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책 소개
◈차례
A .Part 1 기본 CODE
1. 입시제도 이해 : 변화의 CODE를 읽어라
2. 1세대 학력고사 : 엄마들의 시험, 아이들의 내신
3. 2세대 수능 : 향후 5년 입시의 절대 강자
4. 3세대 논술 : 해프닝인가 역사의 흐름인가
B. Part 2 원칙 CODE
1. 키워드➀학원 : 독이 든 성배
2. 키워드➁자습 : 절대 사수 승부처
3.키워드③학교(특목고) : 50vs50
4. 키워드④영어 : 실용과 시험을 구분하라
5. 키워드⑤시험 : 시험전<시험후
6.키워드⑥독서 : 초 중 시기의 가장 확실한 투자처
7. 키워드⑦선행 : 백해일익, 무용지물
8.키워드⑧진로 : 공상이 아닌 현실
이 책을 읽고서
◈책 소개
◈차례
A .Part 1 기본 CODE
1. 입시제도 이해 : 변화의 CODE를 읽어라
2. 1세대 학력고사 : 엄마들의 시험, 아이들의 내신
3. 2세대 수능 : 향후 5년 입시의 절대 강자
4. 3세대 논술 : 해프닝인가 역사의 흐름인가
B. Part 2 원칙 CODE
1. 키워드➀학원 : 독이 든 성배
2. 키워드➁자습 : 절대 사수 승부처
3.키워드③학교(특목고) : 50vs50
4. 키워드④영어 : 실용과 시험을 구분하라
5. 키워드⑤시험 : 시험전<시험후
6.키워드⑥독서 : 초 중 시기의 가장 확실한 투자처
7. 키워드⑦선행 : 백해일익, 무용지물
8.키워드⑧진로 : 공상이 아닌 현실
이 책을 읽고서
본문내용
. 학원은 우리 아이의 그 중요한 시간을 야금야금 갉아먹을 수밖에 없다 강사가 아무리 유명할지라도 우리 아이와 맞지 않는 수업은 시간 낭비가 될 수 있다.
(3) 학원의 레벨 테스트= 대부분의 레벨 테스트는 허상이며 그것 자체가 또 하나의 상술이다. 레벨 테스트라는 것은 맞춤형 수업에 대한 소비자의 Needs를 채우기 위해 탄생했다 말 그대로 아이의 레벨을 테스트해 수준별로 클래 스를 구성하겠다는 것이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최악의 경우 이미 아는 내용은 지겹도록 세세하게 설명하고 정작 부족한 부분은 건너 뛰어버릴 수도 있는 시스템이다. 레벨 테스트와 수준별 분반은 성취감과 가시성을 극대화시키는 심리적 장치이다.
(4) 학원의 강사와 교재=대부분의 학원들의 강사와 교재는 한마디로 엉망이라고 해 도 과언이 아니다. 공부와 같이 복잡다단한 컨텐츠를 연구 없이 개인기 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학원과 강사의 본질이다 사명감이나 자 부심으로 경영하는 것이 진정한 사업이라고 한다면 이들이 하는 것은 오 직 돈만 좇는 장사인 경우가 너무 많다. 그러므로 초, 중 자녀에게는 엄마 가 매니저일 수박에 없다 엄마가 신경을 써야 한다. 강사의 역할과 엄마 매니저의 역할이 다름을 명확히 인식해야 하며 학원의 전문성을 지나치게 맹신하지 말라 학교보다 몇 배 나을 것이라고 착각하지 말라 학원은 말 그대로 보충학습을 위한 공간일 뿐이다.
