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3. Methods
① Pressure spot
② Two-point discrimination
③ Taste
4. Result
1. pressure spot 측정
2. two-point discrimination
3. Taste
5. 고찰
2. Materials
3. Methods
① Pressure spot
② Two-point discrimination
③ Taste
4. Result
1. pressure spot 측정
2. two-point discrimination
3. Taste
5. 고찰
본문내용
1. Introduction
자극에 대해 반응할 때의 네가지 특징
Modality
Intensity
Duration
Location
Cutaneous Sensation
1. Mechanical deformation(Mechanoreceptor, Myelinated fibers)
2. Sensation to heat and to cold(Thermoreceptor, unmyelinated fibers)
3. Signalling damage to the skin(Nociceptor)
Mechanoreceptor(기계적 감각 수용기)?
Two groups of mechanoreceptors(Rapidly and slowly adapting)
Pacinia corpuscle, Meissner corpuscles(rapidly)
Merkel cells(Slowly)
Pacinian corpuscle gives the sensation of vibration
Meissner corpuscle gives the sensation of touch
Merkel cells(Slowly adaption receptors) gives the sensation of pressure
≪ … 중 략 … ≫
5. 고찰
감각순응 : 수용체전압은 같은 강도의 자극이 계속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에 따라서 그 진폭이 줄어드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수용체 전압에 의하여 생성되는 임펄스의 빈도도 줄어든다. 즉, 수용체에 일정한 강도의 적합자극을 지속적으로 가하면 감각의 크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다시 말해서 자극으로 인한 임펄스의 발사 빈도가 차츰 줄어들어서 마침내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거나 또는 임펄스 발사 자체가 완전히 중지 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감각 순응(sensory adaption)이라고 한다. 순응은 감수성의 저하를 뜻하지만 간혹 가다 감수성의 증가를 의미하기도 한다. 감각순응은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흔히 경험하게 된다. 어두운 실내에 있다가 밖으로 나오면 수 분 동안 눈이 부시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차츰 괜찮아 진다. 그리고 수영장에 들어가면 처음에는 한기가 들지만 차츰 시간이 지나면서 괜찮아 지게 된다. 이러한 순응 현상 때문에 동물의 감각기관은 자극의 크기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한다
자극에 대해 반응할 때의 네가지 특징
Modality
Intensity
Duration
Location
Cutaneous Sensation
1. Mechanical deformation(Mechanoreceptor, Myelinated fibers)
2. Sensation to heat and to cold(Thermoreceptor, unmyelinated fibers)
3. Signalling damage to the skin(Nociceptor)
Mechanoreceptor(기계적 감각 수용기)?
Two groups of mechanoreceptors(Rapidly and slowly adapting)
Pacinia corpuscle, Meissner corpuscles(rapidly)
Merkel cells(Slowly)
Pacinian corpuscle gives the sensation of vibration
Meissner corpuscle gives the sensation of touch
Merkel cells(Slowly adaption receptors) gives the sensation of pressure
≪ … 중 략 … ≫
5. 고찰
감각순응 : 수용체전압은 같은 강도의 자극이 계속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에 따라서 그 진폭이 줄어드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수용체 전압에 의하여 생성되는 임펄스의 빈도도 줄어든다. 즉, 수용체에 일정한 강도의 적합자극을 지속적으로 가하면 감각의 크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다시 말해서 자극으로 인한 임펄스의 발사 빈도가 차츰 줄어들어서 마침내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거나 또는 임펄스 발사 자체가 완전히 중지 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감각 순응(sensory adaption)이라고 한다. 순응은 감수성의 저하를 뜻하지만 간혹 가다 감수성의 증가를 의미하기도 한다. 감각순응은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흔히 경험하게 된다. 어두운 실내에 있다가 밖으로 나오면 수 분 동안 눈이 부시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차츰 괜찮아 진다. 그리고 수영장에 들어가면 처음에는 한기가 들지만 차츰 시간이 지나면서 괜찮아 지게 된다. 이러한 순응 현상 때문에 동물의 감각기관은 자극의 크기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한다
추천자료
미혼모 문제와 그에 따른 대책
고등학생의 학교풍토 지각에 따른 창의성과 대인관계 연구
미래의 광고매체 변화에 따른 소비자행태 변화 연구 조사
개성과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소비자 행동
실어증의 종류와 이에 따른 관리 및 재활중재를 논하시오.
공익광고 이미지 유형에 따른 수용자 반응
한국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그에따른 영향
번호이동성 서비스 도입에 따른 LG텔레콤의 ‘공격적인’가입자 확보 마케팅 전략
진로 설계와 적성에 따른 직업탐색을 통해 개인의 역량을 맘껏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
천식의 병태생리와 간호과정에 따른 간호중재
아동발달]아동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역할-아동발달단계의 행동적특성과 심리적특성-
소비자 정보처리 과정에 따른 광고 마케팅 전략과 사례조사
환경 온도의 변화에 따른 인간의 생리적 적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