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작품속의 역사적 배경
(2) 소설의 전체적인 내용
(3) 작품의 특징
(4) 어떠한 목적을 가진 소설인가?
(5) 태백산맥은 공산주의 찬양 소설이다?
3. 결론
2. 본 론
(1) 작품속의 역사적 배경
(2) 소설의 전체적인 내용
(3) 작품의 특징
(4) 어떠한 목적을 가진 소설인가?
(5) 태백산맥은 공산주의 찬양 소설이다?
3. 결론
본문내용
고 있고 있는 이러한 상황속에서 조금만 생각을 가진 사람이라면 당연히 좌익쪽으로 흘러가는 것은 당연지사가 아닌가. 물론 역사가 공산주의, 사회주의의 잘못된 점을 지적해주고는 있지만 당시 상황으로 보면 그 사회주의라는 것이 농민해방이라는 이름아래 민중들의 지지를 얻을 만한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 이승만과 한민당 그리고 지주들이 얼마나 민족을 배신하는 행위를 했으면 얼마나 그들을 탄압하던 존재였는가를 생각해보면 왜 그들이 좌익으로 물들어 갔음을 쉽게 짐작할수 있다. 권력에 눈이 멀어 나라를 반으로 잘라먹은 대통령에 거의 대다수가 친일세력이었던 한민당 그리고 농민의 피를 빨아 먹던 여러지주들 참으로 사회주의가 자라기에 완벽한 배양 조건들이었다. 이러한 상황의 연계 선상에 있는 한국 전쟁은 농민 vs 지주세력의 전쟁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역사를 말하기 전에 당시의 상황의 앞뒤를 여러각도에서 알고 그 역사를 수용하는 것을 이 소설을 통해서 알수 있고 또한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다라는 것을 배울수 있고 그것이 이 소설을 쓴 작가의 의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가진다.
(4) 태백산맥은 공산주의 찬양 소설이다?
한편으로 이 소설이 공산주의 찬양소설이라는 오해를 산적도 있었다. (한 일화를 들어보면 임권택 감독의 태백산맥을 상영하려했던 당시에 우익의 입장의 세력들이 영화를 상영 못하게 한적도 방해한적도 있다고 한다.) 허나 이 작품은 공산주의 찬양 소설이 아니다. 단지 민족적인 입장에서 쓰여졌을 뿐이고, 우리 민족들에게 먼저 찔리는 짓을 한 입장에서 봤을 때 자신의 약점을 공격하는 것처럼 느껴져 작품을 그쪽을 몰아가고 있는것이다.
3. 결 론
여순사건에서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의 우리민족의 현실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그려내보인 이 작품은 한쪽으로만 치우친 우리의 왜곡된 인식을 바로 잡아주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우리의 모습을 다시 한번 뒤돌아보게 하는 목적을 가진 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소설을 읽는 동안 내가 만약 지주의 입장이었더라면? 만약 내가 소작인의 입장이었더라면? 하는 생각을 많이 가지게 되었었다. 그 만큼 여러 입장, 객관적인 입장에서 쓰여졌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하는 작품이었다고 여겨진다. 끝까지 읽고 과제를 작성 했으면 좋았을텐데 마지막 3권을 남겨둔채로여서 아쉽다. 빠른 시일내로 완독하여 다시한번 이문제에 관해서 정리해볼 작정이다.
먼저 역사를 말하기 전에 당시의 상황의 앞뒤를 여러각도에서 알고 그 역사를 수용하는 것을 이 소설을 통해서 알수 있고 또한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다라는 것을 배울수 있고 그것이 이 소설을 쓴 작가의 의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가진다.
(4) 태백산맥은 공산주의 찬양 소설이다?
한편으로 이 소설이 공산주의 찬양소설이라는 오해를 산적도 있었다. (한 일화를 들어보면 임권택 감독의 태백산맥을 상영하려했던 당시에 우익의 입장의 세력들이 영화를 상영 못하게 한적도 방해한적도 있다고 한다.) 허나 이 작품은 공산주의 찬양 소설이 아니다. 단지 민족적인 입장에서 쓰여졌을 뿐이고, 우리 민족들에게 먼저 찔리는 짓을 한 입장에서 봤을 때 자신의 약점을 공격하는 것처럼 느껴져 작품을 그쪽을 몰아가고 있는것이다.
3. 결 론
여순사건에서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의 우리민족의 현실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그려내보인 이 작품은 한쪽으로만 치우친 우리의 왜곡된 인식을 바로 잡아주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우리의 모습을 다시 한번 뒤돌아보게 하는 목적을 가진 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소설을 읽는 동안 내가 만약 지주의 입장이었더라면? 만약 내가 소작인의 입장이었더라면? 하는 생각을 많이 가지게 되었었다. 그 만큼 여러 입장, 객관적인 입장에서 쓰여졌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하는 작품이었다고 여겨진다. 끝까지 읽고 과제를 작성 했으면 좋았을텐데 마지막 3권을 남겨둔채로여서 아쉽다. 빠른 시일내로 완독하여 다시한번 이문제에 관해서 정리해볼 작정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영남지방의 기후
백두대간
[문화 지리론] 동해안 지역의 언어 차이에 대해서(등어선)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강원도의 지방화 전략에 관한 조사
[고고학]창녕 문화유적의 발굴과 복원현황(비화가야-계성고분군 중심)
작가 조정래의 아리랑
경북해안의 자연적 특성과 주요 항만의 분포, 특성
경상북도의 자연환경
중학교 사회 수업 지도안
산경표의 조사와 이해
강원도 방언(사투리,지역어), 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
현대문학 작가 탐방
[현대중국입문 공통] 장이머우(장예모) 감독 영화 인생(活着)을 보고 女주인공 지아전(家珍)...
소개글