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자녀가정] 무자녀 가정의 개념과 유형, 편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무자녀 가정

Ⅰ. 무자녀 가정의 개념

Ⅱ. 무자녀 가정의 유형

1. 적극적인 선택에 따른 무자녀 가정
1) 확신에 의한 선택
2) 종교에 의한 선택
3) 환경주의적 대의
4) 피임약으로 인한 조절
2. 상황에 따른 무자녀 가정
3. 우연에 따른 무자녀 가정

Ⅲ. 무자녀 가정에 대한 편견

본문내용

감소, 선택적 무자녀 여성의 확실한 증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2) 상황에 따른(happenstance)무자녀 가정
<1> 도덕적 규범 : 결혼 전에는 아이를 낳을 수 없다고 생각하며, 정말 원하는 상대를 만났으나 결혼이 늦어져서 아이를 못 갖게 되는 경우이다.
<2> 아이 있는 배우자와의 결혼: 아이를 더 낳지 않기로 한사람과 결혼한 경우이다.
<3> 일로 인한 지연: 직장생활을 하다가 임신이 미루어지는 경우이다.
<4> 금전적인 상황에 의한 선택: 재정적인 상황을 고려해서 아이를 낳지 않기도 한다. 아이를 낳을 형편이 안 되어서가 아니라 둘이 번 돈을 어떻게 분배하느냐는 선택에 따른 것이다.
(3) 우연(chance)에 따른 무자녀 가정
질병 : 질병 때문에 아이를 낳을 수 없다거나, 잠재적으로 위험하거나 육체적으로 너무 부담스러워서 무자녀 가정이 된 여성들이다.
불임 : 현대에는 불임문제가 있는 여성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그 원인은 여성의 직업생활, 늦은 결혼, 출산의 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즘의 환경 요인들도 불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 연구소의 '불임의 환경적 요인' 에 대한 보고서에서 웨인 싱클레어 박사는 불임의 원인은 담배, 알코올, 커피, 살충제, 식물 첨가제, 아스파탐(저칼로리 인공감미료), 화장품용 화학 물질, 지리적 입지,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 현장에의 노출 등이라고 밝혔다. 불임에 대한 여러 연구는 불임의 35%는 여성에게, 35%는 남성에게,20%는 양쪽 모두에게 원인이 있으며, 나머지 10%는 누구에게도 원인이 없는 경우라고 한다.
3) 무자녀 가정에 대한 편견
최근 아이가 없는 신세대 맞벌이부부,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이라는 말이 낮설지 않게 되면서 이들의 생활양식 즉, 부부 중심적 생활이나 삶을 즐기려는 태도와 양육부담에 대한 해방감에서 오는 자유로움이 무자녀 가정의 대표적인 환상처럼 여겨지고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삶의 방식, 인생관을 비난하면서 이기적이며 부적응적이고, 불행한 삶을 살고 있을 것이며 종교적이지 않으며, 무책임하고, 미성숙하고, 비정상이고, 아이를 싫어하는 알코올 중독자 등의 소위 비자연적인 사람들이라고 평가하거나 혹은 편견을 갖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은 여성다움을 엄마다움이라는 좁은 범위에만 가두어서 정의하려고 한다. 주로 무자녀는 여성만을 기준으로 낙인찍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9.13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70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