(5) A/S가 없는 학원=실제로 대한미국 자영업 중에 생존률 부분에서 압도적인 1위 를 차지한 곳이 바로 학원 업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아이의 실력이 오르 지 않으면 이라는 가정이 정확하게 측정하고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이다. 문제의 핵심은 누구의 잘못인지 따지기 힘들기 때문에 학원의 품질은 정확히 측정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결국 이런 상황에서 학원이 매 달리는 건 3가지다 당장 눈에 보이고 피부로 와 닿는 기준. 바로 쇼맨십 과 당장의 내신 성적, 그리고 스파르타식 과제이다 인기 강사들의 특징은 대부분 재밌고 화려하다는 것이다. 실력을 판단할 수 없는 학부모와 학생 들은 결국 이러한 쇼맨십에 넘어갈 수박에 없다 강의를 쉽게 하는 것은 분명 나무랄 일이 아니다. 그러나 내용 없는 쇼맨십은 분명히 문제가 된 다. 실력을 판단할 수 없는 학부모와 학생들은 결국 이러한 쇼맨십에 넘 어갈 수밖에 없다. 나올만한 것을 콕 집어주는 족집게도 다른 쇼맨십의 일종이다 자신만의 공식을 만들어 해당 유형의 답을 직관적이고 기계 적 으로 단번에 찾을 수 있게 해주는 것도 쇼맨십이다 그러나 분명히 와 닿 는다. 진짜 실력을 키워준다는 게 뭔지 애매한 상황에 이렇게 와 닿게라 도 해주는 강사는 분명 좋은 강사로 평가된다. 내신은 아직도 여전히 암 기형 시험이다 이러한 시험을 대비시키는 방법은 간단한 시험과 상관없는 몇 개월 전 즉 평소 시점부터 암기시키고 문제풀이 시키고 또 암기시키기 를 반복하는 것이다 해당 학교 선생님의 지난 년도 시험 문제를 모두 수 집해 아이들에게 족집게를 히 주는 것도 빠뜨리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웬만한 아이들은 금방 내신 성적이 나온다. 강사나 교재의 품질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충분히 숨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파르타식과제이다 점수 는 시험이 끝나야만 확신할 수 있다 스파르타식 과제는 말 그대로 아이를 꼼짝달싹 못하게 하는 어마어마한 분량의 숙제를 의미한다. 숙제가 암기 형 내신에는 효과적일지 모르지만 수능. 논술, 특목고에는 무영지물인 가 짜 실력만 늘어날 뿐이다.
(6) 서울대반의 진실=진학률을 높이기 위해서 학원들이 목숨을 걸고 관리하는 것이 바로 서울대반 혹은 특모고반 같은 상위권반 아이들이다. 문제는 역설적으 로 이러한 친구들은 학원에 잘 가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학원은 서울 대반 특목고반을 만들기 위해 원래공부 잘하는 아이들을 잡기 위해 총력전 을 펼친다.
(7) 학원주도형 학생
-시간낭비가 심해진다.
-이해와 응용력이 심각하게 떨어진다.
-수능. 논술. 특목고에서 최상 위권을 기대하기 힘들다
-명문대나 특목고에 진학했더라도 그 이후가 더 문제다
(8) 보이지 않는 환상= 그래도 집에 잇는 것보다 학원에 있으면 수업이든 숙제든 뭐라도 하니까 그것 자체가 공부라고 행각하는가? 뭐라도 시키는 대로 억지 로 하는게 정말 공부라고 생각하는가? 수능. 논술. 특목고처럼 고도의 응용력 과 이해를 요구하는 시험에서 그런 억지 공부가 정말 통할 것이라고 생각하 는가? 이 모두는 보이지 않는 환상이다 뛰어난 매니저라면 싫을지라도 현실 과 당당히 맞서야 한다. 철저하게 현실적으로 관찰하고 판단해야 한다. 학원 은 환상이 아니다 현실일 뿐이다.
2) 강남학원Kid들, 정말 유리할까?
(1)강남 학원Kid의 정체1 : 절대적으로 많은 공부 시간
서울 강남, 그리고 목동, 분당은 이른바 입시교육의 Big3라고 불릴 정 도로 교육열이 가히 살인적이다 어쩔 수 없이 인정해야 하는 것이 결 국 성적은 공부의 절대량이 많은 학생이 더 잘 나온다는 명제다. 강 남 학원Kid를 따라잡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책은 학생 스스로가 그들 만큼 많이 공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2)강남학원Kid의 정체2 : 월등한 수업의 질
공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수업의 질이다. 이 문제에 있어서 해결된 것이 바로 인터넷 강의의 탄생이다
(3)강남 학원Kid의 정체3 : 시험 문제 찍어주기
이것은 정말 심각한 문제다 공정하지 못한 경쟁이며 말 그대로 돈으로 점수를 구매하는 일이다
(4)가장 단순하면서도 확실한 해결책 : 수능. 특목고 시험 그 자체
학원 강사들이 아무리 암기시키고 찍어줘도 손도 못 대는 문제들, 바로 그런 문제들로 수능. 특목고 시험을 꽉꽉 채우면 된다.
(5) 어려운 수능의 시대가 온다. 진짜실력의 시대가 온다.
