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
2. 실험
(1) 실험 결과
(2) 분석 및 토의
3. 오차
4. 토론
2. 실험
(1) 실험 결과
(2) 분석 및 토의
3. 오차
4. 토론
본문내용
7×
1.50×
2.63×
2.59×
83.204
4.09×
1.64×
2.54×
2.47×
82.904
(2) 분석 및 토의
① 같은 전류값에서 RL, RC, RLC 회로의 위상각 를 비교하여라.
=> 0.5 에서의 위상각 를 비교하면 RLC(다른 주파수)>RC>RL>RLC 입니다.
1.00 에서의 위상각 를 비교하면 RLC(다른 주파수)>RC>RL>RLC 입니다.
1.50 에서의 위상각 를 비교하면 RC>RLC(다른 주파수)>RL>RLC 입니다.
2.00 에서의 위상각 를 비교하면 RC>RLC(다른 주파수)>RL>RLC입니다.
② 또 전류값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회로에서의 위상각 는 어떻게 변하는가?
=> 전류값이 증가함에 따라
A. RL 회로와 B. RC 회로에서는 위상각이 점점 줄어들었습니다.
C. RLC 회로에서는 점점 줄어들지는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줄어들었습니다.
D. RLC 다른 주파수 에서는 증가하다가 점점 감소하였습니다.
3. 오차(%)
전류(I)
A. RL회로
B. RC회로
C. RLC회로
D. RLC회로
0.5
0.298
0.223
12.644
1.852
1.00
1.201
0.228
13.174
1.521
1.50
1.201
0.689
15.205
1.521
2.00
0.904
0.462
18.343
2.756
4. 토론
=> 이번 실험에서는 C. RLC 회로 실험을 제외한 다른 실험의 오차율이 0.XX%~2.XX% 여서 대체로 잘 수행한 실험이라고 생각합니다. C.RLC 회로 실험은 오차율 평균이 14.XX% 여서 실험 도중에 약간의 오류가 발생했었다고 생각합니다.
실험하는 과정도 손쉬웠고, 실험에 사용된 실험도구들도 모두 전에 이미 수행했었던 실험에서 몇 번씩 써본 기계여서 처음에 실험도구를 설치할 때는 기판에 회로를 꾸밀때를 제외 하고는 쉽게 쓸 수 있었습니다. 기판에 설치할 때 조교님께서 설명한대로 했지만 막상 해놓고 보니 예상한대로 잘 측정되지가 않았습니다. 하지만 몇 번 하고 난후에 하도 이상해서 나중에 알고보니 악어잭을 잘못 연결한 것을 알고 금방 다시 측정하게 되어서 다행이었습니다.
저는 대체적으로 결과보고서를 쓸 때 결과값을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해가지고 소수점 셋째자리까지 써 넣습니다. 이번 실험 결과보고서도 역시 그렇게 썼는데 넷째자리에서 반올림을 하다보니 재미있는 결과값이 나왔습니다. R2 의 값이 D. RLC회로(다른 주파수) 실험을 제외하고는 모두 0.003이 나왔습니다. D 실험의 R2 값은 모두 0.001 의 값이 나왔습니다. R의 값이 거의 같거나 0.001~0.005 정도의 차이가 나다 보니 R을 제곱을 해서 넷째자리에서 반올림을 하면 그값이 모두 같게 된것입니다.
이번 결과보고서를 쓰면서 약간 헷갈렸던 점은 이론을 읽다보니 ‘직류회로의 옴의 법칙 E=IR에서 R에 해당하는 wL' 이라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저는 이 부분을 읽고나서 그렇다면 에서 wL을 R로 바꾸면
으로 한 후 = 1.414 로 근사값으로 놓고 Z를 이렇게 계산해도 되는지 약간 고민하기도 했었습니다.
1.50×
2.63×
2.59×
83.204
4.09×
1.64×
2.54×
2.47×
82.904
(2) 분석 및 토의
① 같은 전류값에서 RL, RC, RLC 회로의 위상각 를 비교하여라.
=> 0.5 에서의 위상각 를 비교하면 RLC(다른 주파수)>RC>RL>RLC 입니다.
1.00 에서의 위상각 를 비교하면 RLC(다른 주파수)>RC>RL>RLC 입니다.
1.50 에서의 위상각 를 비교하면 RC>RLC(다른 주파수)>RL>RLC 입니다.
2.00 에서의 위상각 를 비교하면 RC>RLC(다른 주파수)>RL>RLC입니다.
② 또 전류값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회로에서의 위상각 는 어떻게 변하는가?
=> 전류값이 증가함에 따라
A. RL 회로와 B. RC 회로에서는 위상각이 점점 줄어들었습니다.
C. RLC 회로에서는 점점 줄어들지는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줄어들었습니다.
D. RLC 다른 주파수 에서는 증가하다가 점점 감소하였습니다.
3. 오차(%)
전류(I)
A. RL회로
B. RC회로
C. RLC회로
D. RLC회로
0.5
0.298
0.223
12.644
1.852
1.00
1.201
0.228
13.174
1.521
1.50
1.201
0.689
15.205
1.521
2.00
0.904
0.462
18.343
2.756
4. 토론
=> 이번 실험에서는 C. RLC 회로 실험을 제외한 다른 실험의 오차율이 0.XX%~2.XX% 여서 대체로 잘 수행한 실험이라고 생각합니다. C.RLC 회로 실험은 오차율 평균이 14.XX% 여서 실험 도중에 약간의 오류가 발생했었다고 생각합니다.
실험하는 과정도 손쉬웠고, 실험에 사용된 실험도구들도 모두 전에 이미 수행했었던 실험에서 몇 번씩 써본 기계여서 처음에 실험도구를 설치할 때는 기판에 회로를 꾸밀때를 제외 하고는 쉽게 쓸 수 있었습니다. 기판에 설치할 때 조교님께서 설명한대로 했지만 막상 해놓고 보니 예상한대로 잘 측정되지가 않았습니다. 하지만 몇 번 하고 난후에 하도 이상해서 나중에 알고보니 악어잭을 잘못 연결한 것을 알고 금방 다시 측정하게 되어서 다행이었습니다.
저는 대체적으로 결과보고서를 쓸 때 결과값을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해가지고 소수점 셋째자리까지 써 넣습니다. 이번 실험 결과보고서도 역시 그렇게 썼는데 넷째자리에서 반올림을 하다보니 재미있는 결과값이 나왔습니다. R2 의 값이 D. RLC회로(다른 주파수) 실험을 제외하고는 모두 0.003이 나왔습니다. D 실험의 R2 값은 모두 0.001 의 값이 나왔습니다. R의 값이 거의 같거나 0.001~0.005 정도의 차이가 나다 보니 R을 제곱을 해서 넷째자리에서 반올림을 하면 그값이 모두 같게 된것입니다.
이번 결과보고서를 쓰면서 약간 헷갈렸던 점은 이론을 읽다보니 ‘직류회로의 옴의 법칙 E=IR에서 R에 해당하는 wL' 이라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저는 이 부분을 읽고나서 그렇다면 에서 wL을 R로 바꾸면
으로 한 후 = 1.414 로 근사값으로 놓고 Z를 이렇게 계산해도 되는지 약간 고민하기도 했었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