'Reconstruction kinship or the Pragmatics of Kin Talk' Man, vol. 28, pp. 199-224
추천자료
유지기의 <<사통>>
니체-천개의 눈, 천개의 길 감상문
2008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국제정세와 한반도
노년에 관하여, 우정에 관하여
남성과 여성 그리고 양성성
2010년 2학기 채권법 중간시험과제물 B형(해제의 효과)
영화 속 로봇과 인간들의 관계 - 터미네이터4, 그녀의 이름은 DHR-7
사회복지정책 관련 이슈 - 장애인 인권
남성과 여성 그리고 양성성
윤은기 중앙공무원교육원장에게 듣는다 (KTV 정책대담 116회: 2012.07.22)
공부하는 인간 다큐 감상문
지역사회복지 발전을 위한 자원봉사자 발굴 및 육성 방안을 제시해 보세요.
[사회복지현장실습일지] 지역아동센터에서 실시한 사회복지현장실습일지 견본샘플 3일차
밀리언 달러 베이비 감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