어려운 수능 진짜 실력을 테스트하는 특목고 시험을 대비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학원을 보내되 주도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학원은 그냥 되 는 대로 보내도 안 되고 무턱대고 안 보내도 안 된다. 찍어 주기 수업, 무분별한 선행, 스파르타식 과제보다는 개념과 이해 위주의 수업을 선택 해야 한다. 커리큘럼 전체를 무턱대고 따라가기
(3) 학원의 레벨 테스트= 대부분의 레벨 테스트는 허상이며 그것 자체가 또 하나의 상술이다. 레벨 테스트라는 것은 맞춤형 수업에 대한 소비자의 Needs를 채우기 위해 탄생했다 말 그대로 아이의 레벨을 테스트해 수준별로 클래 스를 구성하겠다는 것이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최악의 경우 이미 아는 내용은 지겹도록 세세하게 설명하고 정작 부족한 부분은 건너 뛰어버릴 수도 있는 시스템이다. 레벨 테스트와 수준별 분반은 성취감과 가시성을 극대화시키는 심리적 장치이다.
(4) 학원의 강사와 교재=대부분의 학원들의 강사와 교재는 한마디로 엉망이라고 해 도 과언이 아니다. 공부와 같이 복잡다단한 컨텐츠를 연구 없이 개인기 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학원과 강사의 본질이다 사명감이나 자 부심으로 경영하는 것이 진정한 사업이라고 한다면 이들이 하는 것은 오 직 돈만 좇는 장사인 경우가 너무 많다. 그러므로 초, 중 자녀에게는 엄마 가 매니저일 수박에 없다 엄마가 신경을 써야 한다. 강사의 역할과 엄마 매니저의 역할이 다름을 명확히 인식해야 하며 학원의 전문성을 지나치게 맹신하지 말라 학교보다 몇 배 나을 것이라고 착각하지 말라 학원은 말 그대로 보충학습을 위한 공간일 뿐이다.
(5) A/S가 없는 학원=실제로 대한미국 자영업 중에 생존률 부분에서 압도적인 1위 를 차지한 곳이 바로 학원 업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아이의 실력이 오르 지 않으면 이라는 가정이 정확하게 측정하고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이다. 문제의 핵심은 누구의 잘못인지 따지기 힘들기 때문에 학원의 품질은 정확히 측정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결국 이런 상황에서 학원이 매 달리는 건 3가지다 당장 눈에 보이고 피부로 와 닿는 기준. 바로 쇼맨십 과 당장의 내신 성적, 그리고 스파르타식 과제이다 인기 강사들의 특징은 대부분 재밌고 화려하다는 것이다. 실력을 판단할 수 없는 학부모와 학생 들은 결국 이러한 쇼맨십에 넘어갈 수박에 없다 강의를 쉽게 하는 것은 분명 나무랄 일이 아니다. 그러나 내용 없는 쇼맨십은 분명히 문제가 된 다. 실력을 판단할 수 없는 학부모와 학생들은 결국 이러한 쇼맨십에 넘 어갈 수밖에 없다. 나올만한 것을 콕 집어주는 족집게도 다른 쇼맨십의 일종이다 자신만의 공식을 만들어 해당 유형의 답을 직관적이고 기계 적 으로 단번에 찾을 수 있게 해주는 것도 쇼맨십이다 그러나 분명히 와 닿 는다. 진짜 실력을 키워준다는 게 뭔지 애매한 상황에 이렇게 와 닿게라 도 해주는 강사는 분명 좋은 강사로 평가된다. 내신은 아직도 여전히 암 기형 시험이다 이러한 시험을 대비시키는 방법은 간단한 시험과 상관없는 몇 개월 전 즉 평소 시점부터 암기시키고 문제풀이 시키고 또 암기시키기 를 반복하는 것이다 해당 학교 선생님의 지난 년도 시험 문제를 모두 수 집해 아이들에게 족집게를 히 주는 것도 빠뜨리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웬만한 아이들은 금방 내신 성적이 나온다. 강사나 교재의 품질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충분히 숨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파르타식과제이다 점수 는 시험이 끝나야만 확신할 수 있다 스파르타식 과제는 말 그대로 아이를 꼼짝달싹 못하게 하는 어마어마한 분량의 숙제를 의미한다. 숙제가 암기 형 내신에는 효과적일지 모르지만 수능. 논술, 특목고에는 무영지물인 가 짜 실력만 늘어날 뿐이다.
(6) 서울대반의 진실=진학률을 높이기 위해서 학원들이 목숨을 걸고 관리하는 것이 바로 서울대반 혹은 특모고반 같은 상위권반 아이들이다. 문제는 역설적으 로 이러한 친구들은 학원에 잘 가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학원은 서울 대반 특목고반을 만들기 위해 원래공부 잘하는 아이들을 잡기 위해 총력전 을 펼친다.
(7) 학원주도형 학생
-시간낭비가 심해진다.
-이해와 응용력이 심각하게 떨어진다.
-수능. 논술. 특목고에서 최상 위권을 기대하기 힘들다
-명문대나 특목고에 진학했더라도 그 이후가 더 문제다
(8) 보이지 않는 환상= 그래도 집에 잇는 것보다 학원에 있으면 수업이든 숙제든 뭐라도 하니까 그것 자체가 공부라고 행각하는가? 뭐라도 시키는 대로 억지 로 하는게 정말 공부라고 생각하는가? 수능. 논술. 특목고처럼 고도의 응용력 과 이해를 요구하는 시험에서 그런 억지 공부가 정말 통할 것이라고 생각하 는가? 이 모두는 보이지 않는 환상이다 뛰어난 매니저라면 싫을지라도 현실 과 당당히 맞서야 한다. 철저하게 현실적으로 관찰하고 판단해야 한다. 학원 은 환상이 아니다 현실일 뿐이다.
2) 강남학원Kid들, 정말 유리할까?
(1)강남 학원Kid의 정체1 : 절대적으로 많은 공부 시간
서울 강남, 그리고 목동, 분당은 이른바 입시교육의 Big3라고 불릴 정 도로 교육열이 가히 살인적이다 어쩔 수 없이 인정해야 하는 것이 결 국 성적은 공부의 절대량이 많은 학생이 더 잘 나온다는 명제다. 강 남 학원Kid를 따라잡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책은 학생 스스로가 그들 만큼 많이 공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2)강남학원Kid의 정체2 : 월등한 수업의 질
공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수업의 질이다. 이 문제에 있어서 해결된 것이 바로 인터넷 강의의 탄생이다
(3)강남 학원Kid의 정체3 : 시험 문제 찍어주기
이것은 정말 심각한 문제다 공정하지 못한 경쟁이며 말 그대로 돈으로 점수를 구매하는 일이다
(4)가장 단순하면서도 확실한 해결책 : 수능. 특목고 시험 그 자체
학원 강사들이 아무리 암기시키고 찍어줘도 손도 못 대는 문제들, 바로 그런 문제들로 수능. 특목고 시험을 꽉꽉 채우면 된다.
(5) 어려운 수능의 시대가 온다. 진짜실력의 시대가 온다.
어려운 수능 진짜 실력을 테스트하는 특목고 시험을 대비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학원을 보내되 주도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학원은 그냥 되 는 대로 보내도 안 되고 무턱대고 안 보내도 안 된다. 찍어 주기 수업, 무분별한 선행, 스파르타식 과제보다는 개념과 이해 위주의 수업을 선택 해야 한다. 커리큘럼 전체를 무턱대고 따라가기
추천자료
[독일][독일교육][독일의 교육]독일의 교육제도, 독일의 학생선발제도, 독일의 의무교육 제도...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제도)의 배경, 문제점과...
고등학교평준화정책(고교평준화제도)과 학교선택제, 자립형사립고, 고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
고등학교평준화정책(고교평준화제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고등학교평준화정책(고교평준화...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제도) 도입필요성과 도입과정,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
[임용]교원임용제도(교사임용제도)의 변천, 교원임용제도(교사임용제도)의 우선 순위, 교원임...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제도)의 개념과 변천,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제도)의 ...
고등학교평준화정책(고교평준화제도)의 개념과 추진과정, 고등학교평준화정책(고교평준화제도...
대학입학제도(대입제도)의 특징, 대학입학제도(대입제도)의 갈등, 대학입학제도(대입제도)와 ...
[독일교육][독일의 교육]독일교육의 교육과정, 독일교육의 학교제도, 독일교육의 중등학교, ...
영국의 교육정책(교육제도), 중국의 교육정책(교육제도), 일본의 교육정책(교육제도), 캐나다...
영국_대학입학시험제도와_우리나라_대학입학시험제도에_관한_비교
[과거시험(과거제도)]과거시험(과거제도, 과거)과 고려 광종, 과거시험(과거제도, 과거)과 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